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ice training

검색결과 177건 처리시간 0.021초

전통적 벨칸토 발성훈련법에 기초한 음성전문직업인 발성훈련의 표준화 (Standardization Voice Training Method for Professional Voice User Based on Traditional )

  • 김철준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7-19
    • /
    • 2017
  • Opera singers train their vocal organ to have a good timbre of voice. They train and train again to have a strong resonance, large range of voice, homogenous color of voice, a voice goes far and to avoid vocal disorder, etc. This article is analyzing from scientific and medical perspective. It could approach the secret of the great art of 400 years history - . Furthermore standardizing voice training method based on will facilitate to train, therapy and care the voice professional user and voice disorders.

  • PDF

배우 음성 훈련을 위한 EVT 구조연습 활용방안 II (How to Use EVT Figures for Actor Voice Training II)

  • 이영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647-664
    • /
    • 2022
  • 본 연구는 음성 과학에 근간을 두고 있는 에스틸 보이스 트레이닝(Estill Voice Training) 모델의 구조연습(Figure)이 배우가 인물을 창조하는 연기예술에 있어 음성적 전문성의 확장으로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고 그에 따른 활용방안을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음성 산출 기관의 유동성과 구조적 측면의 기능성을 통한 훈련 모델은 모호한 추상성에 기인하여 소리의 결과에만 천착하는 기존의 음성 훈련과는 차별화된다. 가성대, 윤상연골, 연구개, AES, 앵커링 등 후두부와 성도의 수의적 조정 능력을 개발하는 것은 예술적 목표음 산출을 보다 용이하게 만드는 과학적 효율성을 가지며 배우가 직면하는 기능적 한계를 창조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기술적 방법론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음성 산출 요소 간의 조화와 협응을 위한 원리적 훈련인 에스틸 모델의 구조연습은 이미지와 추상성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국내의 배우 음성 교육에 대안적 훈련 모델로 활용될 수 있는 실용적 가치를 지닌다.

다문화가족 구성원 대상 보이스트레이닝 서포터스 양성과정 운영 사례 연구 -B대학교 정부 지원 사업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Voice Training Supporters' Training Course Management for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Focus on B University's Governmental Support Policy)

  • 이영희;조위수
    • 한국어교육
    • /
    • 제28권4호
    • /
    • pp.121-147
    • /
    • 2017
  • This study shows the current management status and the results of B University's multicultural creative-HR team's voice training supporters' preparation course that is part of the local funding project at the university. For this, the concept of voice training and educational contents of the multicultural members are first extracted from several documents. Then, a description of the management case of B University's voice training supporters' education course is given regarding the goals, operator of management, propulsion progress, and contents of previous education. For analyzing the management results of this work, in-depth interviews with the supporters and a half-structured survey are conducted with the voice academy main instructors. Moreover, reports of the work results, work journals of supporters and etc. are used for analyzing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e aspect of education, previous education contents, and teaching practicum are not organically connected. A more detailed curriculum about the comprehension ability of practical affairs is needed for managing a classroom. In aspect of management, the preparatory stage of voice training course and the practice stage were not linked, and thus, more cooperation is required with the main instructors. Although the results are limited, the voice training of the supporters' training course has its implications. First, the education of Korean pronunciation and intonation are provided for the supporters, thereby being able to facilitate learner-centered education. Second, it demonstrates in an empirical case that a class can be administered by specializing in Korean pronunciation and intonation. At last, it can provide a chance to practice teaching and offer field experience for students who have a Korean education major.

배우 음성 훈련을 위한 EVT 구조연습 활용방안 I (How to Use EVT Figures for Actor Voice Training I)

  • 이영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136-148
    • /
    • 2021
  • 본 연구는 음성을 예술적 표현 수단의 매개체로 사용하는 배우의 연기 예술에서 음성 기관의 독립적인 조절,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에스틸 보이스 트레이닝(Estill Voice Training) 모델의 이론적 원리와 구조연습 훈련이 배우 음성 운용에 적용될 수 있는 긍정적 효용성을 탐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생성기관의 원리에 기인하여 음성 산출물의 상이점을 조절하는 음성 과학적 방법론에 대한 연구는 심리와 신체를 함께 아우르는 기존의 배우 음성 훈련에 비해 국내에서 활발히 소개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음성은 해부 생리학을 근간으로 우리 몸에 대한 이해가 선행될 때 운용의 정확성과 안정성을 담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인물 창조의 요소인 인물의 음성적 성격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배우 음성 훈련에서 자기 수용적 감각을 통한 훈련 모델을 고찰하는 것은 배우가 일련의 목표음을 산출하는 과정에서 원리적이며 실질적인 방법론으로 모색될 수 있다는 실용적 가치와 대안적 의의를 지닌다.

연기 교육에서 무대 언어의 발성 훈련에 관하여 - 유리 바실리예프의 무대 언어 훈련방법 - (On The Voice Training of Stage Speech in Acting Education - Yuri Vasiliev's Stage Speech Training Method -)

  • 쉬청캉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203-210
    • /
    • 2021
  • 유리 바실리예프(Юрий Васильев)는 배우이자, 감독 및 연극 교수이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수여하는 우정 훈장을 수상한 러시아의 공로 예술가이자, 러시아 페트로프스키 과학 예술 아카데미의 학자, 러시아 국립 공연 예술 아카데미교수, 독일 뮌헨 바이에른 연극 아카데미 교수이다. 그는 연극배우의 음성, 언어 및 운동 기능 완성을 위해, 생리적 감각을 자극하는 방법을 만들어낸 창시자이다. 유리 바실리예프는 공연 예술에 대한 체계적 이해를 기반으로, 연기교육에서 독특한 언어 표현 및 기술 훈련 방법을 고안했다. 복잡한 연극 무대예술 훈련에서 가장 근본적이며 가장 중요한 기술 부분을 찾아 집중적으로 훈련을 하는데, 이것을 우리는 기본기 훈련이라고 부른다. 전체 훈련과정을 총괄적으로 보면, 유리 교수의 연기교육에서 연극배우의 대사에 대한 요구는 매우 뚜렷하다:"행동! 이것은 배우의 창작에 있어 기본 중의 기본이다. 그렇기에 행동은 배우가 지배한다. 행동과 소리는 밀접하게 연결된다. 배우의 목소리-인간의 소리, 생명, 감각, 경험이자 재난이다. 배우가 개성적인 목소리-를 얻는 것 역시 창작의 기초이다. 우리는 소리-발음을 똑바르게 하는 것, 발성의 호흡, 말투와 어조, 속도와 리듬, 표현력, 진정성, 무대 발성과 동작, 손동작-이 모든 것을 통해 배우의 목소리를 훈련하고, 연극의 표준인-목소리의 동작성을 훈련한다. "요컨대, 유리 교수의 연기교육에서 훈련과정은 무대 표현력과 기교에 대한 훈련일 뿐 아니라 그 속에는 풍부한 연극관과 공연관이 담겨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연기교육에서 훈련의 수단과 방법을 차용하는 것과 유리 바실리예프 교수가 사용한 훈련 방법의 출발점과 목표의 중요성을 이해하고자 한다. 또한 연기교육에 있어서 무대언어 훈련방법을 적용하여 무대언어의 표현력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Voice Therapy in the Professional Voice Users

  • Jeong Ok Ran
    • 대한음성언어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언어의학회 1998년도 제10회 학술대회 심포지움
    • /
    • pp.222-222
    • /
    • 1998
  • Ⅰ. Palliation vs. Correction, Ⅱ. Voice Care for the Professional, 1. laryngeal lubrication, 2. voice rest, 3. voice training, 1) reinstatement of voice, 2) vocal conditioning, Ⅲ. Don't-Guidelines for the Professional, Ⅳ. Do-Guidelines for the Professional, Ⅴ. Voice Conservation in Winter, Ⅵ. Audible Clues for Potential Voice Problems, Ⅶ. Things Which can Cause Problems, Ⅷ. Conclusion. (omitted)

  • PDF

강도 및 음도 조절을 이용한 훈련이 파킨슨병 환자의 음성 및 발화명료도 개선에 미치는 효과: 사례연구 (The Effects of Voice and Speech Intelligibility Improvements in Parkinson Disease by Training Loudness and Pitch: A Case Study)

  • 이옥분;정옥란;고도흥
    • 음성과학
    • /
    • 제8권3호
    • /
    • pp.173-184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manipulating loudness and pitch in terms of speech intelligibility and voice of a patient with Parkinson's Disease. The subject, who was diagnosed as a patient with Parkinson's disease 11 years ago, demonstrated a severely breath voice with low intensity. The accuracy of articulation in consonants was intelligible only at the single word level, and the overall intelligibility in continuous speech was low.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ubject's articulation accuracy and speech intelligibility was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having loudness and pitch training. Habitual Fo, Jitter, Shimmer, Fo tremor, Amp tremor were decreased after training. In addition, the value of HNR also increased after training. It was shown that the changes of these acoustic parameters were closely related to the decrease of breathiness in Parkinson's voice, and this decrease of breathiness affected speech intelligibility considerably.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it was claimed that the vocal training by manipulating the loudness and pitch could be highly effective in improving the voice quality and speech intelligibility in Parkinson's Disease.

  • PDF

성대 기능 훈련이 성대결절 환자의 음성개선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Vocal Function Exercise on Voice Improvement in Patients with Vocal Nodules)

  • 임혜진;김정규;권도하;박준영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권2호
    • /
    • pp.37-42
    • /
    • 2009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management program known as vocal function exercise (VFE) on voice quality. Typical VFE was modified and applied to patients with vocal nodules by controlling intensity of voice and relieving the vocal fold to solve hyperfunctional problems in VFE. Eight female subjects aged between 28 and 54 who had been diagnosed with vocal nodules took part in the study. The patients performed VFEs once a week for eight weeks. Vocal function exercises consist of voice hygiene, respiratory training, phonation training, and glide training. The subjects' voices were analyzed pre and post therapy on the aspects of acoustics, maximum phonation time (MPT), GRBAS, and voice handicap index (VHI).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fundamental frequency ($F_o$) was significant increased, shimmer decreased remarkably and that noise to harmonic ratio (NHR) lowered obviously in the acoustic parameter. In addition, MPT was increased significantly. The scale of GRBAS indicat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grade, roughness, and strained voice. VHI indicat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an emotional part. In conclusion, VFE was effective in improving voice quality for patients with vocal nodules.

  • PDF

성대접촉이완훈련이 성대결절아동의 음성개선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Vocal Relaxation Training on Voice Improvement of Children with Vocal Nodules)

  • 한지은;성철재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4권4호
    • /
    • pp.147-154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voice improvement when vocal training, which relaxes the vocal contact, is applied to children with vocal nodules. Subjects included 20 5- to 12-year-old boys with vocal nodules in Otolaryngology and for whom voice therapy had been advised. The vocal therapy was conducted for 40 minutes per a week for a total of eight times. Results were evaluated by videostroboscopy, auditory-perceptual evaluation of GRBAS Scale, aerodynamic test, and acoustic analysis before and after therapy. As a result, first, the size of vocal nodules was reduced and the unstable pattern of vocal contact was improved. Glottic closure was increased and Phase symmetry was decreased during vocal vibration. Mucosal wave was increased and muscle tension of the larynx was reduced. Second, auditory-perceptual evaluation showed that subjects' overall quality of voice improved. GRBAS Scale Evaluation show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voice which were rough, breathy, and strained and breathy were reduced after therapy. Third, the measurements of acoustic parameter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The fundamental frequency of the subejects' voice was increased and values of Jitter and Shimmer, NHR, [H1-H2] decreased. Fourth, the maximum phonation time of children was increased. These results imply that vocal relaxation training conducted in this study has a very positive effect to improve the voice of children with vocal nodules.

발성장애아동을 위한 발성훈련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peech-Training System for Voice Disorders)

  • 정은순;김봉완;양옥렬;이용주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권1호
    • /
    • pp.97-106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발성장애아의 음성적 특징을 중심으로 컴퓨터 기반 발성훈련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본 발성훈련시스템은 선행훈련, 발성인지훈련, 발성강화훈련 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발성장애 아동의 발성의 상황과 레벨을 분석하고 반복학습 및 개별학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컴퓨터를 기반으로 발성장애아의 음성을 디지털 신호처리하기 위해 음성적 파라미터 즉, 음성의 강도, 음성의 고저, 유 무성음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음성적 파라미터는 이동체의 움직임 벡터 값으로 변환하여 이미지, 애니메이션, 게임적 요소와 같이 시각적으로 피드백 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