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lunteering

검색결과 191건 처리시간 0.028초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들의 봉사경험에 대한 심층적 이해 - 질적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the Experience of Hospice Volunteers)

  • 심세화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9권1호
    • /
    • pp.45-60
    • /
    • 2016
  • 목적: 본 연구는 한국 호스피스의 실천 현장에서 자원봉사자들의 세밀한 봉사활동 경험과 호스피스 팀 활동에 따른 상호작용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도모하고자 시행되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호스피스 정책 입안자들과 행정가들 그리고 관리자들에게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의미와 자원봉사자 역할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함으로써 향후 한국 호스피스의 발전을 위한 정책적 기여를 행하고자 한다. 방법: 한국 호스피스의 제도화된 4가지 유형(분산형 가정형 병동형 독립형)에 대해 심층 인터뷰와 참여관찰을 시행하였다. 질적 접근의 엄격한 연구방법 중 하나인 "사례 분석"과 관련해서, 연구 참여자들을 선정한 후 심층 인터뷰를 행하였고, 인터뷰 결과는 '사례 내분석'과 '사례 간 분석'으로 정리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들은 '종교적 신앙심'에 의해 이 일을 시작하였고, 그토록 힘든 봉사활동을 지속시키는 힘 또한 '신앙심'이라고 했다. 따라서 호스피스 자원봉사자 활동 경험의 본질은 "종교적 신앙심에 의한 일 나를 위한 일"로 분석되었다. 또한 이들의 봉사활동 경험의 특성은 "아무런 대가 없이 행하는 진정한 봉사 아무나 할 수 없는 전문적인 봉사"로 나타났다. 덧붙여서, 호스피스 자원봉사 활동을 통해 스스로가 달라진 점으로는 "내적 성장 - '좋은 죽음'의 의미에 대한 자기 성찰 -과 영적 다양성 존중의 중요성인식"이라고 했다. 결론: 본 연구는 한국 호스피스의 실천가들과 정책 전문가들에게 호스피스 팀의 일원으로서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의미와 그 중요성에 대한 인식 제고를 위해 시행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국 호스피스의 성공과 한국인들의 좋은 죽음 성취를 위한 실천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치과위생사의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대한 인식도 연구 (A Study on the Dental Hygienist's Awareness on the Elderly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 박정란;권선화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79-286
    • /
    • 2009
  • 본 연구는 일부 경남지역에 근무하고 있는 치과위생사 253명을 대상으로 2008년 7월 1일에 시행 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와 관련한 인식정도를 파악하고 노인들의 구강건강 증진 및 유지에 대한 치과위생사의 역할을 제고하며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조기 정착을 위하는 목적으로 자가 기입식 설문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조사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를 알고 있는 응답자는 41.9%였으며, 치과위생사가 장기요양요원으로서 활동할 수 있는 것에 대해 알고 있는 경우는 31.6%로 낮았다. 또한 향후 장기요양요원으로 참여하고 싶은 의사가 있는 경우는 43.1%이였으며, 방문간호센터에서 근무하고 싶은 의사가 있는 경우도 43.1%로 나타났다. 장기요양 요원에 대한 별도의 교육이 필요하다라는 의사를 보인 응답자는 76.7%이였으며, 장기요양요원으로서의 적정한 연령용 40~50대가 가장 적당하다라고 응답한 경우가 48.6% 가장 많았다. 2. 노인환자 구강관리 경험여부에서는 자주하는 경우는 51.8%로 조사되었으며 노인환자에 대한 친밀도에서는 편안하다라고 느끼는 경우는 31.6%로 나타났다. 자원봉사경험이 있는 경우는 33.6%이었으며 재학시절 노인과 관련 된 전문적인 교육을 받아 본 경험이 있는 경우가 34.8%, 재직 중에 노인에 대한 전문교육을 받아 본 경험이 없는 경우는 90.9%, 노인의 구강건강문제 관심도에서는 68.6%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3. 노인환자의 구강관리에 대한 경험여부와 치위생(학)과 재학 시 노인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경험은 장기요양요원의 적정연령의사와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냈다(p<0.01, p<0.05). 또한 조사대상자의 자원봉사경험여부와 재직 중 노인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경험여부에 따라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대한 이해정도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4. 노인구강건강문제에 대한 관심도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이해, 장기요양요원 활동정보에 대한 이해, 장기요양요원으로서의 근무의사여부, 방문간호센터 근무의사여부, 장기요양요원 별도교육 필요여부, 장기요양요원 적정연령의사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p<0.01, p<0.001).

  • PDF

보건계열 대학생의 봉사활동에 대한 지역사회 노인의 욕구 및 인식차이 조사 : 울산광역시 중심으로 (The Need and Perception about Volunteer of Student from Department of Health Care for the Old in the Community : Focus on Ulsan City)

  • 홍은경;김경미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71-80
    • /
    • 2012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내 보건의료관련 봉사활동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노인 그룹과 경험이 없는 노인 그룹에서 보건계열 대학생의 봉사활동에 대한 욕구 및 인식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0년 8월부터 2010년 11월까지 노인복지관과 경로당을 이용하는 노인 79명을 대상으로 개별면접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 노인의 현재 건강상태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본 결과, 보통의 응답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현재 앓고 있는 질환을 알아본 결과, 재활의학과, 순환기내과, 앓고 있는 질환이 없음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보건계열 대학생의 봉사활동에 대한 노인의 인식 정도를 알아본 결과, 이전에 보건의료관련 봉사활동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그룹과 경험이 없는 그룹 모두에서 긍정적이었다. 그러나 이전에 봉사활동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그룹과 경험이 없는 그룹 사이에 보건계열 대학생의 봉사활동에 대한 인식에는 통계학적인 차이가 없었다. 노인이 참여하고 싶은 보건계열 대학생의 봉사활동은 재활의학과 서비스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 : 지역사회 내 의료사각지대에 있는 노인에게 필요한 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보건계열 대학생의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봉사활동이 필요하다.

  • PDF

평생 교육적 여가스포츠를 통한 디지털 시대의 신노인상 정립 (Establishment of the Digital Era Elderly by Lifelong Educational Leisure Sports)

  • 김명미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933-940
    • /
    • 2013
  • 우리나라는 지금 고령사회의 도전에 직면해 있다. 젊은 경제활동인구가 감소하고 노인인구가 크게 증가하는 고령사회에서는 전대미문의 노인문제가 제기된다. 노인 인구가 급작스럽고도 빨리 증가하는 사회는 고령화의 쇼크, 고령화 사회의 지진 등으로 불리는 미래사회의 위기를 경고하고 있다. 한국의 노인들은 여러 사회적인 요인으로 인해 제대로 교육을 받지 못한 집단으로 어느 구성원 보다 평생교육이 필요한 집단이며 노인들은 평생교육의 주요 대상자로 부각되고 있다. 현대사회는 문화수준의 향상과 함께 삶이 윤택해지고 삶에 대한 개인적인 욕구가 높아지면서 여가생활의 필연성이 강조되고 있고, 여가스포츠를 통해 단순히 스트레스만을 해소하기 보다는 그것을 통해 교육의 기회를 제공받고자 한다. 또한 노인 여가스포츠 활동은 21세기에 요구되는 노인상, 즉 주체적인 노인, 생산적인 노인, 봉사하는 노인, 정보화된 노인, 통합적인 노인으로 노인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이 되어야 하고 여가스포츠를 체계적으로 제공하는 전문 여가스포츠 프로그램이 평생 교육적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노인의 평생 교육적 차원으로써 여가스포츠는 건강증진과 사회성 함양, 그리고 자아실현과 함께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큰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으며, 21세기가 요구하는 자립적인 생활을 영위하며 남에게 의존하지 않고 당당하게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디지털 시대의 성공적인 신(新)노인상을 정립 하는데 큰 의미가 있을 것이다.

지역사회 재가 암환자 관리 체계 구축 - 일 시 지역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a Community-Based Management System of Home-Stay Cancer Patients)

  • 김분한;정연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4권2호
    • /
    • pp.154-160
    • /
    • 2001
  • Purpose : This study, as the first year project of setting up a community based management system, was attempted for the cancer patients and their family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investigating and managing the cancer patients, educating volunteers and connecting the patients with the volunteers were performed. Method and result : The education of managing cancer patients for the volunteers was done once in lune for 2 days to the 80 volunteers. Questions about education effect, volunteer motivation and so on were made up. The survey showed, generally, education satisfaction level was high and a longer education and an intensive course were needed and was suggested that organizing a volunteer community be needed for the continuous further education and systematic management. As the result, after the public health center and volunteers deliberated, a volunteer community consisting of 4 teams, 28 members was organized, launched in Oct. and operated for the cancer patients and their family. For investigating and enrolling the patients, advertising on a local information paper, recommending of local doctors, publicizing by educating the heads of a subdivision of the city, the heads of a neighborhood association and the people in charge of the related local communities such as women's society, and surveying the community by volunteers were performed and the total, 41 patients were registered. Management of cancer patients was carried out by volunteers in a community and in a nursing school. A regional volunteers' community is composed of 23 members and they have worked 87 times, that is 3.8 times per capita on an average. The content of duties is attending the education (41.1%) the most. A volunteers' community of nursing students composed of 12 members have worked 135 times, that is 11.3 times per capita on an average. The content of duties - consulting with patients and home visiting (37.8 %) were the most and survey for investigating the cancer patients was the second. Conclusion : This study has the meaning that this is the guiding attempt in building a community based management system, and especially the achievement of this study is that a regional society organized a volunteer community for the cancer patients by itself and went into action for the cancer patients and their family. Furthermore, to activate this volunteering, it is necessary to keep managing volunteers and running continuing education or the intensive course of the volunteers. Indeed we should let the patients have good impression on this program through publicity and education for the residents to keep track of more cancer patients. For that, systematic and powerful cooperation of a self-administrative organization is required.

  • PDF

지역 다문화 활동과 CCAP를 활용한 세계지리 수업에 관한 연구 (An Study on World Geography Lessons Using Local Multi-cultural Activities and the CCAP (Cross-Cultural Awareness programme))

  • 김시구;조철기;조현미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31-244
    • /
    • 2011
  • 본 연구는 지역 다문화 자원을 활용한 체험활동과 CCAP를 활용한 세계지리 수업이 학생들의 다문화 이해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것이다. 지역 다문화 자원을 활용한 체험활동은 주로 수업이 없는 주말을 이용하여 이주민 커뮤니티 탐방, 다문화 센터 봉사활동, 유네스코 협동학교 프로그램 참여, 다문화 관련 라디오 프로그램 제작 및 진행등을 통해 이루어 졌다. 그리고 CCAP를 활용한 수업은 세계지리 동남 및 남부아시아 단원을 파키스탄, 필리핀, 미얀마, 캄보디아 등의 국가 중심으로 재구성한 후 이곳 출신의 외국인을 강사로 초빙하여 오리엔테이션을 포함하여 5차시에 걸쳐 이루어졌다. 지역 다문화 자원을 활용한 체험활동과 CCAP를 활용한 세계지리 수업 전후로 실시한 조사 결과에 의하면, 학생들은 교실 안팎에서 외국인과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이들에 대한 거부감이 친밀감으로 전환되었으며 맥락화된 지역 지식을 통해 다문화를 진정으로 이해하고 존중할 수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다문화 활동과 CCAP를 활용한 세계지리 수업은 학생들로 하여금 제3세계 국가에 대해 가지고 있던 고정관념 및 편견에서 벗어나 다른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할 수 있는 글로벌 시민성의 함양에 기여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이 세계지리를 통한 수업이 학생들로 하여금 교실 안팎의 다양한 다문화 현상을 직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지속적으로 제공한다 면, 탈맥락적 지역 지식을 전수하는 교과목이라는 부정적 이미지에서 벗어나 세계화와 다문화 시대에 절실하게 요구되는 맥락적 지식과 배려와 관용에 기초한 글로벌 시민성을 함양시키는데 매우 적합한 교과목으로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해양사가 새뮤얼 엘리엇 모리슨(Samuel Eliot Morison)의 해전사 서술과 그 현대적 의미 - 『제2차 세계대전기 미국 해군 작전사』를 중심으로 - (Historian Samuel Eliot Morison and Writing History of United States Naval Operations in World War II)

  • 김현승
    • Strategy21
    • /
    • 통권42호
    • /
    • pp.53-82
    • /
    • 2017
  • Samuel Eliot Morison (1887-1976) was one of the pre-eminent historians of his generation. He was not only a famous historian at that time, but also was promoted to the rank of Admiral in U.S. Navy Reserve. Fifteen volume History of United States Naval Operations in World War II was published between 1947 and 1962, was not only a comprehensive report on the Navy's projection of power over two oceans, but a classic of historical literature that stands as the definitive treatment of it subject. Although he was fifty-five when war come to America in December 1941. Samuel Eliot Morison was determined to play a role. A professor at Harvard at the time, he joined volunteering for duty in the Navy. An experienced sailor, Professor Morison had earlier sailed that same routes taken by Christopher Columbus while researching his biography, Admiral of the Ocean Sea, which appeared in January 1942 th much acclaim and later got a Pulitzer Prize. Thus Morison plunged into the war, crossing the Atlantic aboard a destroyer. He assumed himself as "Parkman on the sea", tried to follow Parkman's historiographic method, not only participatory history but also literary style. And during writing History of United States Naval Operations in World War II, He emphasized two principles, publicity and objectivity. In terms of publicity, he always worried about who read history and why. In his pamphlet, "History as a Literary Art", he asserted it is useless if readers do not read a history which historians wrote. So he thought historians have forgotten that there is an art of writing of history. Therefore, he built his narratives around brightly rendered visuals and used the present tense to describe actions he witnessed firsthand, he wrote of the U.S. combat in very vividly. But strongly driven by publicity, he sometimes lost his balance in writing the naval history. For instance, the naval history became the focus of criticism for its prejudiced comments about the commanders. Also some reviewers asserted he did not secure the objectivity on writing the naval history. Although he sometimes deliberately torpedoed the objectivity of his work for strengthening publicity, by writing an extensive U.S. naval history, he introduced maritime history and naval history to the public widely. Until in early twentieth century, U.S. historians usually had been focusing their effort to the traditional areas, for example politic, economy, and etc. His intensive effort on the operations of U.S. Navy in World War II aroused a public interest in maritime and naval history. In conclusion, through using literary style and realistic narratives, historian Morison wrote a naval history for all the people which could appealed to the public.

예비유아교사가 경험한 자기 주도적 봉사의 의미 탐색 -초등학교 저학년 돌봄 교실 봉사를 중심으로- (Exploring the Meaning of Self-directed Service experienced by Preservice Teachers -Focused on the Service of Daycare Programs for Lower Grades of Elementary-)

  • 황지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443-452
    • /
    • 2016
  • 본 논문은 예체능 및 놀이문화 형성 프로그램 중심의 '2016 여름방학 대학생 돌봄교실 봉사'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이들이 봉사과정을 통해 겪은 경험의 의미를 질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예비유아교사 6명으로 이들은 봉사프로그램의 계획, 예산편성, 재료구입, 실천, 평가까지 일련의 모든 과정을 스스로 해결해야하는 자기 주도적 봉사의 취지를 수용하고 참의의사를 밝힌 상황에서, 방학 중 40시간 이상 초등학교 저학년(1~2학년) 돌봄교실을 방문하여 봉사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자료로는 연구참여자저널, 개인면담 및 단체면담 전사본, 전화통화 전사본, 메일, 차수별 자체평가 기록지 등을 활용하였으며, 연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삼각측정, 구성원검토작업, 전문가의 조언과 검토 등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자기 주도적 봉사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들의 봉사경험관련 의미는 '생각하는 힘이 자라요', '소통의 중요성을 깨달아가요', '함께 하는 자체가 중요해요', '자원 정보 활용능력이 필요해요' 등으로 이루어진 '역량을 갖춘 전문적인 교사 되어가기'와 '유초연계교육의 필요성을 알아가요', '유초연계교육에 대해 배우고 싶어요' 등으로 세분화된 '유초연계교육에 대한 안목 키워가기'로 크게 범주화되었다.

귀농인의 사회·경제 활동과 함의 (A Qualitative Inquiry on the Social and Economic Activities by Immigrant Farm Households)

  • 김정섭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1권3호
    • /
    • pp.53-89
    • /
    • 2014
  • 이 연구에서는 귀농인이 농촌 지역사회에 정착하는 과정에서 수행하는 다양한 사회 경제 활동을 고찰하였다. 2006년 이후 발표된 것들 가운데 귀농인을 대상으로 한 면담 조사 내용을 인용하고 있는 연구물 8편을 분석하였다. 귀농인의 경제 활동을 농업생산 활동, 농산물 가공 및 농촌관광 등 농업 연관 농외소득활동, 농업과 무관한 겸업활동 등으로 분류하였다. 사회 활동을 자원봉사 활동, 지역사회 조직 활동, 학습 활동, 문화여가 활동, 지역 공동체 안에서 주민과의 일상적 관계 속에서 일어나는 일상적 상호작용 등으로 분류하였다. 그런 활동들이 어떤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는지, 귀농인들은 그것에 어떤 의미를 부여하는지를 고찰하였다.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귀농 가의 농업 경영 규모는 대부분 소농이므로 귀농 가구의 다각적 경제활동을 촉진할 필요가 있다. 둘째, 귀농 가구의 다각적 경제활동은 농촌 지역사회의 경제적 지속가능성에도 기여할 것이다. 셋째, 귀농인의 경제 활동은 가구의 생계전략뿐만 아니라 자조적 지역사회 발전 전략이라는 차원에서도 의미 있는 활동이다. 넷째, 귀농인의 지역사회 참여는 농촌 지역사회의 사회자본 증진에 기여하는 활동이지만 단기간에 활발하게 이루어지지는 않고 있다. 다섯째, 여성 귀농인의 지역사회 참여 및 사회연결망 편입은 중요한 정책 과제이다.

과학동산 운영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f Running질 Science Garden질)

  • 채동현;이수영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1권2호
    • /
    • pp.263-288
    • /
    • 2002
  • 'Science Garden' is a science program that develops acquirements of science & technology at an early stage through experiential study and inspire the spirit of scientific inquiry by carrying out laboratory work, science movie, science lecture, scientific work, outdoor activities, computer classes and science experiment which is hard to do through the regular educational course. It is targeted grade 4,5,6 students during summer and winter vacation. 'Science Garden' is conducted by selective participation freely. It is a wholelistic activity that develops children's potential talents or creativities, improves interest and attitude toward science, and also gives opportunity for self-realization by extending capacity for inquiry to show each student's ability. This study is observed and is compared how it is conducted in elementary school using qualitative study. This study is used narrative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 and document analysis. Objects of narrative observation are two elementary schools, each from Jellabukdo and Gyeonggido, and 7 teachers were interviewed in-depthly. Here are results of the study. 1 A teacher in school G never takes part in student activities, tends to be indifferent to classes, but focuses on observation and experiment in laboratory. And feedback or evaluation about student's activity is never done. On the other hand, a teacher in school S guides students to understand the principals of science on themselves, and wide variety forms of activities such as role playing, discussion, and games are being done. But an effort to evaluate student's activity is not being made properly. 2. Teachers set a high valuation on the need of 'Science Garden'. Observing the way of conducting 'Science Garden', usually teachers who is in charge of science for official work is selected as a teacher in charge, and groan under a heavy burden of conducting it without anyone's help. Participating students are selected by volunteering or teacher's recommendation, but because of low Participation rate, teachers have difficulty in conducting it. Plan for conducting ‘science Garden’ is made 20 days before it, after getting an official document from Office of Education, refering to booklets produced by National Jungang Science Institute, or data from Office of Education, and internet. Teachers evaluate rarely Most school principals have interest in 'Science Garden' but parents are not well aware of it, The budget is made at the same time with the plan, and scale is varied between 200,000∼500,000 won. Because of the improper way of selecting teacher in charge, difficulty in selecting students, heavy works caused by planning, conducting the program, as well as reporting teacher's work, and lack of parents' awareness, 'Science Garden' has been conducted formally and superficially. Next gives you direction to change, for the right way of conducting' Science Garden'. It is important to motivate competent teachers to instruct students actively. For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They should publicize thoroughly beforehand, and develope 'Science Garden' program for teachers to be able to make better use of it. Evaluation of student activities and program should be done in the aspect of developing students’ faculties. Beside of school facilities, they need to put diverse local facilities and places to practical use for immediate natural experience. And not only separate schools but also associated form of schools to conduct it is necessar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