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M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2초

제3세대 파랑추산모형을 이용한 태풍매미의 극한파랑 재현 (I) - WAM 모형의 파향격자 분할법 및 파 발달 제한조건의 수정 - (Reproduction of Extreme Waves Caused by Typhoon MAEMI with Wave Hindcasting Method, WAM (I) - Corrections of directional spreading division and limitation on wave development of WAM model -)

  • 신승호;홍기용;최학선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11-218
    • /
    • 2004
  • WAM 모형은 대양의 파랑추산에 있어서 높은 정밀도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타 모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간결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국내외 많은 연구자들이 널리 활용하고 있으나, 모형의 특성상 심해${\cdot}$광역조건과 더불어 비교적 큰 격자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어 있고 파향의 격자 분한 방법으로 언해 경우에 따라서는 예기치 못하는 계산 결과를 산출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WAM Cycle 4 모형을 대상으로 이 같은 문제점을 상세히 검토하고 관련 내용을 수정하여 천해${\cdot}$ 상세 해역에 대한 적용성을 확장하였으며, 수정된 WAM 모형은 이어도 해양과학기지에서 관측한 2003년 9월 한 달 동안의 정밀 파랑관측 자료를 토대로 검정하여 그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 PDF

제3세대 파랑추산모형을 이용한 태풍매미의 극한파랑 재현 (I) - WAM 모형의 파향격자 분할법 및 파 발달 제한조건의 수정- (Reproduction of Extreme Waves Caused by Typhoon MAEMI with Wave Hindcasting Method, WAM (I) - Corrections of directional spreading division and limitation on wave development of WAM model -)

  • 신승호;홍기용;최학선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557-564
    • /
    • 2004
  • WAM 모형은 대양의 파랑추산에 있어서 높은 정밀도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타 모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간결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국내외 많은 연구자들이 널리 활용하고 있으나, 모형의 특성상 심해ㆍ광역조건과 더불어 비교적 큰 격자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어 있고 파향의 격자 분할 방법으로 인해 경우에 따라서는 예기치 못하는 계산 결과를 산출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WAM Cycle 4 모형을 대상으로 이 같은 문제점을 상세히 검토하고 관련 내용을 수정하여 천해ㆍ상세 해역에 대한 적용성을 확장하였으며, 수정된 WAM 모형은 이어도 해양과학기지에서 관측한 2003년 9월 한 달 동안의 정밀 파량관측 자료를 토대로 검정하여 그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동해 폭풍파랑의 통계적 특성과 파랑 후측모의 실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tistical Characteristics and Numerical Hindcasts of Storm Waves in East Sea)

  • 천후섭;강태순;안경모;정원무;김태림;이동환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6권2호
    • /
    • pp.81-9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동해안의 너울성파랑을 예 경보하기 위한 기초단계로 동해 폭풍파랑의 특성을 분석하고, 수정 WAM모형을 이용해 이를 재현하였다. 본 연구의 파랑관측자료분석 결과에 의하면, 동해 심해역의 파랑은 NE계열의 파랑이 지배적이었으나, 폭풍파랑은 N계열의 출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 N 및 NNE 계열의 폭풍파랑에 대한 유의파고는 NE 계열 폭풍파랑의 유의파고보다 더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긴 취송거리에 의하여 유의파주기는 NE계열의 폭풍파랑의 유의파주기가 N또는 NNE계열의 유의파주기보다 크게 나타났다. 효과적인 동해역 폭풍파랑 예 경보를 위해 5분의 공간격자간격에 기반한 수치모의실험을 구축하고, 이를 2013년의 주요 폭풍파랑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수치모의실험 결과를 심해 및 천해 파랑측정 자료와 비교한 결과 전반적으로 잘 일치하였다. 그러나 천해역의 경우 수심 및 바람장의 해상도가 부족하여 수치모의의 정확도가 약간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진이 개발한 수정 WAM모델은 음해법을 사용하여 기존 WAM모형보다 10배 정도 빠르게 동해 폭풍파랑의 수치모의 계산을 수행할 수 있었다.

음해법을 이용한 WAM모형의 태풍파랑 수치모의 (Numerical Simulation of Typhoon-generated Waves using WAM with Implicit Scheme)

  • 천제호;안경모;윤종태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94-300
    • /
    • 2006
  • 양해법의 하나인 풍상차분을 사용하는 WAM 모형의 수치기법을 분할차분법을 이용한 음해법으로 바꾸고 수치분산을 줄이기 위해 FCT 기법을 적용하였다. 새로운 수치기법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구형파 전파실험과 태풍 매미로 인한 파랑모의를 수행하였다. 기존의 WAM 모형에 비해 현저히 수치분산을 줄일 수 있었고, 음해법의 이용으로 비교적 큰 시간 격자 간격에서도 안정적으로 계산이 수행되어, 보다 경제적인 수치모의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WAM모형의 천해역 확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tension of WAM for Shallow Water)

  • 천제호;안경모;윤종태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148-156
    • /
    • 2008
  • 심해역 파랑모형인 WAM에 쇄파와 삼파 상호작용을 추가하여 모형의 적용영역을 천해역으로 확장하였다. 확장된 모형의 검증을 위해 Chawla et al.(1998) 과 Beji and Battjes(1993)의 수리모형 실험에 본 모형을 적용하여 천해역에서의 파랑변형 및 비선형 3파 상호작용의 수치모의 기능을 확인하였고, 계산된 수치모의 결과들은 수리실험의 계측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그리고 실제 해역에서의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태풍 매미에 대한 파랑 모의에 적용하였고, 계산 결과를 거제, 부산, 울산에서의 관측치와 비교하였는데 만족스러운 일치를 보여주었다.

천해역으로 확장된 WAM모형에 의한 영일만 파랑모의 (Wave Simulation on Youngil Bay by WAM Extended to Shallow Water)

  • 천제호;안경모;윤종태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511-520
    • /
    • 2007
  • 심해역 파랑모형인 WAM에 쇄파와 삼파 상호작용을 추가하여 모형의 적용영역을 천해역으로 확장하였다. 모형의 검증을 위해 영일만에서의 파랑변형 모의를 수행하였고, 수치모의된 파랑자료는 영일만 입구 1개소와 영일만 내부 2개소의 관측 결과와 양호한 일치를 보여주었다. 수치모의 결과를 보면, 영일만 입구에서 입사되는 파랑은 영일만 내부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바닥에 의한 에너지 감쇠와 쇄파 작용 등으로 인해 파고의 점진적 감소가 나타나고, 파향은 주로 NE 계열로 입사되어 연안 근처에서는 굴절 효과로 인해 해안에 대해서 수직한 방향으로 진행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천해에 적용가능한 태풍 해일-조석-파랑 수치모델 개발 2. 태풍 매미에 의한 해일-조석-파랑 모델의 정확성 검토 (Development of the Combined Typhoon Surge-Tide-Wave Numerical Model 2. Verification of the Combined model for the case of Typhoon Maemi)

  • 천제호;안경모;윤종태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1호
    • /
    • pp.79-90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심해부터 천해에 까지 적용가능한 동적결합형 태풍 해일-조석-파랑 수치모델을 태풍 매미에 적용하여 모델의 안정성과 정확성을 검증하였다. 동적결합형 모델은 해수유동 모델인 POM을 수정한 모듈과 심해 풍파모델인 WAM을 심해부터 천해까지 적용가능하도록 수정한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수정 POM 모듈에서 조위, 조류 와 해일을 계산하며, 수정 WAM 모듈에서 풍파를 계산하여 상호 계산된 결과를 주고 받도록 결합된 동적결합형 모델이다. 수정 WAM 모듈에서는 잉여응력과 바람에 의한 마찰응력, 해수면 조도계수 등의 계산결과가 POM으로 제공되며 수정 POM 모듈에서는 유속, 조위면 등의 정보가 WAM으로 제공된다. 개발된 수치모델을 태풍 매미에 적용하여 계산된 결과를 관측된 파랑 및 조위자료와 비교하여 정확성을 검증하였다.

동적 결합형 POM-WAM 모형의 해향저류 모의 적용 (Application of Dynamically Coupled POM-WAM to Undertow Simulation)

  • 천제호;안경모;서경덕;윤종태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2호
    • /
    • pp.182-19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천 등(2009)의 동적결합형 POM-WAM 모형을 천해역 해빈류 현상 중 하나인 해향저류(undertow) 문제에 적용하였다. 수치모형의 해향저류 계산 결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surface roller에 대한 방정식을 풀고, 이를 해향저류 계산에 포함시켰다. 수치모형을 Okayasu and Katayama(1992) 및 Cox and Kobayashi(1997)의 수리모형 실험에 적용하고, 계산 결과를 수리모형 실험 결과 및 Tajima and Madsen(2006)의 수치계산 결과와 함께 비교하였다. 그 결과, 본 수치모형의 계산결과와 실험결과가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본 수치모형이 쇄파대를 포함한 천해역에 적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복부근력이 약한 여성과 정상 여성에게 복부 드로우-인 운동 후 엉덩관절 폄 시 허리폄근의 근수축 개시시간과 골반각도의 변화 (Changes in Onset Time of Lumbar Extensor Muscles and Pelvic Angle during Prone Hip Extension after the Abdominal Draw-in Exercise in Normal Women and Women with Weak Abdominal Muscles)

  • 김동우;박한규;한지원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9-26
    • /
    • 2019
  • Purpos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abdominal draw-in (ADI) exercise on the onset times of the gluteus maximus (GM) and erector spinae (ES) as well as the pelvic anterior tilt angle during prone hip extension (PHE). Methods : A total of 24 female adul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ose with normal abdominal muscles (n=12) and those with weak abdominal muscles (WAM; n=12). Before the intervention, the onset times of the GM and ES along with the pelvic angle during PHE were measured. Subsequently, the participants conducted the ADI exercise for 10 minutes. After conducting the ADI exercise, the onset times and the pelvic angle were re-measured. Results : In the pre-intervention comparison between the two groups, the WAM group showed faster ES onset times and higher pelvic angle than the normal group (p<0.05). In the WAM group, the ES onset times were significantly delayed after the ADI exercise (p<0.05). In both groups, the pelvic angl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he ADI exercise (p<0.05). The decrease in the pelvic angle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WAM group than in the normal group (p<0.05). The GM onset time was found to be not significant in all comparisons (p>0.05). Conclusion :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after performing the ADI exercise, the pelvic anterior tilt during PHE is decreased in normal women and those with WAM, especially in the WAM group, suggesting that the ADI exercise can reduce the compensatory pelvic anterior tilt more effectively by delaying the ES onset times.

항행시스템 성능향상을 위한 강인한 필터링 알고리즘 (Robust Filtering Algorithm for Improvement of Air Navigation System)

  • 조태환;김진혁;최상방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123-132
    • /
    • 2015
  • CNS/ATM(communication navigation surveillance / air traffic management)의 감시 분야에서는 ADS-B(automatic dependent surveillance - broadcast) 시스템, MLAT(multilateration) 시스템, WAM(wide area multilateration) 시스템이 구축되고 있다. ADS-B, MLAT, WAM 시스템의 항공기 추적 성능이 기존의 레이더에 비해 매우 우수하지만 여전히 오차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 항행시스템의 오차를 줄이고 항공기 추적 성능을 높일 수 있는 필터링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필터링 알고리즘 중에서 가장 유용하다고 알려진 IMM(interacting multiple model) 필터를 개선한 Robust IMM 필터를 사용하였으며, ADS-B, MLAT, WAM 시스템 등의 차세대 항공기 추적 시스템에 적용하였다. Robust IMM 필터는 항공기 추적성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항공기 위치 데이터가 손실되더라도 필터에서 계산한 추정값을 이용하여 지속적인 위치 추적을 가능하게 한다. 필터링 알고리즘을 차세대 항행시스템에 적용했을 때 평균 19.21%의 성능향상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