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Waiting Time on a Hospital Image

한국 종합병원 이미지에 관한 연구 -대기시간 요인을 중심으로-

  • Kang, Han Seung (Han Shin Medical Center at Seoul Seochogu Jamwondong) ;
  • Ko, Jong Weon (Hotel Department School of Tourism Studies at Anyang Technical College)
  • 강한승 (한신메디피아 종합검진센터) ;
  • 고종원 (안양과학대학 관광학부)
  • Received : 2009.02.10
  • Accepted : 2009.03.21
  • Published : 2009.03.30

Abstract

The study on waiting time has been conducted from the psychological perspective since Maister (1985). In using medical institutions, especially general hospitals, it is not avoidable to wait for a long time. As a result, the waiting time gives clients psychological stress, which causes medical consumers to be more dissatisfied and decreases their rate of revisit. Accordingly, it is very urgent to study on the waiting time for hospitals' marketing and better image-making. This study is intended to find out how hospitals image and clients revisit is influenced by waiting environment and consumers' attitude, variables of waiting time perceived in medical services. Based on this study, those medical institutions are required to improve their medical service and waiting environment. Accordingly, they should convert waiting time into more efficient and comfortable recess and provide better environment for physical service and effective human services. As those medical institutions have relatively worse image than other businesses, they should actively study on ways of better image-making in the future.

대기시간의 연구는 Maister(1985)의 연구이후에 심리적 관점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종합병원 이용 시 장시간 대기시간이 불가피하고, 기다림은 고객에게 심리적 불안 및 부정적 감정으로 다가 올 것이다. 이는 의료소비자들의 불만을 가중시키게 되고, 병원 재방문의 의도를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병원의 마케팅 및 전반적 이미지 재고를 위해서 대기시간의 연구가 더욱 절실히 요구된다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위와 같은 의료서비스 시 발생하는 지각된 대기시간의 변수인 대기환경, 소비자태도가 병원의 이미지와 재방문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의료서비스를 이용하는 한국 소비자의 대기의 심리적 관점인 태도, 감정들이 의료기관의 환경과 대기시간에 따라 병원의 이미지 및 재방문을 결정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가 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연구될 대기시간의 연구는 고객이 심리적으로 긍정적인 대기가 될 수 있는 대기환경 개선방안과 지각된 대기시간이 가지고 있는 본질적 문제인 기다림을 승화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대안이 필요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대기시간의 고객의 심리적 감정연구가 더욱 절실히 요구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