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스마트폰 유형에 따른 문자 입력 시 뇌파 및 아래팔 근활성도 비교

A Comparison of EEG and Forearms EMG Activity depend on the Type of Smartphone when Inputting Text Messages

  • 이형수 (광주보건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 고경진 (광주보건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 김진원 (광주보건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 박송이 (광주보건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 박지선 (광주보건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 박진리 (광주보건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 석혜리 (광주보건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 양구름 (광주보건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 양시은 (광주보건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 윤광오 (광주보건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Lee, Hyoungsoo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Gwangju Health University) ;
  • Go, Gyeongjin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Gwangju Health University) ;
  • Kim, Jinwon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Gwangju Health University) ;
  • Park, Songyi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Gwangju Health University) ;
  • Park, Jiseon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Gwangju Health University) ;
  • Park, Jinri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Gwangju Health University) ;
  • Seok, Hyer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Gwangju Health University) ;
  • Yang, Gureum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Gwangju Health University) ;
  • Yang, Sieun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Gwangju Health University) ;
  • Yun, Gwangoh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Gwangju Health University)
  • 투고 : 2014.06.12
  • 심사 : 2014.06.25
  • 발행 : 2014.06.30

초록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propensities and compare muscle activity of the forearms and brain wave depend on the type of smartphone when inputting text messages. Method: We used an EMG to measure the change in muscle activity by attaching pads to the four muscles in both forearms of all 16 participants. We simultaneously conducted EEG measurements by observing the changes in alpha and beta waves recorded from electrode attached to both ears and the forehead of the participants. The participants had to input a given text using three different types of smartphones for ten minutes each. Result: The comparison of the EMG when inputting text involved a one way analysis of variance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Pad3 was highest for muscle activity followed by GALAXY Note2 and iPhone4. For EEG measurement, a one way analysis of variance was also used and the results showed iPhone4 was higest followed by GALAXY Note2 and finally iPad3 for EEG stress score. Conclusion: The results are thought to be used as reference data for smart phone users.

키워드

참고문헌

  1. 고경(2012). 스마트폰 문자입력시 상부승모근의 피로도와 근골격계 위험성 평가에 관한 연구. 한림대학교 보건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권미화(2011). 스트레스에 따른 중학생들의 뇌파변화와 아로마테라피.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 권순태(2008). 뇌파를 이용한 2축 머신 제어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기도형, 이경태, 박재희(2010). 산업안전보건관리자를 위한 인간공학. 서울, 한경사.
  5. 김상우(2010). 스트레스의 정도에 따른 신문혈 자침의 효과연구 : 뇌파와 심박변이도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김동수(2012). 스마트폰 사용자세에 따른 운동역학적 변인 분석.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김영민(2009). 유지-이완 기법이 VDT 작업자의 상지 통증감소에 미치는 효과.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21(1), 18-27.
  8. 김유창, 이준팔(2007). 근전도를 이용한 VDT 작업시 짧은 휴식시간에 관한 연구. 대한인간공학회지, 26(4), 41-47. https://doi.org/10.5143/JESK.2007.26.4.041
  9. 김윤환(2013). 벤치 프레스 운동 동작에서 무게에 따른 어깨 고립과 비고립이 대흉근의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스포츠산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김은영, 이승병, 전범수 등(2010). 전.후방보행 방법과 트레드밀 각도변화에 따른 넙다리곧은근과 앞정강이근의 활성도비교. 대한정형도수치료학회지, 16(2), 76-81.
  11. 김준성, 조경준, 송종석(2007). 청소년에서 컴퓨터 작업의 종류와 작업 시간이 눈 깜박임 횟수와 안구건조에 미치는 영향. 대한안과학회지, 48(11), 1466-1472.
  12. 김창식, 이학준(2000). 연령별 시력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안광학회지, 5(2), 55-58.
  13. 노동부(2004). 영상표시단말기(VDT) 취급작업자의 작업 관리지침. 노동부 고시 제 2004-50호.
  14. 미래창조과학부(2012). 유.무선통신서비스 가입자 현황. 미래창조과학부.
  15. 박수아(2011). 터치디스플레이의 사이즈와 화면방향이 가독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6. 신영미(2012). 스마트폰 이용 동기 및 정도와 과다사용 간의 관계.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7. 안형모(2013). 텍스트 기반 학습에서 학습매체의 크기와 종류가 학습 집중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8. 엄수현(2013). 스마트폰 사용 특성이 사용자의 인체적 이상 증상에 미치는 영향.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 유환석(2007). 컴퓨터 마우스와 트랙볼 사용 시의 근활성도와 수행도 비교.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 윤우순(2001). 휴대폰의 사용실태 조사 및 TMI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1. 이강진(2008). 타이핑 작업 시 수직형 키보드의 수평면 끼인각 변화에 따른 상지의 근활성도 비교. 한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2. 이국세(2011). 3DTV 시청에 따른 시각피로도와 뇌기능 지수의 상관관계 분석.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3. 이봉화(2011). 만다라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초등학생의 뇌기능 지수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4. 전광식(2011). 항 스트레스 기능 강화를 위한 버가못 향유 흡입이 뇌파(EEG)변화에 미치는 영향 : 백화점 판매직 종사자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5. 전상호(2012). 뇌파를 이용한 KTX 실내소음에 따른 스트레스 분석. 부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6. 조선일보(2001). 문자 보내다 병 걸렸네${\cdots}$메시지통증 등장. June 14, from http://news.chosun.com/svc/content_view/content_view.html?contid=2001061470203.
  27. 최성호(2008). 휴대폰 사용별 초등학생의 건강자각증상 및 신경생리작용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8. 한국정보화진흥원(2012), 전자정부 선진국의 정책추진 동향, 제3호. 한국정보화진흥원.
  29. Bloemsaat JG, Meulenbroek RG, Van Galen GP(2005). Differential effects of mental load on proximal and distal arm muscle activity. Exp Brain Res, 167(4), 622-634. https://doi.org/10.1007/s00221-005-0066-2
  30. Chen P, Maklad N, Redwine M et al(1997). Dynamic high-resolution sonography of the carpal tunnel. Am J Roentgenol, 168(2), 533-537. https://doi.org/10.2214/ajr.168.2.9016242
  31. Hermens HJ, Freriks B, Disselhorst-Klug C et al(2000). Development of recommendations for SEMG sensors and sensor placement procedures. J Electromyogr Kinesiol, 10(5), 361-374. https://doi.org/10.1016/S1050-6411(00)00027-4
  32. Lin H, Opler M, Head M et al(1997). Electromagnetic field exposure induces rapid, transitory heat shock factor activation in human cells. J Cell Biochem, 66(4), 482-488. https://doi.org/10.1002/(SICI)1097-4644(19970915)66:4<482::AID-JCB7>3.0.CO;2-H
  33. The Naeil News(2013). 과도한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한 정신적 피해 증가. January 25. http://www.naeil.com/news/Local_ViewNews_n.asp?bulyooid=2&nnum=698374.
  34. YTN(2011). 스마트폰 습관적 확인 하루 34번. 집중력 저하, July 30. http://www.ytn.co.kr/_ln/0104_2011073007123034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