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Digital Textbook for Middle School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of Basic Curriculum

기본교육과정 중학교 진로와 직업 교과 디지털 교재 개발

  • 류명옥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
  • 문상진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
  • 노진아 (공주대학교 특수교육학과)
  • Received : 2015.07.24
  • Accepted : 2015.08.25
  • Published : 2015.08.31

Abstract

In this study, a digital textbook was developed for effective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contents of developed digital textbook consisted of 'lesson 15: Sale(1)' of middle school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of basic curriculum. It progresses six periods and each topic activities are composed of open learning, learning activity 1, learning activity 2, and organized learning in order. NamoPubTreeEditor Program was used to develop the text book in the study, digital textbooks were designed to be compatible with various devices including smartphone of android operating system, Tablet PC, the iOS system, iphone, ipad, etc. In addition, it was designed to offer a variety of learning materials such as sale multimedia materials, glossary, evaluation questions, and linked data related to sale, supported self-motivated learning. allowed students to evaluate their study for the learning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이 연구에서는 중학교 장애학생의 효과적인 직업 교육을 위하여 기본교육과정 진로와 직업 교과의 직업 준비 '15. 판매(1)'에 대한 디지털 교재를 개발하였다. 총 6차시로 구성되어 있고 제재별 활동은 배움열기, 배움활동1, 배움활동2, 배움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저작도구로 나모펍트리에디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의 스마트폰, 태블릿PC, iOS 체제의 iphone, ipad 등 다양한 기기에서 호환이 가능하도록 제작하였다. 판매와 관련된 다양한 멀티미디어 자료, 용어 사전, 평가 문항, 연계자료 등 다양한 접근 방법으로 풍부한 학습 자료를 제공하고, 언제 어디서나 학생이 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매 차시 평가를 할 수 있도록 제작하여 장애학생의 학습을 지원하고자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인적자원부 정책홍보담당관실, "보도자료", 2007.
  2. 교육과학기술부, "인재대국으로 가는 길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 실행계획(안)", 교육과학기술부, 2011.
  3. 함미자, 특수학교에서의 전자도서 활용 실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5-19, 2003.
  4. 교육과학기술부, 기본교육과정 중학교 진로와 직업 교사용 지도서, (주)미래엔, pp. 11-13, 2013.
  5. 이제화, 최성욱, "초등학교 장애학생의 진로.직업 교육을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 및 효과 연구", 재활복지(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제16권 제3호, pp. 109-132, 2012.
  6. 김정빈, 특수교육 중학교 사회과 우리 생활과 경제 단원 디지털 교재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34-62, 2015
  7. 박선아, "특수교육용 디지털교과서 접근성 설계․ 평가 지침 개발 연구", 한국교원학술정보원,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