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cabulary knowledge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36초

Effects of Prereading Treatments on Low Level EFL Readers' Comprehension of Expository Texts

  • Chin, Cheongsook
    • 영어어문교육
    • /
    • 제16권3호
    • /
    • pp.1-18
    • /
    • 2010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reviewing and providing background knowledge on low level EFL readers' comprehension of expository texts and their responses to these treatments. 130 college freshmen were randomly placed into one of three treatment groups and read two expository texts reflecting unfamiliar cultural information. Prior to reading, one group was given previewing instruction, which included vocabulary preteaching and summaries, and a second group was provided with culture-specific background knowledge through watching videos and slides. The third group read each text without any prereading instruction. Immediately after reading a passage, subjects answered a 10-item multiple-choice test. Result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f the previewing treatment and weak positive effects of the providing background knowledge treatment. Students' responses on the questionnaires revealed that the majority felt that the experimental treatments contributed to comprehension enhancement, made reading more enjoyable, and expedited their reading process.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however, indicated that they needed explicit prereading instruc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texts. Pedagogic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for EFL reading instruction are provided.

  • PDF

말레이시아 학생들의 L2 읽기 문제: 한국 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L2 Reading Difficulties Faced by Malaysian Students in a Korean University)

  • 김경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2호
    • /
    • pp.21-32
    • /
    • 2021
  • 본 연구는 말레이시아 대학생들의 인식을 통해 그들의 유창한 L2 구두 능력이 고급 수준의 텍스트를 읽는데 어떻게 반영되는지와 독해 과정에서는 어떠한 어려움을 보이는지를 조사했다. 연구의 참여자는 한국 대학에 재학 중인 9명의 말레이시아 학생들로서 반 구조화 형식의 심층 면접에 참여했다. 수집된 자료는 학생들이 L2를 매우 익숙한 언어로 받아들이고 있고, 그에 따른 학생들의 유창한 구두 능력이 일반적 수준의 L2 읽기에 대한 부담감을 덜어주는 효과가 있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그들의 구두 능력이 고급 수준의 텍스트를 읽고 이해하는 데는 큰 영향을 주지 못했다. 학생들이 언급한 읽기의 어려움은 주로 어휘 지식의 부족에서 기인했으나, 배경지식과 흥미의 부족 또한 읽기 능력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했다. 이러한 요소들은 텍스트에 대한 부정확한 이해를 유발하고, 텍스트에 담긴 속뜻을 찾으려는 의지를 상실시킴으로써 학생들의 독해능력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물은 국제학생뿐만 아니라 한국 학생들의 읽기 수업에도 적용되어 중요하게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과학영재학교 재학생 영어발화 주파수 대역별 음향 에너지 분포의 영어 성취도 예측성 연구 (A study on the predictability of acoustic power distribution of English speech for English academic achievement in a Science Academy)

  • 박순;안현기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4권3호
    • /
    • pp.41-49
    • /
    • 2022
  • 본 연구는 미국영어 화자의 평균적 음향 스펙트럼 분포를 확보한 후 과학영재학교 재학생의 영어발화 양상을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우수한 지적 역량을 갖춘 우리나라 과학영재들의 초분절적 영어 유창성 양상을 규명하고, 그 근접성 정도가 영재학교 학생의 영어 과목 정기고사 성취도와 어떤 관계성을 갖는지 탐구하고자 진행되었다. 불과 수 초에서 수십 초에 불과한 음성녹음 데이터 위주로 분석을 시행했던 종래의 연구와 달리 총 4시간에 달하는 미국영어 원어민 화자(남성 15명, 여성 15명)의 음성녹음 자료를 MATLAB(R2022a; The Math Works) 코드로 분석하여 20 -20,000 Hz 주파수 범위 내의 대역별로 장기 스펙트럼 음향에너지 분포값을 확보했으며, 이를 기준으로 과학영재학교 1학년 신입생 80명의 녹음데이터 LTASS(long-term average speech spectrum) 분석 수치와 비교한 결과, 영어 과목 학기말고사의 학업성취도 수준이 상위 30% 이내인 학생들의 표본을 제외하고는 미국영어 음향에너지 분포와의 근접성이 통계적으로 유미하지 않다고 밝혀졌다. 영재학교 입학 후 영어 성취도를 예측하기 위한 지표를 발견하기 위해 수용성 어휘크기검사(receptive vocabulary size test), 학기 중 복수 회 실시한 영어 어휘 형성평가 퀴즈 누적 점수, 공인 영어말하기시험(English Speaking Proficiency Test, ESPT) 성취도를 추가 변량으로 하여 정기고사 성취도와의 상관관계 분석 및 각 변량 간 선형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는데, 대개 유년시절 완성되는 영어 유창성을 측정하는 ESPT보다는, 1학기 및 2학기 초 실시한 수용성 어휘크기검사 및 수과학 분야 저빈도 어휘 위주 형성평가 점수와의 통계적 유의성이 월등히 높다는 사실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로부터 확보된 이론적 기반을 토대로 국내 영재학교에서는 발음교육보다 과학영재를 주요 대상으로 한 전문적 수준의 저빈도어휘 교육이 보다 효과적인 교수 요목이라 추정할 수 있다.

Constructing Japanese MeSH term dictionaries related to the COVID-19 literature

  • Yamaguchi, Atsuko;Takatsuki, Terue;Tateisi, Yuka;Soares, Felipe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19권3호
    • /
    • pp.25.1-25.5
    • /
    • 2021
  •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andemic has led to a flood of research papers and the information has been updated with considerable frequency. For society to derive benefits from this research, it is necessary to promote sharing up-to-date knowledge from these papers. However, because most research papers are written in English, it is difficult for people who are not familiar with English medical terms to obtain knowledge from them. To facilitate sharing knowledge from COVID-19 papers written in English for Japanese speakers, we tried to construct a dictionary with an open license by assigning Japanese terms to MeSH unique identifiers (UIDs) annotated to words in the texts of COVID-19 papers. Using this dictionary, 98.99% of all occurrences of MeSH terms in COVID-19 papers were covered. We also created a curated version of the dictionary and uploaded it to Pub-Dictionary for wider use in the PubAnnotation system.

지식 그래프와 딥러닝 모델 기반 텍스트와 이미지 데이터를 활용한 자동 표적 인식 방법 연구 (Automatic Target Recognition Study using Knowledge Graph and Deep Learning Models for Text and Image data)

  • 김종모;이정빈;전호철;손미애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145-154
    • /
    • 2022
  • 자동 표적 인식(Automatic Target Recognition, ATR) 기술이 미래전투체계(Future Combat Systems, FCS)의 핵심 기술로 부상하고 있다. 그러나 정보통신(IT) 및 센싱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ATR에 관련이 있는 데이터는 휴민트(HUMINT·인적 정보) 및 시긴트(SIGINT·신호 정보)까지 확장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ATR 연구는 SAR 센서로부터 수집한 이미지, 즉 이민트(IMINT·영상 정보)에 대한 딥러닝 모델 연구가 주를 이룬다. 복잡하고 다변하는 전장 상황에서 이미지 데이터만으로는 높은 수준의 ATR의 정확성과 일반화 성능을 보장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이미지 및 텍스트 데이터를 동시에 활용할 수 있는 지식 그래프 기반의 ATR 방법을 제안한다. 지식 그래프와 딥러닝 모델 기반의 ATR 방법의 핵심은 ATR 이미지 및 텍스트를 각각의 데이터 특성에 맞게 그래프로 변환하고 이를 지식 그래프에 정렬하여 지식 그래프를 매개로 이질적인 ATR 데이터를 연결하는 것이다. ATR 이미지를 그래프로 변환하기 위해서, 사전 학습된 이미지 객체 인식 모델과 지식 그래프의 어휘를 활용하여 객체 태그를 노드로 구성된 객체-태그 그래프를 이미지로부터 생성한다. 반면, ATR 텍스트는 사전 학습된 언어 모델, TF-IDF, co-occurrence word 그래프 및 지식 그래프의 어휘를 활용하여 ATR에 중요한 핵심 어휘를 노드로 구성된 단어 그래프를 생성한다. 생성된 두 유형의 그래프는 엔터티 얼라이먼트 모델을 활용하여 지식 그래프와 연결됨으로 이미지 및 텍스트로부터의 ATR 수행을 완성한다. 제안된 방법의 우수성을 입증하기 위해 웹 문서로부터 227개의 문서와 dbpedia로부터 61,714개의 RDF 트리플을 수집하였고, 엔터티 얼라이먼트(혹은 정렬)의 accuracy, recall, 및 f1-score에 대한 비교실험을 수행하였다.

질의응답 커뮤니티에서 문서 간 이독성 비교 (Comparison of Readability between Documents in the Community Question-Answering)

  • 문길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25-34
    • /
    • 2020
  • 커뮤니티 질의응답 서비스는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문서에서 정보의 품질은 질문의 명확성과 답변 내용의 적절성으로 결정되며 문서의 읽기 쉬운 정도를 나타내는 이독성(readability)은 문서가 가지고 있는 정보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주요 요소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의 CQA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문서의 품질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네이버 지식iN의 '국민 신문고' 커뮤니티의 문서에서 사용된 어휘 수준별 사용 빈도를 비교하고, 작성 기관별 문서의 이독성 지수를 측정하였다. 이독성 지수의 측정은 어휘 수준과 문장 길이를 바탕으로 계산되는 Dale-Chall 공식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답변에서 사용된 어휘는 질문에서 사용된 어휘보다 더 어려운 수준이고 문장 길이도 더 길어서 이독성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질의응답간 이독성의 차이는 작성 기관별로도 차이가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상담업무에 반영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를 도출하여 온라인상의 민원상담 개선에 활용할 수 있으며, 이독성 지수에 기반하여 문서 수준의 정량적 분석을 시도함으로써 텍스트 마이닝의 주제를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음소 질의어 집합 생성 알고리즘 (Phonetic Question Set Generation Algorithm)

  • 김성아;육동석;권오일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73-179
    • /
    • 2004
  • 음소 질의어 집합은 문맥 속에서 비슷한 조음 효과를 보이는 음소들을 분류해 놓은 것으로서, 음성 인식 시스템 학습 시 결정트리를 기반으로 HMM (hidden Markov model)의 상태들을 클러스터링할 때 사용된다. 현재까지의 음소 질의어 집합은 대부분 음성학자나 언어학자들에 의해 수작업으로 제시되어 왔는데, 이러한 지식 기반음소 질의어들은 언어 또는 유사음소 단위 (PLU: phone like unit)에 종속될 뿐 아니라 생성된 클러스터 내의 동질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음성 데이터를 사용하여 측정한 음소들 사이의 유사도를 기반으로 언어나 유사음소단위에 상관없이 자동으로 음소 질의어 집합을 생성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실험결과, 제안한 방법으로 생성된 음소 질의어들을 사용한 인식기의 에러율이 약 14.3%감소하여 데이터 기반의 음소 질의어 집합이 상태 클러스터링에 효율적임을 관측하였다.

Exploring Teachers' Beliefs and Knowledge about English Writing and Their Writing Instruction in ESL Context

  • Kim, Tae-Eun
    • 영어어문교육
    • /
    • 제13권4호
    • /
    • pp.87-108
    • /
    • 2007
  • Given that various classroom contextual factors influence the nature of writing instructional practices, it would be worthwhile to explore these factors to generate better environment for learning to write. Among many factors, this study examined teachers' beliefs and knowledge, which would operate as a very influential contextual factor in that changes in principles and methods of teaching writing would be the results of their underlying beliefs and knowledge related to teaching writing. Three professional teachers who teach second- and third-grade English language learners (ELLs) were interviewed, and the analysis of teacher interviews was conducted.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d that basically all of the teachers perceived the role of writing in second language learning as very important, sharing the belief that the ultimate goal of teaching writing is to have their students gain fluency in writing and that some of instructional methods such as integration of writing and other language aspects, content-based writing, and providing scaffolding are important. In addition, some beliefs that two ESL teachers shared included the importance of ample and continuous opportunities to write, vocabulary knowledge, and explicit instruction about writing. Other beliefs, including the importance of creating a comfortable writing environment and opportunities for writing for varied purposes and genres were represented.

  • PDF

온톨로지 객체 모델 생성 시스템 설계 (Design of Ontology Object Model Generation System)

  • 박천수;이미경;손주찬;함호상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중)
    • /
    • pp.1297-1300
    • /
    • 2003
  • 본 논문은 웹 온톨로지 데이터를 접근, 표현 및 처리 할 수 있는 온톨로지 객체 모델을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시멘틱 웹의 대두로 인해 웹 상에 존재하는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서 접근 할수 있는 방법도 다양화 되었다. 이에 웹 상에서 산재되어 있는 지식들을 가져와 각 도메인에 맞게 새로운 온톨로지를 생성하고 서로 다른 언어로 표현된 온톨로지를 계층 어휘들을 이용하여 시멘틱웹 환경에서 지식을 처리하기 위해 웹 온톨로지를 구축하고 처리할 수 있는 온톨로지 객체 모델을 제공하고, 온톨로지 객체 모델 API를 통해 외부 어플리케이션과의 정보를 교환한다. 본 논문에서는 웹 온톨로지를 표현하기 위한 모델을 계층별로 구별하여 프레임 기반의 상위 온톨로지(frame-based ontology layer), 다른 도메인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공통된 어휘(vocabulary)를 표현한 핵심 온톨로지(generic ontology layer)와 각각의 온톨로지 언어에 의존적인 어휘를 표현한 기능 온톨로지(functional ontology layer)로 구성하여 표현의 중복을 없애고 재 사용성을 높이기 위한 모델을 제공함으로써, 온톨로지 추론, 병합 및 저작 도구 등의 외부 어플리케이션이 온톨로지 객체 모델에 손쉽게 접근할수 있고, 온톨로지에 대한 쉬운 지식 표현 및 핸들링을 제공할 수 있다.

  • PDF

소득수준과 언어수준에 따른 초등생의 읽기유창성 비교 (Elementary School Aged Children's Reading Fluency in Terms of Family Income and Receptive Vocabulary)

  • 구가영;설아영;배소영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7권2호
    • /
    • pp.29-38
    • /
    • 2015
  • This study explores reading fluency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nsidering language level and family income(low SES). Forty eight students from 1st to 3rd grades participated in two paragraph reading tasks. Half of the children were from low income family and half of the children had low lexical knowledge. Reading fluency as in the number of correctly read syllables per minute, the total error frequency and error types were used to compare group differenc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correctly read syllables per minute between two income groups and two language group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low income group and non-low income group in total number of errors only when children's lexical knowledge were low. There were no group differences in error types of repetition and omission. Substitution and insertion error seemed to reflect the total error pattern. These results imply the importance of early screening and early involvement for children with low lexical knowledge from low income family. Monitoring and early intervention will support these children's reading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