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cational Home Economics High School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3초

경상남도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식습관 및 영양지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ietary Habits and Nutritional Knowledge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in Gyeonsangnam-do)

  • 이지혜;정난희;이인옥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1-40
    • /
    • 2022
  • 본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식습관 및 영양지식을 조사하여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건강한 식습관 형성을 위한 긍정적이고 실천적인 식생활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에 소재한 한 특성화고등학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270부를 SPSS(Statistics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Ver. 25.0 for Window)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 대상자의 생활환경은 '부모'와 동거하는 학생이 57.40%로 가장 많았고, 월 소득 수준은 '하'가 55.56%로 가장 많았다. 둘째, 조사 대상자의 식습관은 1일 '2식'을 섭취하는 학생이 64.81%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1일 '1식'의 경우 식사 장소는 '학교 급식소'가 65.9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영양지식 수준을 분류한 결과 '상'이 37.78%, '중'이 37.41%, '하'가 24.81%를 나타냈다. 영양교육에 관한 경험은 최근 12개월 동안 영양교육을 받아 본 경험이 '없다'가 64.44%로 높게 나타났으며, '영양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학생'은 35.56%로 교육 경로는 '학교(교사)'가 72.9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에게 발생할 수 있는 청소년 식습관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가정, 학교, 지역사회가 유기적인 협조체계를 이루어야 하고, 더 나아가 정부의 아낌없는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학생들이 알고 있는 영양지식이 올바른 식행동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실천 중심의 식생활교육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Recognition Level of the Culinary Practice of Culinary Teachers in Vocational High Schools

  • Kang, Keoung-Shim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11권2호
    • /
    • pp.93-101
    • /
    • 2010
  • This study finds methods to activate culinary education by surveying the level of recognition for culinary practice from the culinary teachers of vocational high schools. The number of individuals surveyed is 103. Data is verified by using SPSS 14.0 (SPSS Inc, Chicago, USA).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recognition for culinary education showed that learning requirements are very high as well as that theoretical education and trial demonstrations are necessary to enhance the effects of culinary practice education. Desired teaching learning materials were cooking materials by a certified technician. Their desired supplementary data for enhancing practical techniques were practical demonstrations, various materials and language instruction to learn other culinary practices. It is reported that there was increasing work other than learning time and complication for preparing practice. In addition, they desire more websites for cooking need to be built. Plans for activating culinary education are as follow: First, how to enhance the professional abilities of culinary teachers. Second, to show the necessity of theoretical education, video-based education, and culinary practice demonstrations. Third, to show the necessity to increase the ratio for culinary practice classes. Fourth, to display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ifth, to enhance websites for culinary data. Sixth, to provide opportunities to augment a sense of achievement.

여고생의 의복행동과 과시 및 자율욕구와의 상관연구 -의복의 과시성, 유행, 교복자율화를 중심으로- (A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Clothing Behavior and Needs for Exhibition and Autonomy among High School Girls)

  • 심소연;강혜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53-59
    • /
    • 198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ive aspects of clothing behavior and needs for exhibition and autonomy among high schoolgirls. Five aspects of clothing behavior were studied: fashion interest, clothing exhibition, attitudes toward the abolition of the school uniform and control of school dress. A questionnaire of 20 items prepared by Kahng, Lee, and Creekmore was used to assess fashion interest and clothing exhibition. Assessment of attitudes toward the abolition of school uniform and control of school dress was made with questions devised for this study and included several modified items from Kim's questionnaire. Preferences for fashion style were determined by line drawings representing current fashion and outdated fashion. The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341 second year senior high school girls from three types of school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correlation coefficient, chi-square test, ANOVA, The results were: 1) The need for exhibi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clothing exhibition and fashion interest, that is, students who had a higher need for exhibition were more interested in clothing exhibition and fashion. 2) The need for autonomy was positively related to attitudes toward the abolition of school uniform and control of school dress that is, students who had a higher need for autonomy wanted the abolition of school uniform and less control of school dress. 3) Fashion interest was positively related to preference for fashion style, that is, students who a higher fashion interest prefered fashinable styles in the selection of new clothes. 4) Scores of clothing exhibition and attitudes toward loosening of control of school dres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ree types of school. The orders from highest to lowest are following: single-sex preparatory, coeducational preparatory, vocational high school.

  • PDF

2005 수능 직업탐구영역의 과목별 성취기준과 평가기준 개발 - 식품과 영양 과목을 중심으로 - (A Study on Development of Achievement Standards and Assessment Standards of Vocational Inquiry Section for 2005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 Focus on Food and Nutrition Subject in the Field of Home Economics Order -)

  • 나현주;민경희;이화영;표점순;하미옥;장명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97-219
    • /
    • 2005
  • 본 연구는 실업계열 전문 과목 중에서 범계열적으로 선택 이수되고 있는 식품과 영양 과목의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을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개발하고, 활용 가능한 예시 평가 도구를 개발하여 식품과 영양 과목 교육과정 운영의 내실화와 평가 기반 구축에 목적 두고 수행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로는 먼저 문헌 및 자료 분석을 통해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의 개념과 필요성, 식품과 영양 과목의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 예시 평가도구 개발에 적용될 개발 절차와 제시 모형 등을 고찰하였다. 두 번째로는 식품과 영양 과목의 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용 체계를 분석하여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 개발을 위한 내용 요소를 6개 대영역, 32개 중영역, 70개의 내용 요소로 선정 구성하였다. 성취기준은 이 내용 요소에 기초를 두고 내용 특성과 학습자의 도달점 행동을 고려하여 총 89개로 세분화하여 개발하였다. 또한 평가기준은 각 성취기준을 기초로 성취수준과 활동 수준에 차이를 두어 상${\cdot}$${\cdot}$하 3단계로 제시하였다. 셋째, 예시 평가도구는 개발한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의 구체적인 예로서 단위학교의 실정에 맞게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는 참고 자료임을 전제로 개발하였으며 서술형, 보고서법, 실험${\cdot}$실습법, 포트폴리오, 단답형 등의 유형을 적용하여 총 100개 문항을 개발하였다. 끝으로 개발한 식품과 영양 과목의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 예시평가 도구를 단위학교 수준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동기 유발 전략을 적용한 가정과 '청소년의 성과 친구관계' 단원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The Development of Home Economics Teaching-Learning Program applying Keller's ARCS Model on the Unit of 'youth sex and peer relationship')

  • 한주;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87-103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1학년 기술 가정 교과의 '청소년의 성과 친구관계' 단원을 중심으로 동기 유발 전략을 적용한 ARCS 교수 학습 과정안을 개발하고, 적용 및 평가를 통해 교수 학습 과정안을 수정, 보완하여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ADDIE 교수설계 모형을 따라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의 다섯 단계를 거쳤다. 분석 단계에서는 관련 선행연구 분석과 설문조사를 통해 ARCS 동기 유발 전략을 추출하고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학습 내용을 선정하였으며, 설계 단계에서는 각 차시별 수업 내용과 수업 목표를 설정하고 구체적인 동기 유발 전략을 계획하였다. 개발단계에서는 8차시 분량의 교수 학습 과정안과 학생활동지, 수업자료 등을 제작하였고, 실행 단계에서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6차시의 내용에 대해 실제 수업을 실행하였다. 평가 단계에서는 수업실행에 참여한 학생들의 동기유발 전략에 대한 의견과, 수업 실행 교사의 수업일지를 중심으로 현장 적용가능성을 고려하여 교수 학습 과정안을 수정, 보완하였다. 본 연구는 ARCS 동기 유발 전략을 적용하여 교수 학습 과정안을 개발하고, 이를 실행함으로써 적용된 동기 유발 전략들이 학생들에게 실제로 흥미를 끌 수 있는지, 학교 현장에서 사용하기에 적절한지 등을 평가하여 교수 학습 과정안을 수정 보안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실행 결과 수업에 있어서 '흥미'라는 요소에 대한 학생들의 요구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다양한 학생들의 호기심을 자극할 수 있도록 앞으로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동기 유발 전략들이 새롭게 개발 보완될 필요가 있다.

  • PDF

춘천지역 고등학생의 식습관과 영양소 섭취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od Habits and the Evaluation of Nutrient Intakes of High School Students in Chuncheon)

  • 김복란;김영미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5-52
    • /
    • 2005
  • 본 연구는 춘천지역에 살고 있는 고등학생들의 식습관과 영양소 섭취 실태를 평가하기 위하여 318명의 대상자들에게 설문조사와 24시간 회상법을 이용하여 식이조사를 하였다. 조사대상자들의 $30.8\%$는 아침식사를 자주 결식하였으며, $28.0\%$는 하루 한번 이상 자주 간식을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루 평균 에너지 섭취량은 1740kca1이며 열량에 기여한 영양소의 비율은 탄수화물이 $61.6\%$, 단백질은 $16.0\%$, 지방은$23.1\%$였다. 칼슘과 철분의 섭취량은 부족했으며 특히 이들 영양소의 급원식품은 식물성식품에서의 섭취비율이 높아 이로 인한 체내이용율은 더 낮은 것으로 본다. 권장량의 $75\%$ 미만을 섭취한 사람들의 비율은 칼슘, 철분, 리보플라빈의 경우 모두 $68\%$이상이었다. 전체적인 식사의 질을 평가하는 지표로 쓰이는 평균적정섭취비(MAR)는 남학생이 0.79, 여학생이 0.78로 나타났다. 영양의 질적지수(INQ)는 칼슘(0.67), 철분(0.82), 리보플라빈(0.90)을 제외한 대부분 영양소들은 1이상이었다. 영양소 섭취수준이 영양권장량의 $75\%$ 미만인 경우는 영양소의 섭취가 부족함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춘천지역에 있는 일부 고등학생들은 많은 영양소 중에서도 특히 칼슘, 철분, 리보플라빈의 영양소를 충분히 섭취하지 않고 있음을 알수 있었다.

  • PDF

교과서의 노인에 관한 내용 분석 및 교사용 노인교육 자료 개발 (Content Analysis of Aging in the Textbook &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Materials about Aging)

  • 윤인경;조병은;한정란;김영환;장명희;김명자;박윤명;박길자;박선영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85-111
    • /
    • 2005
  • 본 연구는 현행 초$\cdot$$\cdot$고등학교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에 수록된 노인관련 내용을 분석하고, 학교에서의 노인 교육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는 내용 요소를 추출, 체계화하며, 이를 바탕으로 노인 관련 내용의 교수 학습을 도울 수 있는 교육 자료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는 3단계의 과정을 거쳐 수행되었다. 첫째, 외국의 관련 교과서 분석과 국내외의 노인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문헌 분석. 둘째 내용요소 추출과 체계화를 한 전문가 협의단계, 셋째 개발한 교육자료를 현장에서 실험 적용하고 적용전후의 설문조사를 한 현장 적용 단계로 이루어졌다. 개발된 교수 ·학습자료에 대한 교사와 학생들의 반응은 개발된 노인교육 자료가 노인에 대한 인식과 이해에 기여 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PDF

학교와 부모를 통한 소비자사회화가 청소년 및 대학생소비자의 충동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랜덤효과 모형 (Consumer Socialization on Adolescent Impulsive Buying Behavior through School and Parents: A Random Effects Model)

  • 김정은;김지하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4권4호
    • /
    • pp.385-395
    • /
    • 2016
  •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consumer socialization on Korean adolescent impulsive buying behavior. The current study used the third and sixth waves from the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KEEP) survey that has been administered by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since 2004. The subjects were high school juniors and university sophomores in 2006 and 2009, respectively. The final sample for panel regression analysis included 1,718 individuals. Two major agents of socialization (school and parents) were utilized in our model. Parent financial behavior (if the parents had savings) and the effectiveness/helpfulness of economics education in middle or high school were included in our estimation model. Two categories were included as individual factors: (1) psychological aspects and personal traits covering variables such as stress from self-image, academic stress, self-regulation, and a tendency of risky behavior and (2) financial behavior and attitudes, which include work experience, amount of money in hand, shopping habits, and if parental financial support is expected after high school graduation. The results from a random effects model revealed that the effects of consumer socialization through school was marginally significant, while through parents was not. Stress from self-image and the level of self-regulation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Neither risky behavior nor academic stress were a significant factor for impulsive buying behavior. The amount of money available in hand and shopping habits showed a significant influence. Implications for educators, parents and policy makers are identified.

우수시설학교 외부공간에 대한 청소년의 이용과 만족도 - 대전광역시 중고생을 중심으로 - (Adolescents' Use and Stisfaction toward Outdoor Space of Schools with Excellent Facilities in Daejeon Metropolitan Area)

  • 박경옥;한주연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775-791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adolescents' use and satisfaction toward outdoor space of middle and high schools with excellent facilities in Daejeon area. Six middle and high schools in Daejon area and 423 students, who were attending 'Excellent Facilities Schools', were selected.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Main results were as following: 1) The playground was found to be the most frequently visiting space, and bench and piloti were found to be the second most popular spaces among adolescents. The visiting frequency of outdoor space was higher for the ㅁ-shaped by type of inner court, for the $2^{nd}$ by floor of classroom, for high-schoolers by grade. 2) Respondents were satisfied more when the inner court is ㅁ-shaped than the others, when it is easy to access resulting from low floor classroom, when respondents visited the space frequently and stay longer, and when the outdoor facilities were in good conditions.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의 "인간발달.가족" 분야에 대한 20년 연구 동향분석; 성과와 과제 (Research Trends on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Studies i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 Education; A Review and Prospect of Research during the past 20 years)

  • 조병은;이종희;이현정;주현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43-161
    • /
    • 2009
  • 본 연구는 지난 20년 동안에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에 실린 인간발달과 가족분야에 관한 논문을 교과교육학(가정과교육철학과 교사의 전문성, 가정과교육과정, 가정과교수 학습자료 개발 및 활용)과 교과내용학(인간발달, 가족학)으로 나누어 연구주제, 연구방법 측면에서 분석하여 연구동향과 성과를 파악하고,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총 93편의 논문을 5영역에서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과교육철학과 교사의 전문성 연구는 다른 주제의 연구에 비해 연구가 매우 부족하였으며, 주로 가정과 교육의 본질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고 가정교과의 당위성을 나타내었다. 둘째, 가정과 교육과정의 이해 연구는 최근 들어 연구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가정과 교육과정의 체계, 가정과 교육과정과 수업과의 관계, 가정과 교육과정의 개발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주된 연구는 가정교과 교과서 내용 분석에 관한 연구였다. 이론을 적용하여 교과서를 분석한 연구는 매우 적었고, 주로 출판사별로 비교하거나 외형적인 분석을 하고 교과내용의 구성을 연구한 경우가 많았다. 셋째, 가정과 교수 학습 및 평가에 관한 연구는 가정과 교수 학습자료 개발 및 활용과 교수 학습방법과 실제에 관한 연구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가정과 평가방법과 실제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었다. 따라서 앞으로의 가정과 교과교육학의 발전을 위해 가정과 평가에 대한 연구가 더욱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넷째, 인간발달과정에서 청소년기를 중심으로 발달 특성과 문제를 다루고, 부모됨과 부모역할에서 청소년기 자녀를 둔 부모역할을 주로 다루어 대부분의 연구가 청소년의 긍정적 발달을 위한 가정과 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다섯째, 가족관계와 가족문제가 가장 많이 연구되었고 가족환경 특히,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학교적응과 심리적 적응에 긍정적인 관계를 보였다. 전체적으로, 교과교육과 관련된 연구가 교과내용에 관한 연구보다 적어 가정과 교육의 현장적용에 대한 연구가 앞으로 연구되어져야 한다. 또한 편의표집으로 설문지를 통한 한사람의 응답으로만 수행된 조사연구가 많아 다양한 연구방법, 현장적용연구의 확대 등의 문제는 향후연구가 극복해야 할 과제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