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ice Recognition

검색결과 644건 처리시간 0.037초

인간-로봇 상호협력작업을 위한 모바일로봇의 지능제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telligent Control of Mobile Robot for Human-Robot Cooperative Operation in Manufacturing Process)

  • 김두범;배호영;김상현;임오득;백영태;한성현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137-146
    • /
    • 2019
  • This study proposed a new technique to control of mobile robot based on voice command for (Human-Robot Cooperative operation in manufacturing precess). High performance voice recognition and control system was designed In this paper for smart factory. robust voice recognition is essential for a robot to communicate with people. One of the main problems with voice recognition robots is that robots inevitably effects real environment including with noises. The noise is captured with strong power by the microphones, because the noise sources are closed to the microphones. The signal-to-noise ratio of input voice becomes quite low. However,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noise by using information on the robot's own motions and postures, because a type of motion/gesture produces almost the same pattern of noise every time it is performed. In this paper, we describe an robust voice recognition system which can robustly recognize voice by adults and students in noisy environments. It is illustrated by experiments the voice recognition performance of mobile robot placed in a real noisy environment.

IoT를 위한 음성신호 기반의 톤, 템포 특징벡터를 이용한 감정인식 (Emotion Recognition Using Tone and Tempo Based on Voice for IoT)

  • 변성우;이석필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5권1호
    • /
    • pp.116-121
    • /
    • 2016
  • In Internet of things (IoT) area, researches on recognizing human emotion are increasing recently. Generally, multi-modal features like facial images, bio-signals and voice signals are used for the emotion recognition. Among the multi-modal features, voice signals are the most convenient for acquisition. This paper proposes an emotion recognition method using tone and tempo based on voice. For this, we make voice databases from broadcasting media contents. Emotion recognition tests are carried out by extracted tone and tempo features from the voice databases. The result shows noticeable improvement of accuracy in comparison to conventional methods using only pitch.

적응 MFCC와 Neural Network 기반의 음성인식법 (Voice Recognition Based on Adaptive MFCC and Neural Network)

  • 배현수;이석규
    •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57-66
    • /
    • 2010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nhanced voice recognition algorithm using adaptive MFCC(Mel Frequency Cepstral Coefficients) and neural network. Though it is very important to extract voice data from the raw data to enhance the voice recognition ratio, conventional algorithms are subject to deteriorating voice data when they eliminate noise within special frequency band. Differently from the conventional MFCC, the proposed algorithm imposed bigger weights to some specified frequency regions and unoverlapped filterbank to enhance the recognition ratio without deteriorating voice data. In simulation results, the proposed algorithm shows better performance comparing with MFCC since it is robust to variation of the environment.

음성인식 시스템에서의 Voice Web Browsing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oice Web Browsing in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Application System)

  • 윤재석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949-954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의 GUI 중심의 웹 어플리케이션을 VUI 중심의 웹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하기 위한 음성 인식 항공 정보 시스템을 설계 구현하였다. 이러한 ASP(Active Solver Page)로써 구현한 윈도우 서버 기반에서 운용되는 시스템에 관한 Web 관련 ASR(Automatic Speech Recognition)연구가 최근 상당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ASP의 웹과의 제한성으로 인해 시스템의 속도면, 이식성 등에서 제약을 가져왔다. 이와 같은 제약성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음성 정보 및 동적 VoiceXML을 구현하는 자바 빈즈(JAVA Beans) 컴포넌트 구조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Remote An(Abstract Windows Toolkit)기술을 이용하여 GUI 및 VUI 에서의 음성 및 그래픽 정보를 동시에 전달 가능하게 하는 Voice 웹 브라우징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음성인식기술의 노인간병 적용을 위한 정책연구 (A policy study for the voice recognition technology based on elderly health care)

  • 조병철;전수영;김갑년;육현승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2호
    • /
    • pp.9-17
    • /
    • 2018
  • 본 연구는 음성인식기술이 급격한 고령화를 맞고 있는 우리 사회의 노인문제 해결을 위해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목표로 삼았다. 국내에서도 본격적으로 고령자들을 위한 공공지원서비스나 민간간병 서비스 등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때 음성인식기술은 미디어인터페이스에 익숙하지 못한 노인들에게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진은 국내의 음성인식기술의 활용가능성과 일본 방문시 노인 간병에서 음성인식기술을 통해 이룬 성과를 조사했다. 특히 간병인들이 보고서를 작성할 때 음성인식기술을 이용해 수기로 작성하던 보고를 대체하여 업무시간을 크게 축소한 바 있는데, 이러한 방법은 국내에서도 쉽게 정책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고 판단했으며, 음성인식기술이 탑재된 로봇의 개발을 통해 노인부양의 사회적 비용을 줄여야 한다는 결론 역시 도달했다. 아울러 음성인식기술이 다양한 정서인식기능의 인공지능기반 프로그램과 결합을 통한 다양한 정책이 도모되어야 한다는 사실 역시 제안할 수 있게 되었다.

한국어 핵심어 추출 및 연속 음성 인식을 위한 다목적 전처리 프로세서 설계 (Design of Multi-Purpose Preprocessor for Keyword Spotting and Continuous Language Support in Korean)

  • 김동헌;이상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호
    • /
    • pp.225-236
    • /
    • 2013
  • 음성인식 기술은 단순한 단어 인식을 넘어 자연스럽게 발성한 연속 음성도 인식할 수 있는 수준으로 발전해 왔다. 아이폰에 탑재된 자연어 음성인식 처리 소프트웨어인 시리(Siri)가 2010년에 발표되면서, 음성인식에 대한 연구가 관심을 받고 있다. 한국어 음성 인식 소프트웨어들은 대부분 단어 위주의 인식 서비스로 구성 되어 있으며, 잡음처리 및 음성 에너지 조절 기능들이 부족해 만족할 만한 인식률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또한 요구된 발성 규칙을 따르지 못한 음성 질의들은 아예 처리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현실적 어려움을 개선할 수 있도록 다목적 전처리 프로세서를 제안하였다. 이 처리기는 음성인식 엔진에 독립적이며, 잡음 제거 기능, 규칙에 따르지 않은 음성 질의도 처리 할 수 있는 핵심어 추출 기능, 그 핵심어를 수식하는 전술부 및 그 해당 음성 질의로부터 수행하기를 원하는 후술부 까지도 추출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도록 하였다. 실험을 통해, 잡음 제거 효과 평가, 핵심어 인식 성공률, 연속음 인식 성공률을 측정하여 제안한 방법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항공기 음성인식 소프트웨어 품질 평가 모델 연구 (The Study on the Quality Assessment Model of Aircraft Voice Recognition Software)

  • 이승목
    • 한국소프트웨어감정평가학회 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73-83
    • /
    • 2019
  • 음성인식은 최근 인공지능 기술과 접목되면서 오인식률이 크게 개선되었고 사용자 관점에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HMI(Human Machine Interface)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방위산업 분야에서도 반영되고 있고 특히 항공분야에서 F-35에 적용이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에 대해서 품질평가를 위해 방위산업 특히 항공분야에는 객관적이고 평가 가능한 정량적인 모델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음성인식의 소프트웨어 측면에서 항공기에 적용하기 위한 정량적인 평가 모델을 제시한다. 평가 모델 제시를 위해 음성인식 적용 기술과 ISO/IEC 25000(SQuaRE) 제품 품질 속성을 이용해 평가 항목을 추출한다. 이러한 두 가지 항목의 연계를 통해 정량적인 평가 모델을 제시하고 사례 연구를 활용해 평가 결과를 확인한다.

음성명령에 의한 모바일로봇의 실시간 무선원격 제어 실현 (Real-Time Implementation of Wireless Remote Control of Mobile Robot Based-on Speech Recognition Command)

  • 심병균;한성현
    • 한국생산제조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07-213
    • /
    • 2011
  • In this paper, we present a study on the real-time implementation of mobile robot to which the interactive voice recognition technique is applied. The speech command utters the sentential connected word and asserted through the wireless remote control system. We implement an automatic distance speech command recognition system for voice-enabled services interactively. We construct a baseline automatic speech command recognition system, where acoustic models are trained from speech utterances spoken by a microphone.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baseline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system, the acoustic models are adapted to adjust the spectral characteristics of speech according to different microphones and the environmental mismatches between cross talking and distance speech. We illustrate the performance of the developed speech recognition system by experiments. As a result, it is illustrated that the average rates of proposed speech recognition system shows about 95% above.

가변위치 고음성인식 기술을 이용한 무선 홈 네트워크 시스템 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alization of Wireless Home Network System Using High-performance Speech Recognition in Variable Position)

  • 윤준철;최상방;박찬섭;김세영;김기만;강석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991-998
    • /
    • 2010
  • 실내 환경에서 음성인식 기술을 이용한 무선 홈 네트워크 시스템 구현에 있어, 잡음과 실내 잔향음은 시스템 성능 저하의 주요 원인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내 인식환경에서 스펙트럼 엔트로피(Spectral entropy) 기반의 음성 구간검출법을 이용하여 잔향음(reverberation) 및 실내잡음에 강인한 음성인식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한다. 스펙트럼 차감법(Spectral Subtraction)은 잔향으로 인해 왜곡된 신호를 스펙트럼 상에서 제거하여 잔향의 효과를 줄일 수 있고 음성신호와 독립적인 잡음을 제거 할 수 있다. 효과적인 스펙트럼 차감을 위해서는 음성과 비음성 구간의 정확한 구분이 수반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 엔트로피 기반의 음성 구간 검출법을 적용하여 성능을 향상시킨다. 모의 및 실내환경 실험 결과 Spectral entropy 기반의 음성 구간 검출법을 이용할 경우 실내 잔향 및 잡음환경에서 명령어 인식률의 향상이 증명되었다.

대화기능에 의한 모바일로봇의 실시간 주행제어 (Real-Time Travelling Control of Mobile Robot by Conversation Function Based on Voice Command)

  • 심병균;이우송;한성현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127-132
    • /
    • 2013
  • We describe a research about remote control of mobile robot based on voice command in this paper. Through real-time remote control and wireless network capabilities of an unmanned remote-control experiments and Home Security / exercise with an unmanned robot, remote control and voice recognition and voice transmission are possible to transmit on a PC using a microphone to control a robot to pinpoint of the source. Speech recognition can be controlled robot by using a remote control. In this research, speech recognition speed and direction of self-driving robot were controlled by a wireless remote control in order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mobile robot with two dri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