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cational Self-Efficacy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3초

중소병원 간호사의 재직의도 영향요인 연구 (A Study on the Factor of Retention Intention on Nurses i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 김미혜;박정민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195-203
    • /
    • 2020
  • 본 연구는 중소병원 간호사의 소명의식, 자기효능감 및 직장 내 괴롭힘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살펴봄으로써, 간호조직의 업무환경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18년 7월 17일에서 30일까지로 G광역시에 위치한 7개의 중소병원에서 6개월 이상 근무한 간호사 22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 WIN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측정도구로 소명의식은 Dik, Eldrige와 Steger (2008)가 개발한 소명척도(Calling & Vocational Questionnaire: CVQ)를 윤치호(2017)가 수정한 도구를, 자기효능감은 Sherer 등(1982)이 개발하고 정애순(2007)이 수정하여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사용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직장 내 괴롭힘은 Einarsen, Raknes와 Matthiesen (1994)이 노르웨이어로 개발한 부정적 행동경험 설문지(NAQ)를 남웅 등(2010)이 한국어로 번안한 도구를, 재직의도는 Cowin (2002)이 개발한 NRI (Nurses'Retention Index)를 김민정(2006)이 번안하여 사용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재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자기효능감(β=.24, p<.001), 소명의식(β=.23, p<.001), 연봉(β=.21, p=.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직장 내 괴롭힘(β=-.16, p=.008)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 관계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28.6%이었습니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중소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재직의도에 긍정적 영향 요인은 소명 의식, 자기효능감 및 연봉 수준이었고, 부정적인 영향 요인은 직장 내 괴롭힘 임을 확인하였다.

창업보육센터 매니저의 역량 특성이 조직몰입과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매니저의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Business Incubator Manager's Competency Characteristics Affec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Work Performance : Focused on the Manager's Self-Efficacy)

  • 박상호;강신철
    • 벤처창업연구
    • /
    • 제16권1호
    • /
    • pp.71-85
    • /
    • 2021
  • 국내 대표적인 창업지원 기관으로 창업보육센터, 창업진흥원, 테크노파크, 창조경제혁신센터 등이 있으며, 전국에 창업보육센터는 260여개가 있다. 창업보육센터는 운영 주체로 대학, 연구소, 재단·협회 등이 운영하고 있고, 센터는 센터장과 창업보육전문매니저(이하 '매니저') 등으로 구성되어 센터 운영관리 및 입주기업 창업보육지원서비스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그동안 창업보육센터 운영에 관한 연구는 주로 입주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중심으로 연구되었지, 창업보육센터 매니저의 역량 특성과 조직몰입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부족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창업보육센터 매니저의 역량 특성이 조직몰입과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탐색하고 각 요인 간의 인과관계를 밝힘으로써 창업보육센터 운영에서 매니저의 역할에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탐색적 연구로써 연구대상은 전국 창업보육센터에 근무하는 약 600명의 매니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유효한 116개의 응답 자료를 근거로 기술통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등과 구조방정식모형으로 가설을 검정하였다. 분석 결과, 창업보육센터 매니저의 인지적 특성인 기술, 행동적 특성인 의사소통과 상황대처가 매니저의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행동적 특성이 인지적 특성보다 자기효능감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매니저의 인지적 특성과 행동적 특성, 그리고 자기효능감은 조직몰입과 업무성과에 직간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매니저의 자기효능감은 조직몰입과 업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이러한 결과는 매니저의 역량 특성이 조직몰입과 업무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매니저의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창업보육센터 매니저의 자기효능감이 행동적 특성과 업무성과 간의 인과관계에서 매우 중요한 매개역할을 하므로 창업보육센터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매니저의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도록 업무환경을 조성하고 매니저의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이나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또한 본 연구결과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서 창업보육센터 매니저의 직무 능력에 자기효능감을 직업기초능력으로 포함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진로성숙도 간 자기회귀교차지연 효과검증: 서울지역 중·고등학생을 중심으로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areer Maturity us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b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 정주영;박균열;이인수;이수진
    • 직업교육연구
    • /
    • 제35권4호
    • /
    • pp.89-107
    • /
    • 2016
  • 본 연구는 서울지역 중 고등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진로성숙도 간 종단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서울교육종단연구 데이터를 활용하여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주도학습능력 변인의 경우, 1차년도에서 6차년도에 이르는 시간경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성숙도 변인 역시 1차년도에서 6차년도에 이르는 시간경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은 시간 흐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관계를 보인 반면, 진로성숙도가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학교에서의 자기주도학습 강화 프로그램 정착, 입시제도가 아닌 진로발달단계를 고려한 진로지도 및 진로교육, 중 고등학교에의 진로진학상담교사 추가 배치 등을 제안하였다.

REBT 진로 집단상담이 경력단절 30대 기혼여성의 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REBT Career Group Counseling on Self-Efficacy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of the Career-Inturrupted Married Women in Thirties)

  • 여숙현;김명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9호
    • /
    • pp.571-577
    • /
    • 2016
  • 최근에 경력단절 여성의 진로와 사회참여에 대한 문제가 많은 주목을 받고 있고, 주요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경력단절 30대 기혼여성에게 REBT 이론을 적용한 진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성 및 실시하여, 그들의 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J시 소재 초등학교 자녀를 둔 30대 경력단절 기혼여성 45명이었다. 본 연구에 지원한 45명을 상담집단(REBT 집단), 통제집단1(일반부모 교육 집단)과 통제집단2(직업상담사 교육집단) 3집단에 각 15명씩 무선배정하고 사전-사후 비교를 실시했다. 측정도구는 자기효능감 척도와 진로태도성숙도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REBT 진로 집단상담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자기효능감, 사회효능감, 자기효능감(전체) 등이 사후에 증진되었다. 또한 REBT 진로 집단상담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진로태도성숙도의 현실성, 준비성, 결정성, 진로성숙도(전체)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를 통해 REBT 진로 집단상담이 경력단절 30대 기혼여성의 진로와 경력에 대한 비합리적 신념을 보다 합리적이고 현실적인 신념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도가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향후 연구방향이 논의되었다.

고등학생의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관련 요인 (The Determinants of a Health Promoting Lifestyle in High school students)

  • 홍외현;김정남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330-346
    • /
    • 1999
  • This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variables related to a health promoting lifestyle in high school students. 304 high school students and 189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Taegu city were selected by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by self-reported questionnaires from August 24 to September 4, 1998. Pender and others'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Shere et al's. Self-Efficacy scale, Wallston et al.'s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scale, Wares' Health self rating scale and Cohen & Hoberman's Social support scale were used.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test, MANOVA, ANOVA. Tukey verific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an SA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score of a health promoting lifestyle performance was 2.38(SD=.36) of a 4 point scale .Self-actualization (mean = 2.80. SD = .60). interpersonal support(mean = 2.73, SD=.47), health responsibility (mean=1.53, SD=.47), nutrition(mean=2.64, SD=.63), exercise(mean=2.71. SD=.72) and stress management(mean=2.37, SD=.58) were also analyzed. 2. The combination of self-efficacy, social-support,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father's educational level and perceived health status explained 37.97% of the variance in health promoting lifestyles. 3. A Health promoting lifestyle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self efficacy(r=.5173. p=.0011), perceived health status(r=.254, p=.001) and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r=.321. p=.001). 4. According to sex(t=7.38. p=.006). economic state(F=6.62, p=.00l), Father's educational level(F=4.25, p=.005), mother's educational level(F=6.94. p=.000l), the grade of educational performance(F=3.74, p=.024), sleeping hours(F=3.47. p=.032) and social support(F=40.76, p=.000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nd modifying factors in health promoting lifestyles. On the basis of the above findings. self-efficacy in cognitive factors, and social support in modifying factors were identified as the variables which explained most of Pender's health-promotion model. Nursing strategies enhancing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which have a more significant effect on health promoting lifestyles should be developed.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find out the factors influencing health pormoting lifestyle of high school students.

  • PDF

중국 조선족 청소년의 자아상과 사회적지지 (Self-image and Social Support of Adolescents among the Korean - Chinese)

  • 최문향;김승희;오가실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5권7호
    • /
    • pp.1343-1352
    • /
    • 2005
  •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degree of self-image and social support among Korean-Chinese adolescents and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Method: A total of 621 Korean-Chinese adolescents in five middle schools in YanBian, China were recruited from March 1st to the 9th, 2005. Data was analys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test, and ANOVA with the SPSS 11.5 program. Result: In Korean-Chinese adolescents, the total self-image score was statistically different for age, parents' education status, parents' job and living with parents. In the 12 subscales, scoresof emotional tone, impulse control, sexuality, social functioning, vocational attitudes and self-reliance ha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regarding gender. The total self-image was in the average range. However, areas of mental health and family function were lower than average and the scale of idealism washigher than average. The adolescents perceived parent's support was higher then friend's suppor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image and social support.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ere is a need to examine self-image and social support of Korean- Chinese adolescents according to their parents' marital status and a need to develop a program to help these broken family's adolescents.

중장기 복무 제대군인 대상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 전직지원서비스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for Discharged Soldiers After Mid-to Long-term Service : Based on The Outplacement Service)

  • 최미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511-520
    • /
    • 2017
  • 본 연구는 현재 국가보훈처가 제대군인을 위해 실시하고 있는 전직지원서비스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전직지원서비스의 하위요인으로는 컨설팅, 교육훈련지원, 구직활동지원, 행정지원 등으로 설정하였고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으로는 직업정보수집 능력, 목표설정 능력, 계획수립 능력, 문제해결 능력, 자기평가 능력 등으로 설정한 후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해 서울, 인천,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중장기 복무 제대군인 남성 57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도구로 SPSS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측정,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전직지원서비스 중 행정지원만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모든 하위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5개 하위요인 중 문제해결 능력에 가장 높은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하위요인 중 직업정보수집 능력은 행정지원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컨설팅, 교육훈련지원에서는 부(-)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표설정 능력에서는 컨설팅, 행정지원에서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받았으며 교육훈련에 부(-)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계획수립 능력은 행정지원에 정(+)적인 유의한 영향을 받았고 교육훈련에 부(-)적인 영향을 받았다. 문제해결 능력은 컨설팅과 행정지원에서는 정(+)적인 유의한 영향을 받았으며 교육훈련지원에서는 부(-)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평가 능력은 전직지원서비스의 모든 하위요인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미용교육을 받고 있는 경력단절여성의 진로정체성과 사회적지지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areer Identity and Social Support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Career Interrupted Women with Experienced on Beauty Education)

  • 신수정;이인희
    • 패션비즈니스
    • /
    • 제22권4호
    • /
    • pp.145-159
    • /
    • 2018
  •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areer identity and social support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women who have experienced career interruption. Furthermore, the aim was to seek effective measures for making a career decision for the successful re-employment of women with a break in their career. From March $3^{rd}$ to April $2^{nd}$, 2018,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380 career-interrupted, married women with age between 30-50 years and with work experience of more than six months. The selected subjects had received 1-9 months of beauty education from various vocational training institutes, beauty academies, and women's center in Seoul and Gyeonggi region. A total of 361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SPSS Program for data analysis, Cronbach's ${\alph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employed for the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t was apparent that the establishment of a career identity and social support could play important roles in creating a relation with new career decisions for re-employment. Thus,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successful career preparation in women with career interruption.

고등학교 보건교육 관련 교사의 보건교육수행 및 관련요인에 대한 연구 (A Study on High School Health Education Teachers' Activities and Other Influential Variables)

  • 유재순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83-203
    • /
    • 1999
  • High school is regarded as the period when many important physical, mental and social developments occur, and when many health-related behaviors are formed. School health education is one of the major learning resources influencing health potential in the home and community as well as for the individual student. High school health education in Korea has a fundamental systemic flaw however, in that health -related subjects are divided and taught under various subjects at school. In order to achieve quality health education, it is essential to assess the learners' and teachers' educational needs. So far, most of the research projects that had been carried out for improving high school health education were limited to only the learners' educational need. They failed to in elude an educational assessment of the teacher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high school health education teachers' needs relating to health education were investigated through a focus on the teachers' health education activity level, health education activity self-efficacy level, and perceived level of importance in health education content. In this study, research instruments these factors were constructed by Yoo(1997) on the basis of the PRECEDE model.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a sample consisting of twenty general and vocational high schools in Seoul and Chongju for a two month period beginning in July, 1996. In analyzing the data, an ANOVA tes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ere accomplished using an SPSS - PC+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average level of health education activity and self-efficacy among high school health edu cation teachers were found to be low. But, teachers' perceived importance of health education contents was high. Teachers' activity and perceived importance concerning sex education were lower than in other health education areas. Health education activity of Military drill teachers was higher than that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s well as school nurses. But it was not significant. Health education activity self-efficacy of school nurses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teachers(p<.05). Perceived level of importance of health education contents wa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in teachers' health education activity. Health education activity self-efficacy level was not an influential variable in teachers' health education activit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has diagnosed the needs of high school health education through the teachers' assessment of a variety of health factors relate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management of an integrated health education, program requiring large changes in the curriculum of health education is necessary.

  • PDF

고등학생의 '진로와 직업' 교육과 '진로심리검사' 교육의 만족도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reer Education and Psychological Counseling Satisfaction on Career Self-Efficacy of High School Students)

  • 백주경;김응용;천준협
    • 한국자연치유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9-39
    • /
    • 2019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학생 568명을 대상으로 학교 진로교육(진로와 직업, '교과 연계 진로교육', '진로관련특강', '입시설명회', '진로심리검사', '영상미디어(시청각)자료')을 각 활동에 대한 교육 만족도가 학생들의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척도의 하위요인인 '목표선택', '직업정보', '문제해결' 및 '미래계획' 항목으로 나누어서 각 항목별로 만족도에 따라서 3개의 상집단, 중집단 그리고 하집단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방법: 대상자에게 설문지로 조사를 하였다. 결과: '진로와 직업', '교과 연계 진로교육', '입시설명회' 교육의 만족도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친 '목표선택', '직업정보', '문제해결' 및 '미래계획' 항목에서 모두 상집단이 중집단 및 하집단보다 높게 나타나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1). '진로관련 특강' 교육의 만족도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친 영향은 하집단> 상집단> 중집단 순으로 나타났으며, 상·하집단 수치와 중집단의 수치 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진로심리검사' 교육의 만족도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친 영향은 '목표선택' 및 '직업정보'에서는 상집단> 중집단> 하집단 순으로 나타났으며, 상집단 수치와 중·하집단의 수치 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문제해결' 및 '미래계획' 항에서는 상·중·하집단 수치간의 차이는 있었으나 유의성이 있는 차이는 아니었다. '영상미디어(시청각)자료' 교육의 만족도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친 영향에서는 상·중·하집단 간의 수치에 차이는 있었으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영상미디어(시청각) 자료' 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낮아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평가한다. 결론: 진로교육의 만족도가 높으면 '목표선택', '직업정보', '문제해결' 및 '미래계획'에 대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진로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여 주고 있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