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VE messages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7초

스마트폰 유형에 따른 문자 입력 시 뇌파 및 아래팔 근활성도 비교 (A Comparison of EEG and Forearms EMG Activity depend on the Type of Smartphone when Inputting Text Messages)

  • 이형수;고경진;김진원;박송이;박지선;박진리;석혜리;양구름;양시은;윤광오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79-88
    • /
    • 2014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propensities and compare muscle activity of the forearms and brain wave depend on the type of smartphone when inputting text messages. Method: We used an EMG to measure the change in muscle activity by attaching pads to the four muscles in both forearms of all 16 participants. We simultaneously conducted EEG measurements by observing the changes in alpha and beta waves recorded from electrode attached to both ears and the forehead of the participants. The participants had to input a given text using three different types of smartphones for ten minutes each. Result: The comparison of the EMG when inputting text involved a one way analysis of variance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Pad3 was highest for muscle activity followed by GALAXY Note2 and iPhone4. For EEG measurement, a one way analysis of variance was also used and the results showed iPhone4 was higest followed by GALAXY Note2 and finally iPad3 for EEG stress score. Conclusion: The results are thought to be used as reference data for smart phone users.

A New Interference-Aware Dynamic Safety Interval Protocol for Vehicular Networks

  • 유홍석;장주석;김동균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1-13
    • /
    • 2014
  • In IEEE 802.11p/1609-based vehicular networks, vehicles are allowed to exchange safety and control messages only within time periods, called control channel (CCH) interval, which are scheduled periodically. Currently, the length of the CCH interval is set to the fixed value (i.e. 50ms). However, the fixed-length intervals cannot be effective for dynamically changing traffic load. Hence, some protocols have been recently proposed to support variable-length CCH intervals in order to improve channel utilization. In existing protocols, the CCH interval is subdivided into safety and non-safety intervals, and the length of each interval is dynamically adjusted to accommodate the estimated traffic load. However, they do not consider the presence of hidden nodes. Consequently, messages transmitted in each interval are likely to overlap with simultaneous transmissions (i.e. interference) from hidden nodes. Particularly, life-critical safety messages which are exchanged within the safety interval can be unreliably delivered due to such interference, which deteriorates QoS of safety applications such as cooperative collision warning. In this paper, we therefore propose a new interference-aware Dynamic Safety Interval (DSI) protocol. DSI calculates the number of vehicles sharing the channel with the consideration of hidden nodes. The safety interval is derived based on the measured number of vehicles. From simulation study using the ns-2, we verified that DSI outperforms the existing protocols in terms of various metrics such as broadcast delivery ration, collision probability and safety message delay.

802.11p 기반 다중 라디오 다중채널 네트워크 환경에서 안전 메시지 전송을 위한 내쉬 협상 해법을 이용한 채널할당 (Channel assignment for 802.11p-based multi-radio multi-channel networks considering beacon message dissemination using Nash bargaining solution)

  • 권영호;이병호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63-69
    • /
    • 2014
  • IEEE 802.11p 차량 네트워크 환경 (WAVE)에서는 차량 운전자의 안전을 위해서 주기적으로 안전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되어 있다. 차량 안전 메시지의 전송을 통해 도로상의 안전과 주행 효율을 제공하기 위해서 WAVE 표준에서는 멀티 채널 멀티 라디오 환경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WAVE 표준안은 안전메세지를 하나의 물리 디바이스에 하나의 채널을 이용하여 제어하고 전송하는 것으로 정의되어 있어서 다중 라디오 환경과 안전 메시지 전송 효율성을 고려하지 않았다. 또한 네트워크 무선상에서 서로 충돌이 일어나지 않는 채널을 할당하는 채널 할당은 네트워크 망구성방식을 잘 알고 있거나 모든 노드들이 같은 전송률을 가지는 무선 대역에 있어도 NP-hard한 문제로 잘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최신 802.11p와 1609.4 802.11p 표준을 이용해서 다중 채널 다중 라디오 WAVE 환경을 무선 메쉬 네트워크로 가정하여 Nash 협상 게임을 통해서 서로 간섭이 없는 채널을 할당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제안된 알고리즘은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검증하였고 해당 알고리즘이 8채널 3 라디오 환경에서 랜덤 채널 할당 방법이나 Tabu 알고리즘 보다 효율성이 좋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개선된 Lowbit Encoding 방법을 이용한 StegoWavek의 구현 (Implementation of StegoWaveK using an Improved Lowbit Encoding Method)

  • 김영실;김영미;백두권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9권4호
    • /
    • pp.470-485
    • /
    • 2003
  • 멀티미디어 데이타중에서 오디오데이타를 이용한 상용화된 오디오 스테가노그라피(audio steganography) 소프트웨어들은 시각적인 측면에서 비밀 메시지가 은닉되어 있다는 것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는 것과 숨길 정보의 크기에 제한이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동적으로 메시지를 은닉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비밀 메시지의 보안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파일 암호화 알고리즘도 적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한 오디오 스테가노그라피를 수행해주는 StegoWaveK시스템을 상용화된 오디오 스테가노그라피 시스템의 5가지 측면으로 비교 분석하였으며, 성능면에서 우수함을 보였다. StegoWaveK는 상용화된 시스템에 비해 시각적 공격 측면이나 은닉할 메시지 크기 측면에서는 좋으나 인터페이스 측면에서는 사용자 위주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보완되어야 한다. 그리고 StegoWavek와 상용화된 시스템이 견고성이 약하다는 단점을 보완해야 하며, 다양한 멀티미디어 데이타를 이용한 스테가노그라피로의 추후연구가 필요하다.

도심 차량통신환경에서의 전파특성 측정과 구현 이슈 (Measurement of Radio Characteristics of Vehicular Communication Environments in Urban Areas and Implementation Issues)

  • 조웅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1057-1062
    • /
    • 2014
  • 차량통신시스템은 차량/도로기술과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하여 다양한 안전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지능형 교통시스템에 적용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IEEE 802.11p를 기반으로 한 차량통신시스템을 소개하고 이 시스템의 전파특성을 도심환경에서 측정한 결과를 보인다. 전파특성은 패킷오류율과 수신스펙트럼을 이용하여 측정한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실제 서비스 적용에 있어서 필요한 구현 이슈에 대해 논의한다.

자동차 통신 보안을 위한 IEEE Std 1609.2 메시지 인코더/디코더의 설계 및 구현에 관한 연구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EEE Std 1609.2 Message Encoder/Decoder for Vehicular Communication Security)

  • 서혜인;김은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568-577
    • /
    • 2017
  • WAVE 시스템에서는 통신 보안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IEEE Std 1609.2 규격이 정의되었다. IEEE Std 1609.2에서는 자동차 통신에서의 보안 서비스 및 관리 메시지의 구조를 ASN.1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이 메시지 구조를 COER 방식으로 인코딩하도록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IEEE Std 1609.2에 정의된 보안 메시지를 처리하는 IEEE Std 1609.2 메시지 인코더/디코더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설계된 인코더/디코더는 IEEE Std 1609.2 메시지 구조에 부합하는 C 언어 데이터 구조의 메시지를 생성하는 모듈, 메시지 인코더 모듈, 메시지 디코더 모듈로 구성되며, 리눅스 환경에서 구현되었다. 또한 구현된 인코더/디코더의 수행 속도를 측정하여 그 성능을 분석하였다.

차량 간 통신에서 충돌을 완화하기 위한 랜덤 백오프 방안 (Random Backoff Scheme of Emergency Warning Message for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s)

  • 변재욱;권성오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7권3B호
    • /
    • pp.165-17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IEEE 802.11을 기반으로 하는 무선 차량 네트워크에서 위험 경고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Backoff 방안을 제안한다. 차량 간 통신인 IEEE 802.11은 위험 경고메시지를 보낼 때 다중 홉 방식을 사용하고, 다중접속방안으로 CSMA/CA를 적용하므로 차량이 밀집될수록 메시지 전송 충돌 확률이 증가한다. 따라서 위험 경고메시지 전송이 시간 지연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배경 트래픽이 있을 경우, 위험 경고메시지가 우선 전송이 되어야 한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위험 경고메시지 전송차량과 수신차량의 위치에 따라 다른 난수발생범위를 갖는 거리 기반 백오프 방안 (DDAB: Distance-Dependent Adaptive Backoff)을 제안한다. DDAB는 배경 트래픽과 경쟁하는 영역의 차량들은 작은 난수발생범위로 설정하여 배경 트래픽보다 전송 우선순위를 높이고, 같은 위험 경고메시지 간 경쟁이 빈번한 영역의 차량들은 큰 난수발생범위를 갖도록 하여 위험 경고메시지간의 충돌을 줄인다. 실험을 통해 기존의 Backoff 방안과 비교하였으며, DDAB 방안을 적용한 경우 기존의 방안을 적용했을 때보다 성능 향상됨을 보였다.

RTK 보정정보 난수신 환경에서의 측위연속성 향상을 위한 시간지연 보상연구 (Study on the time-delay compensation of RTK correction message for improvement of continuous position surveying performance under unexpected temporal datalink loss/cut-off)

  • 박병운;송준솔;기창돈;양철수;차득기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625-631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측정치 기반형 보정정보인 RTCM v2 18/19 메시지와 보정치 기반형 보정정보인 RTCM v2 20/21 메시지, 그리고 저속통신매체용으로 제안된 바 있는 SNUR 메시지에 대하여 난수신 환경에서의 강전성 비교를 수행하였다. 일시적은 데이터 손실 경우와 단절 인지 후 재접속의 경우를 난수신 환경으로 가정하여, 각각 2초와 7초 동안 모든 메시지가 지연된 경우에 대하여 이중 차분된 측정치 비교를 통해 성능을 평가하였다. 수행 결과 7초 통신 단절의 경우 SNUR방식이 기존 RTCM 메시지에 비해 오차의 양을 30~60%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RTCM 메시지의 경우 7초의 지연시 L1반파장 이상의 오차가 발생하여 기추정된 미지정수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였으나, SNUR 메시지 적용시 오차가 모두 1/4 파장이내에 포함됨을 확인하였다.

Contention-based Reservation Protocol Using a Counter for Detecting a Source Conflict in WDM Single-hop Optical Network with Non-equivalent Distance

  • Sakuta, Makoto;Nishino, Yoshiyuki;Sasase, Iwao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3권4호
    • /
    • pp.365-373
    • /
    • 2001
  • We propose a new channel reservation protocol which can reduce message delay by using a counter for detection of d source conflict in a WDM single-hop network with non-equivalent propagation delay. A source convict occurs when a source node has the right to transmit more than or equal to two messages simultaneously, which are transmitted using different wavelengths. In such a case, the source node has to newly obtain the right to transmit the message. In the proposed protocol, by using a source conflict counter a source node can detect a source conflict before a wave-length assignment is performed. Therefore, the source node can start a procedure to newly obtain the right to transmit the message which cannot be transmitted due to a source conflict. We analyse the throughput performance by taking the effect of a source conflict into account, and show that the approximate analysis and the computer simulated results are close. Also, from computer simulated results, we show that our proposed protocol can reduce mean message delay dramatically without degrading throughput performance as the offered load becomes large.

  • PDF

트위터를 통한 루머의 확산 과정 연구: 한미 FTA 관련 루머의 자극성에 따른 의견 확산 추이와 이용자의 상호작용성을 중심으로 (The Diffusion of Rumor Via Twitter : The Diffusion Trend and the User Interactivity in the Korea-U.S. FTA Case)

  • 홍주현;윤해진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66권
    • /
    • pp.59-86
    • /
    • 2014
  • 이 연구는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를 통해 루머가 급속하게 확산될 뿐만 아니라 정책 결정과정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현상에 주목하였다. 이에 거시적 관점에서 한미 FTA와 관련된 여론의 확산 추이를 살펴보고 미시적 관점에서 이용자 간에 상호작용성이 얼마나 활발하게 나타나는지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루머의 자극성을 루머의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보았다. 한미 FTA 관련 루머 중 트위터 검색 엔진을 통해 연관 검색어로 나타난 맹장수술 괴담, 약값 폭등, 건강보험 붕괴를 중심으로 루머의 자극성과 자극성에 따른 확산 추이, 상호작용성을 분석하였다. 루머의 자극성을 사실적 측면과 표현적 측면으로 구분해 분석한 결과, 사실적 측면의 자극성은 맹장 수술 괴담이, 표현적 측면의 자극성은 약값 폭등이 가장 컸다. 루머의 자극성에 따른 여론의 확산 유형을 분석한 결과, 맹장 수술 괴담의 경우 '폭발적 소멸형 파동'이, 약값 폭등의 경우 '잠재적 소멸형 파동'이, 건강 보험 붕괴의 경우 '반복적 파동'이 형성되었다. 루머의 자극성과 상호작용의 관계를 상관관계 분석한 결과, 맹장 수술 괴담의 경우 약한 정도의 상관관계가, 건강 보험의 경우 높은 정도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건강 보험 붕괴의 자극성이 맹장 수술 괴담의 자극성보다 낮았지만, 건강 보험의 경우 이용자들이 체감하는 이슈 관여도가 높아 논의가 더 활발하게 이루어진 것으로 생각된다. 이 연구를 통해 한미 FTA 체결과 관련하여 트위터가 부정적인 메시지가 확산되는 통로의 역할을 한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정부는 소셜네트워크사이트를 통한 루머의 확산 과정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