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cational Rehabilitation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29초

Vocational Rehabilitation of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by Repeated Training of Horticultural Activities

  • Seol, Ga Ae;Yun, Suk Young;Choi, Byung Jin;Jang, Eun Jin;Jang, Hyun Hee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67-75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ffective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for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of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ven persons with mental disabilities in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team of a public health center located in G city, Gyeongsangbuk-do. A total of 10 horticultural programs were held from October 10 to December 11, 2018. Five programs were selected among those that were easy for the persons with mental illness to handle and their preference was high. In each session, the same task was repeated 10 times and finally changes in hand functions and working speed were measured. As a result, the assembly task of the Purdue Pegboard test was 23.6 (SD = 10.5) before the program, 26.6 (SD = 11.5) after planting, 27.7 (SD = 12.2) after wrapping pots, and 28.0 (SD = 13.9) after making mini flower baskets, 26.9 (SD = 12.0) after wrapping a single flower, and 29.1 (SD = 11.9) after making corsag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five programs (p = .016).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time taken to produce the same 10 products, the average planting time was 9.9 (SD = 4.0) minutes in the first class and 6.0 (SD = 2.3) minutes in the second class (p = .018), and making mini flower baskets was reduced from 35.2 (SD = 10.1) minutes to 21.0 (SD = 7.7) minutes (p = .018), wrapping a single flower from 23.3 (SD = 7.9) minutes to 16.2 (SD = 7.3) minutes (p = .043), and making corsages from 53.6 (SD = 15.9) to 40.8 (SD = 16.8) minutes (p = .043). The working time was significantly shortened in the second class compared to the first class. The class for wrapping pots was shortened from 52.7 (SD = 11.7) to 49.6 (SD = 17.8) minute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p = .398).

보육교사의 직업소명의식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Influence of educare teacher's vocational calling on job satisfaction: Focusing on social support mediating effect)

  • 성경주;황성원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71-90
    • /
    • 2017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업소명의식이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전과 충남지역 보육교사 270명을 지역적 위치를 고려하여 임의표집하여 전체 표본의 크기로 설정하였다. 2017년 7월 1일부터 8월 14일까지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내용을 불성실하게 기재하였거나 신뢰할 수 없는 14부를 제외한 257부(95,1%)를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분석과정에서 밝혀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지지에 대해 직업소명의 직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둘째, 직무만족도에 대해 직업소명의식과 사회적 지지는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업소명의식은 사회적 지지를 매개로 하여 직무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보육교사의 직업소명의식이 사회적 지지를 받을 때, 직무만족도는 높아지는 것을 알았다. 보육교직원의 직업소명을 높이는 사회적 심리적 지원시스템을 체계적으로 구축할 필요가 있다.

발달장애인의 직무수행도와 직업능력의 상관관계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Job performance and Vocational abilitie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김미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427-434
    • /
    • 2021
  •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수동휠체어 사후관리 직무수행도를 조사하고 직무수행도와 직업능력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보조기기사후관리 직업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발달장애인 9명을 대상으로 상황평가와 직업능력평가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비모수 통계처리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17개 직무로 구성된 수동휠체어 사후관리의 전체 직무수행도는 평균 80.87%였으며 발받침 세척, 팔걸이 세척, 앞바퀴 분해 및 조립 직무의 수행도가 비교적 높았다. 수동휠체어 사후관리의 전체 직무수행도는 시각폐쇄, 운동감각 통합, 기초개념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p<.05). 본 연구에서 확인된 직무수행도와 직업능력의 관련성은 발달장애인의 직업훈련 및 직무배치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보조공학과 직업재활 분야의 융합으로 활성화되고 있는 보조기기사후관리 직무의 지역사회 확산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기본교육과정 중학교 진로와 직업 교과 디지털 교재 개발 (Development of Digital Textbook for Middle School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of Basic Curriculum)

  • 류명옥;문상진;노진아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203-208
    • /
    • 2015
  • 이 연구에서는 중학교 장애학생의 효과적인 직업 교육을 위하여 기본교육과정 진로와 직업 교과의 직업 준비 '15. 판매(1)'에 대한 디지털 교재를 개발하였다. 총 6차시로 구성되어 있고 제재별 활동은 배움열기, 배움활동1, 배움활동2, 배움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저작도구로 나모펍트리에디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의 스마트폰, 태블릿PC, iOS 체제의 iphone, ipad 등 다양한 기기에서 호환이 가능하도록 제작하였다. 판매와 관련된 다양한 멀티미디어 자료, 용어 사전, 평가 문항, 연계자료 등 다양한 접근 방법으로 풍부한 학습 자료를 제공하고, 언제 어디서나 학생이 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매 차시 평가를 할 수 있도록 제작하여 장애학생의 학습을 지원하고자 하였다.

  • PDF

지역기반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수행기관간 연계강화에 관한 연구 : 연계경험 및 예측요인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Promoting Inter-organizational Linkages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of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 Focusing on Linkage Experiences and Predictors)

  • 이금진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4권
    • /
    • pp.35-64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지역기반으로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을 조합하여 규정하고, 이들간의 연계경험과 연계실태 및 연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질적조사와 양적조사를 병행하여 실시하는 삼각측정방식(triangulation)으로 진행되었다. 근거이론에 바탕을 둔 Strauss & Cobin의 절차에 따라 한 지역을 선정하여 담당자들의 연계경험을 분석하였으며, 설문조사를 통해 122개 기관의 연계실태와 연계시도요인, 연계강좌요인을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연계경험은 '다른 기관에 관심돌리기', 즉 '협력추구'과정을 도출되었으며, 협력추구유형으로는 '주도형 협조형 권위형 반응형'으로 분류되었다. 연계실태는 전반적으로 Tobin(1986)의 연계긴밀도 5단계에 따라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수행기관들은 3단계 조정(Coordination)이 필요한 시기로 나타났으며, 정신보건기관과 전통적 재활기관사이에는 '협조(Cooperation)'가 정신보건기관간, 전통적 재활기관간에는'조정'이 더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계시도'와 '연계강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구성을 개인요인과 조직요인으로 구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중다귀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개인의 '정신장애인 이해를 위한 교육연수경청'이 있을 경우, 조직의 '자원의존도'가 높을수록 연계시도를 할 확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의 '현 근무지 근무기간'이 길수록, '관련기관 사업인지도'가 높을수록, '정신장애인 이해를 위안 교육연수경험'이 있을 경우, 조직에 '직업재활전담인력'이 있을 경우 연계가 강화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실증적 분석을 통하여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수행기관간 연계강화방안을 논의하였다.

  • PDF

OECD 10개국의 장애인 고용률의 변화에 대한 연구 : 패널수정 표준오차(PCSE) 분석의 활용 (A Study on the Change of Employment Rate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10 OECD Countries using PCSE analysis)

  • 이수경;이선우
    • 사회복지연구
    • /
    • 제48권1호
    • /
    • pp.5-21
    • /
    • 2017
  • 본 연구는 OECD 국가의 장애인 고용정책이 장애인 고용률에 미치는 영향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장애인의무고용제 또는 차별금지제도를 실행하고 있는 OECD 10 개국이며, 2000년부터 2011년까지 12개년 시계열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이러한 시계열 횡단자료(time-series cross-sectional data)를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패널수정 표준오차(PCSE) 분석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통제변수 중에는 실업률, 장애인 출현율 및 장애급여(현금)지출비율이 장애인 고용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 고용정책요인 중에서는 차별금지제도 적용범위와 직업재활제도의 전달체계 유형이 장애인 고용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차별금지제도 적용범위가 넓을수록 장애인 고용률이 높고, 장애인 특화 기관을 운영하는 국가가 일반 기관을 운영하는 국가보다 장애인 고용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적용범위가 넓은 일반적 차별금지제도를 도입하고 장애인의 고용에 대한 욕구와 서비스에 전문성을 갖는 장애인 특화형 전달체계가 장애인 고용률 향상에 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원주시 지역사회중심 재활사업 평가 (Evaluation of a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Program in Wonju City)

  • 이충휘;이현주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39-158
    • /
    • 2003
  • This study evaluated the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services provided by the Wonju Public Health Center from Jan. 2000 to Dec. 2002. Ninety-four persons with disabilities dwelling in the community participated and the surveys were completed in an interview during home visits. The respondents' demographic, socio-economic, and medical characteristics, rehabilitation service received, willingness to receive home-visit rehabilitation services, and satisfaction with the rehabilitation services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A Likert scoring system consisting of five agreement-disagreement categories was applied to each item, consisting of Very Satisfied, Satisfied, So-So, Poorly Satisfied, and Very Poorly Satisfied.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rehabilitation services used included medical rehabilitation (26.9%), followed by social assistance (23.5%), diagnosis by a physician at home (17.3%), medical examination (12.3%), housekeeping services (6.2%), and vocational and educational rehabilitation (3.5%). 2) Of the medical services, the respondents desired physical therapy at home and free rental of rehabilitation equipment, such as wheelchairs, canes, walkers, the most, followed by home visit occupational therapy, nursing services, and oriental medicine service in descending order. 3) Some of the respondents expressed so-so satisfaction (50.0%) or dissatisfaction (16.9%) with the rehabilitation services provided by the Wonju Public Health Center. These findings should prove useful when planning or extending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programs for the homebound disabled in the community.

  • PDF

한국 장애인재활 60년의 분석과 재활의 방향성 (Analysis and Direction of Korea Rehabilitation for the Past 60 Years)

  • 나운환;이임규
    • 재활복지
    • /
    • 제18권4호
    • /
    • pp.1-24
    • /
    • 2014
  • 이 연구는 장애인재활 60년의 역사적 변천과정에서의 사회 환경, 장애 관점, 재활 패러다임과 재활정책의 변화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미래 장애인 재활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한국장애인 재활 60년 분석에서 나타난 결과는 먼저, 한국의 장애인은 사회통합이라는 측면에서 비장애인과 30년 정도의 격차가 있었으며, 둘째, 장애인 재활에 영향변인인 사회환경은 농경사회에서 산업사회, 지식정보, 융합사회로 급격하게 변화되었으며, 셋째, 장애 관점은 사회 환경변화에 따라 점차 사회적 모델로 전이되고 있으며 재활 패러다임도 장애인 개인을 대상으로 한 치료와 교육, 훈련 패러다임에서 장애인을 우리 사회의 구성원으로 보고 사회의 성원으로서 역량을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패러다임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넷째, 재활정책은 패러다임 변화에 맞추어 복지 정책에서 권리기반 정책으로 옮겨가고 있다. 따라서 미래 한국 재활의 방향성은 먼저, 보편적 장애 관점을 조속히 정착시켜야 하며, 둘째, 재활 패러다임을 총체적, 보편적 서비스를 강조하는 흐름으로 변화시켜야 하며, 셋째, 재활 정책의 목표는 평등, 정책 수단과 대상은 보편적 서비스에 강조점을 두어야 한다.

법무보호대상자의 진로자본 회복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covery Process of Career Capital for Rehabilitation Protection Recipient)

  • 박혜경;한순옥;박시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400-413
    • /
    • 2017
  • 출소 후 건전한 사회복귀를 위해서는 법무보호대상자(이하 보호대상자)들은 반드시 진로자본을 회복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그들의 진로적응 실패는 개인은 물론 사회안전망에 불안을 가중시킬 수 있기 때문에 진로자본 회복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를 위해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에서 지원을 받고 있는 보호대상자 10명에 대해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질적 내용분석 방법으로 보호대상자들의 진로자본 손상에 따른 어려움과 그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 극복하는데 도움이 된 요인, 직업생활에 적응하기 위한 요건 등 진로 주제를 심도 있게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보호대상자들은 수감생활로 진로자본 손상을 경험하며, 사회적 자기에 대한 부정적인 개념, 사회적 낙인의 두려움, 자기에 대한 평가절하가 진로자본 회복과정에서 자신감 결여와 소극적인 태도로 나타났다. 또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등이 사회적 관계를 더욱 어렵게 하는 요인이었다. 한편, 진로자본 회복과정에서 사회적 지지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배우자, 고용주, 가족, 친구들의 정서적 지지가 가장 큰 도움이 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직업적응을 위한 노력으로 진로에 대한 적극적이고 주도적인 태도와 긍정적인 자세가 중요하며 가족관계, 사회적 관계에서의 긍정적인 평가와 인정, 진로 성공경험 등이 일에 대한 자신감 상승으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진로자본 회복과정에서 역기능적 신념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사회적 지지는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산재환자의 의료재활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산재보험시설과 민간시설간의 연계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 Linking Model between Community Resourses and Industrial Injury Insurance Organs for the Activation of Medical Rehabilitation Services for Industrial Injury Patients)

  • 김희걸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56-70
    • /
    • 200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linking model between industrial injury insurance organs and local organizations providing social welfare health services, for the activation of medical rehabilitation services for industrial injury patients. Method: Research design for this study was a multi-step research through literature review, field research, and group interviews with persons in charge, to compare local society-oriented medical rehabilitation programs. The term of researches Sep.1 ~ Nov. 30, 2004. Results: 1. Home nurses from Workers Accident Medical Corporation have been taken to be adequate to case managers, who link industrial accident insurance institutions to local society services for the activation of medical rehabilitation services for industrial injury patients. They have been chosen for case managers because they have richer understanding and experiences of objects of industrial accidents than any other specialists, and because they have proved to be able to provide direct home services as a specialist. We have established the center for case management affairs within the workers accident general hospital, organized the committee for case management with doctors in charge, doctors in rehabilitation, rehabilitation consultants, social welfare workers, physical therapists, and nurses, determined objects of case managements from those of long-term recuperation, and constructed a course of case management containing from case management plans to evaluation. 2. We have made files of community resources, and organized the council of industrial accident administration to have it in charge of the adjustment and linking of services in case management affairs. 3. Because there are inequality of community resources between areas, differences in experiences in and bases for linking, and disparity of core organizations with active linking in the system of linking between public and civil sectors, we have taken a system of linking between parallel organs to be the core. In our linking model, workers accident general hospital, hospitals designated for industrial injury, and rehabilitation hospitals are linked in parallel, inadequate long-term recuperation managers are trusted to an workers accident medical corporations through examination by the examination committee in Korea Labor Welfare Corporation, and are dealt with by the committee for case management. Of the hospitals designated for industrial accidents, those running a home caring center provide home caring services for the handicapped at home from industrial injury. 4. Workers Accident Medical Corporation take part in medical rehabilitation, and Korea Labor Welfare Corporation in vocational/social rehabilitation. Furthermore, in the model, the latter should construct a system for job opportunities through Internet portals and provide cyber vocational consultation and introduction. Conclusion: Improvement of systems is needed to apply the linking model to practical affairs. Because this model is centered for practical affairs, it should be put under the analysis of effects, and evaluation of its adequacy to practical application, and its effects and efficiency through experimental running in the 8 workers accident general hospital in Kore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