• Title/Summary/Keyword: Waiting

검색결과 1,622건 처리시간 0.026초

일 병원의 외래진료대기시간 지연요인 분석 (Analysis of Factors Delaying on Waiting Time for Medical Examination of Outpatient on a Hospital)

  • 박성희
    •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56-72
    • /
    • 2001
  • Background : To shorten processing time for variety of medical affairs of the patient at the outpatient clinic of a big hospital is very important to qualify medical care of the patient. Therefore, patient's waiting time for medical examination is often utilized as a strong tool to evaluate patient satisfaction with a medical care provided. We performed this study to investigate factors delaying related with waiting time for medical examination. Methods :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26 to July 30, 1999. A total 275 case of medical treatment and 5,634 patients who visited outpatient clinics of a tertiary hospital were subjected to evaluate the waiting tim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t-test, ANOVA, $X^2$-test by SPSS Windows 7.5 program. Results : The mean patient's waiting time objectively evaluated ($30.9{\pm}33.9$ min) was longer than that subjectively by patient evaluated ($25.1{\pm}26.2$ min). Patient waiting time objectively evaluated was influenced by the starting time of medical examination, consultation hours, patients arriving time etc, as expected. The time discrepancy between two evaluations was influenced by several causative factors. Regarding the degree of patients accepted waiting time with the medical examination is 20 min. Conclusion : The results show that, besides the starting time of medical examination, consultation hours and patients arriving time, influence the patient's subjective evaluation of waiting time for medical examination and his satisfaction related with the service in the big hospital. In order to improve patient satisfaction related with waiting time for medical examination, it will be effective examination rather than to shorten the real processing time within the consultation room.

  • PDF

한국 종합병원 이미지에 관한 연구 -대기시간 요인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Waiting Time on a Hospital Image)

  • 강한승;고종원
    • 국제지역연구
    • /
    • 제13권1호
    • /
    • pp.491-512
    • /
    • 2009
  • 대기시간의 연구는 Maister(1985)의 연구이후에 심리적 관점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종합병원 이용 시 장시간 대기시간이 불가피하고, 기다림은 고객에게 심리적 불안 및 부정적 감정으로 다가 올 것이다. 이는 의료소비자들의 불만을 가중시키게 되고, 병원 재방문의 의도를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병원의 마케팅 및 전반적 이미지 재고를 위해서 대기시간의 연구가 더욱 절실히 요구된다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위와 같은 의료서비스 시 발생하는 지각된 대기시간의 변수인 대기환경, 소비자태도가 병원의 이미지와 재방문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의료서비스를 이용하는 한국 소비자의 대기의 심리적 관점인 태도, 감정들이 의료기관의 환경과 대기시간에 따라 병원의 이미지 및 재방문을 결정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가 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연구될 대기시간의 연구는 고객이 심리적으로 긍정적인 대기가 될 수 있는 대기환경 개선방안과 지각된 대기시간이 가지고 있는 본질적 문제인 기다림을 승화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대안이 필요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대기시간의 고객의 심리적 감정연구가 더욱 절실히 요구된다.

선박당 평균대기비용에 의한 항만의 서비스 수준 평가 (Evaluating the Levels of Port Services by the Average Waiting Cost of Ships)

  • 박병인;배종욱;박상준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83-202
    • /
    • 2009
  • 본 연구는 1단계로 우리나라 무역항의 대기비용을 장기기회비용관점에서 산정하였다. 2단계로 이를 활용한 선박당 평균 대기비용을 활용하여 항만의 서비스 수준을 평가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항만대기비용은 사회적 비용을 반영하기 때문에 특정 항만의 시설확충여부에 대한 의사결정지원 정보이지만 서비스지표로는 활용되기 어렵다. 또한 대기척수비율이나 대기시간비율도 시간기준의 양적 측면만을 반영한 불충분한 지표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제시한 선박당 평균대기비용은 대기시간과 선박 및 화물의 경제적 가치 손실을 동시에 반영하는 항만 서비스수준의 평가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 화주나 선사가 항만을 선택하는 과정에서도 매우 유용한 정보이다. 2007년 선박당 대기비용 기준으로 서비스 수준이 낮은 항만은 평택당진, 포항, 동해, 삼천포 순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항만 대기비용 관점의 포항, 인천, 광양, 평택당진, 울산 순서와는 다른 것이다. 항만 대기비용이 항만 관리자에게 중요한 지표라면 선박당 대기비용은 항만 이용자의 관점에서 항만별 서비스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유용한 지표이다.

  • PDF

종합병원(綜合病院) 대기공간(待期空間)에 관한 건축설계적(建築計劃的) 연구 - 공간이용행태(空間利用行態)를 중심(中心)으로 -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the Waiting Space in General Hospital)

  • 권혁기;김길채;최강석;김광문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1권1호
    • /
    • pp.105-112
    • /
    • 1995
  • This study proposes the basic data on the waiting space in general hospital through to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s and seat arrangements in the waiting space.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conditions and activities in the waiting space, this study is to awaken user to the influence environment, to suggest the planning guideline for the waiting space in the general hospital. Therefore, by observation over the waiting space in the general hospital, the realities, theories and problems can be found in accordance with the hospital planning throughly.

  • PDF

트립에 기초한 물자취급 시스템에서 자재의 평균 체류시간에 대한 추정 (Estimation of the Expected Time in System of Trip-Based Material Handling Systems)

  • 조면식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67-181
    • /
    • 1995
  • We develop an analytical model to estimate the time a workpiece spends in both input and output queues in trip-based material handling systems. The waiting times in the input queues are approximated by M/G/1 queueing system and the waiting times in the output queues are estimated using the method discussed in Bozer, Cho, and Srinivasan [2]. The analytical results are tested via simulation experiment.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analytical model estimates the expected waiting times in both the input and output queues fairly accurately. Furthermore, we observe that a workpiece spends more time waiting for a processor than waiting for a device even if the processors and the devices are equally utilized. It is also noted that the expected waiting time in the output queue with fewer faster devices is shorter than that obtained with multiple slower devices.

  • PDF

레스토랑 선택속성과 대기시간에 따른 고객감정이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iveness of Restaurant Attributes and Consumer Emotions regarding Waiting Time on Revisit Intention)

  • 이정은;최진경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432-439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effect of customers' waiting time on their revisit intention through their emotion. Also this study assessed the effect of restaurant selection attributes on consumers' revisit intention in Korea. This study used experimental scenario questionnaires for collecting data. Frequency analysis, Cronbach's alpha, correlation, t-tes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assessed using SPSS. Customers preferred taste, sanitation and service when selecting a restaurant to dine out. The results of this study foun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due to waiting tim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waiting time, convenience, nutritional value, and emotion influenced consumers' revisit intention. Therefore, reducing waiting time and providing proper service will help consumers have positive emotions to return to dine at a restaurant.

항공사 서비스 과정의 대기환경이 지각된 대기시간 및 서비스 결과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Waiting Environment of Airline Service on Perceived Waiting Time and Service Quality)

  • 이지영;한희은;최성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575-585
    • /
    • 2016
  • 본 연구는 항공사의 서비스과정 중 발생하는 대기를 항공기 탑승 전, 후로 나누어 물리적 환경과 인적 환경이 지각된 대기시간 및 항공사의 서비스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다룬다. 여러 항공서비스를 이용한 승객을 대상으로 300부를 배포한 뒤 유의한 총 231개의 설문지를 통해 분석 한 결과 서비스 과정 중의 대기 환경은 지각된 대기시간과 서비스품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특히, 항공기 탑승 전(기내 서비스 전)에는 물리적 환경이, 항공기 탑승 후(기내 서비스 중)에는 인적환경이 더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도출 되었다. 조절변수로 설정 한 수용가능성의 경우 항공서비스 특성상 대기나 예상이 가능함을 사전 인지하고 있어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지각된 대기시간은 서비스 품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본 연구 결과로부터 항공사의 대기관리 전략에 있어 실무적인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외래환자 대기시간 단축에 대한 시뮬레이션 모델 연구 (A Study on the Simulation Model for Outpatient Waiting Time Reduction)

  • 정태준;윤진숙;유선국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460-467
    • /
    • 2020
  • The medical service, accompanied by various disease and disease of modern people, must collect various information about patients through various tests, and demand continued to increase. As a result, interest in waiting time for medical services is rising, and various studies are underway to reduce waiting time. However, medical procedure is complex and diverse in the procedure of the services need to be conducted for each procedure. In this study, we are going to propose ways to improve the waiting time of the test procedures that are basically experienced by outpatients through the simulation experimental method. Based on the actual measurement data, the Arena Simulation program was used to implement the hospital's ophthalmic examination model and alternative model. Through this analysis, the waiting time of the examination procedure, the size of the queue, and density of the waiting room were analyzed.

일개 종합병원 외래환자의 진료시간 및 진료대기시간 영향요인 분석 (Factors influencing consultation time and waiting time of ambulatory patients in a tertiary teaching hospital)

  • 황지인
    •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6-16
    • /
    • 2006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influencing consultation and waiting time in ambulatory patients.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 tertiary teaching hospital. Subjects were a total of 10,383 ambulatory patients. Consultation time was measured by time spent for meeting with his/her physician per patient. Waiting time was defined as the time difference between each patient's reserved time and time to meet with his/her physician for ambulatory car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factors influencing consultation and waiting time. Results : Consultation time was different according to patient' age, previous experience of clinic visit, recent admission history, medical department, specialist care, type of reservation, and day of the week.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waiting time were patient' age, residential area, previous experience of clinic visit, recent admission history, medical department, specialist care, time spent after ambulatory care begins, and day of the week. Conclusions : The medical department was the strongest factor affecting both consultation time and waiting time. The ambulatory reservation management systems should take into account patient characteristics as well as care-related features.

  • PDF

서비스 대기시간에서 사용자 경험의 의미와 서비스 디자인 원칙 (Meaning of Waiting Experience and Principles of Service Design)

  • 권오균;김현영;김보명;이지인;하태훈;이인성;김진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270-286
    • /
    • 2017
  • 서비스를 제공해주는데 있어서 대기시간 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대기는 현대사회에서 서비스를 받는데 있어 피할 수 없는 경험이며 서비스 만족도에 악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사용자가 서비스 대기 시간에 겪게 되는 경험의 의미가 무엇인지 알기 위해 대기시간의 사용자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그로 인해 사용자가 겪게 되는 경험들을 탐색해 보았다. 그 결과 대기 경험의 총체적인 시퀀스를 4단계로 나눠 밝혀냈으며, 인지된 시간 자체 보다는 기대하는 시간과 인지된 시간의 차이가 중요하고, 주문 이전 보다 이후의 대기가 더 중요하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사용자는 대기 중 자이가르닉 효과에 의해 시간을 더 길게 느끼고 주위 눈치를 보기 때문에 미디어에 몰입하지 못한다는 사실도 발견하였다. 도출된 발견들을 통해 대기시간에 사용자가 보는 미디어의 끝을 서비스를 제공받는 시점과 일치시키는 완성된 느낌을 제공해야 하며, 사용자가 최대한 정확한 대기시간을 예측할 수 있도록 예측 가능성을 제공해야 하고, 마지막으로 사용자가 대기시간 동안 주도권을 가지고 있다고 느끼게 해야 한다는 세 가지 서비스 디자인 원칙을 제시하였다. 추가적으로 그 목적으로 가는 단계적이고 현실적인 대안도 제시하였다. 이는 서비스 제공자 가 전략 구축 시 디자인 원칙으로 활용하여 서비스 고객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