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tis amurensis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5초

민간약 머루잎의 생약학적 연구 (Pharmacognostical Studies on the Folk 'Medicine MeoRuIp')

  • 박종희;배지영;김성룡
    • 생약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65-172
    • /
    • 2009
  • Korean folk medicine 'MeoRuIp' has been used to cure cough, rheumatism and abdominal pain after child birth. There has been no pharmacognostical confirmation on the botanical origin of the crude drug. To clarify the botanical origin of 'MeoRuIp', the morphological and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the leaves of Vitis and Ampelopsis species growing in Korea, i.e. Vitis amurensis, V. amurensis forma. glabrescens, V. flexuosa, V. thunbergii var. sinuata and Ampelopsis brevipedunculata var. heterophylla were studied. As a result, it was clarified that 'MeoRuIp' was the leaf of Vitis amurensis and Vitis flexuosa.

DNA Topoisomerase I Inhibitory Activity of Stilbenes and Oligostilbenes from Leaf and Stem of Vitis amurensis

  • Kang, Na-Na;Ha, Do Thi;Park, Chang-Sik;Myung, Pyung-Keun;Bae, Ki-Hwa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6권4호
    • /
    • pp.223-227
    • /
    • 2010
  • The DNA Topoisomerase I (DNA Topo I) inhibitory effect of ten isolated compounds (1.10) from the leaf and stem of Vitis amurensis were examined. Among them, amurensin G (5) and r-2-viniferin (7) showed high potent inhibitory activity against DNA Topo I. DNA Topo I, an important target for anticancer drugs, can cause DNA breaks and play a key role during cell proliferation, transcription and repair. Thu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selected compounds (5 and 7) from Vitis amurensis have a possibility as DNA Topo I-targeting anticancer agents.

왕머루의 화형에 따른 화분특성 및 포도의 교배화합성 (Pollen Characteristics of Flower Type and Cross Compatibility with Table Grape in Vitis amurensis Rupr.)

  • 박영식;김인종;정병찬;허재윤;박성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234-240
    • /
    • 2005
  • 본 연구는 강원도 일원에서 수집된 왕머루 (GW-22, GW-45, GW-56, GW-200, GW-202, GW-300)의 화형에 따른 화분 특성 및 포도와 교배친화성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각각의 꽃 구조와 화분발아능력, 화분 형태, 화분크기 및 포도와 교배화합성을 조사하였다. GW-22와 GW-56의 꽃은 암술이 퇴화하고, 5개의 수술대가 곧은 직선이었다. 이들 각각의 계통은 인공배지에서 화분발아율은 $27.6{\sim}29.8%$였다. GW-45, GW-200, GW-202, GW-300의 꽃은 잘 발달된 암술과 5개의 수술대가 바깥쪽으로 말린 형태였다. 이들 계통은 모두 인공배지에서 화분발아율은 0%였다. 이들 계통은 자가수분된 머루에서는 과립과 종자를 얻을 수 없었다. 머루간의 상호교배에서는 착과율이 $14.1{\sim}45.4%$였다. 따라서 왕머루의 꽃 형태는 Vitis종의 자웅이주식물이다. 암머루와 수머루의 교배시 정상적인 종자를 형성하였고, 포도와 수머루의 교배시 정상적인종자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암머루와 암머루의 교배시 종자를 형성하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머루는 포도와 상호교배친화성이 있으며, 왕머루계통은 포도속 식물의 육종연구에 기여할 것이다.

강원도에서 수집된 왕머루의 생장과 과실특성 (Growth and Fruit Characteristics of Vitis amurensis Rupr. Collected in Gangwondo)

  • 박영식;허재윤;김인종;허수정;김경희;정병찬;박성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226-233
    • /
    • 2005
  • 강원도에서 수집되어진 왕머루를 관능평가와 기능성물질 분석을 통해 우량한 개체를 선발하였고, 선발되어진 왕머루를 통해서 생육과 과실특성을 검정하였다. 왕머루의 생육특성을 검정하기 위한 실험은 재배품종인 ‘캠벨얼리’와 ‘거봉’과 비교를 통해 이루어졌다. 왕머루의 만개기와 착색기는 실험에 이용되어진 재배품종들에 비해서 빨랐으나 수확기에 있어서는 늦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재배적 특성에 있어서 재배품종과 야생머루의 차이가 큰 것으로 판단되지는 않았다. 신초생장 양상을 통하여 평가되어진 생장곡선은 재배품종과 매우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야생머루의 과실 비대는 착과이후 $3{\sim}4$일 경에 급속도로 신장하다가, 신초가 생장하는 시기에 신장이 느려졌으며, 두 번째 생육이 시작되는 시기부터 재배기까지 과실의 크기에 있어 대략 2배가량 신장하여 왕머루의 과실 발달은 두 번의 정지기를 가지는 이중생육곡선으로 구분되었다. 왕머루의 과실의 크기와 가용성당 함량은 수령에 따라 증가한 반면, 산도와 총 당함량은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반적으로 수령이 증가함에 따라 생육이 안정화되고 계통의 특성이 발현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기능성 물질의 검정에서 야생머루의 안토시아닌 함량은 16.6에서 50.2mg/100g로, 레스베라트롤 함량은 0.143에서 $0.236{\mu}g/100\;g$으로 재배품종들에 비해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수집되어진 왕머루의 과실과 생육특성을 검정한 결과에서 야생머루는 일반재배품종들보다 유용물질을 많이 함유하고 있었으며 따라서, 이러한 왕머루의 다른 식품학적인 요소들은 포도속 식물의 육종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과산화수소수로 유도된 배양 뇌신경세포손상에 대한 왕머루 잎과 줄기 추출물의 보호효과 (Protective Effect of Vitis amurensis Stems and Leaves Extract on Hydrogen Peroxide-induced Oxidative Neuronal Cell Damage in Cultured Neurons)

  • 김주연;주현수;반주연;송경식;배기환;성연희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68-74
    • /
    • 2009
  • Vitis amurensis (VA; Vitaceae) has long been used in oriental herbal medicine. It has been reported that roots and seeds of VA have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effects. In the present study, the protective effect of ethanol extract from stems and leaves of VA on hydrogen peroxide (${H_2}{O_2}$) (100 ${\mu}M$)-induced neuronal cell damage was examined in primary cultured rat cortical neurons. VA (10-100 ${\mu}g$/ml) concentration-dependently inhibited ${H_2}{O_2}$-induced apoptotic neuronal cell death measured by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and Hoechst 33342 staining. VA inhibited ${H_2}{O_2}$-induced elevation of intracellular $Ca^{2+}$ concentration (${[Ca^{2+}]}_i$) and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which were measured by fluorescent dyes. Pretreatment of VA also prevented glutamate release into medium induced by 100 ${\mu}M$ ${H_2}{O_2}$, which was measured by HPLC. These results suggest that VA showed a neuroprotective effect on ${H_2}{O_2}$-induced neuronal cell death by interfering with ${H_2}{O_2}$-induced elevation of ${[Ca^{2+}]}_i$, glutamate release, and ROS generation. This has a significant meaning of finding a new pharmacological activity of stems and leaves of VA in the CNS.

머루전초, 독활전초, 감초 혼합추출물의 Amyloid β Protein (25-35) 유발 신경 독성에 대한 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 of an Ethanol Extract Mixture of Vitis amurensis, Aralia cordata, and Glycyrrhizae radix on Amyloid β Protein (25-35)-Induced Neurotoxicity)

  • 장지연;성연희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05-112
    • /
    • 2014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an ethanol extract (SSB) of a mixture of three medicinal plants of Vitis amurensis, Aralia cordata, and Glycyrrhizae radix for possible neuroprotective effects on neurotoxicity induced by Amyloid ${\beta}$ protein ($A{\beta}$) (25-35) in cultured rat cortical neurons and antidementia activity in mice. Exposure of cultured cortical neurons to $15{\mu}M$ $A{\beta}$ (25-35) for 36 h induced neuronal apoptotic death. At $1-30{\mu}g/m{\ell}$, SSB inhibited neuronal death, elevation of intracellular calcium concentration ($[Ca^{2+}]_i$), and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induced by $A{\beta}$ (25-35) in cultured cortical neurons. Memory impairment and increase of acetylcholinesterase activity induced by intracerebroventricular injection of mice with 16 nmol $A{\beta}$ (25-35) was inhibited by chronic treatment with SSB (25, 50 and 100 mg/kg, p.o., for 8 days). From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antidementia effect of SSB is due to its neuroprotective effect against $A{\beta}$ (25-35)-induced neurotoxicity and that SSB may have a therapeutic role in preventing the progression of Alzheimer's disease.

머루근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비만 활성 (Antiadipogenic Effect of Vitis amurensis Root Methanol Extract and Its Solvent Fractions in 3T3-L1 Preadipocytes)

  • 박정애;진경숙;오유나;현숙경;최영현;권현주;김병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69-78
    • /
    • 2013
  • 왕머루(Vitis amurensis Rupreche)는 아시아 지역에서 자생하는 포도의 한 종류로서 항산화, 항염증, 뇌신경보호, 신생혈관 억제능 등의 생리활성이 알려져 있다. 왕머루의 뿌리는 한국에서 전통적인 약재로 사용되어왔으나 그 생리활성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가 적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머루근 MeOH 추출물(VARM)과 그 용매 분획물이 지방세포분화 및 지방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3T3-L1 preadipocyte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VARM은 3T3-L1 preadipocyte의 지방 세포로의 분화, 지방 축적, 중성 지방 생성량을 독성 없이 농도의존적으로 유의적으로 억제시켰다. 활성 물질의 규명을 위해 VARM으로부터 dichloromethane ($CH_2Cl_2$), ethyl acetate (EtOAc), n-butanol (n-BuOH), 그리고 물($H_2O$) 층의 순서로 용매 분획을 실시한 후 지방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H_2O$ 층을 제외한 모든 분획물에서 지방 생성 억제능이 관찰되었으며 특히 $CH_2Cl_2$ 층 분획물이 가장 강력한 항비만 활성을 보였고 이는 주요 지방 생성 전사 인자인 $C/EBP{\alpha}$, $C/EBP{\beta}$, 그리고 $PPAR{\gamma}$의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 조절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머루근의 항비만 활성을 보유한 활성 물질을 분리한 결과 oleanolic acid가 주요 물질 중의 하나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머루근의 항비만 활성을 처음으로 밝혀낸 것이며 주요 활성 물질의 하나로 oleanolic acid를 확인하였다.

울릉도 섬현삼(Scrophularia takesimensis Nakai) 개체군의 식생과 토양특성 (Vegetation and Soil Properties of Scrophularia takesimensis Population in Ulleung Island)

  • 한경숙;김무열;서강욱;권혜진;송호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4-31
    • /
    • 201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vegetation and soil characteristic, and ordination of Scrophularia takesimensis population, Ulleung Island. The Scrophularia takesimensis population was classified into Aster spathulifolius for. oharai dominant population, Vitis amurensis dominant population and Scrophularia takesimensis typical population. The Scrophularia takesimensis population was located in elevation of 1m to 6m, in Ulleung Island. In the study sites, soil organic matter, nitrogen, available phosphorous, exchangeable potassium, exchangeable calcium, exchangeable magnesium and exchangeable sodium concentration, and cation exchange capacity, and soil pH were 9.1~19.1%, 0.19~0.52%, 87.1~196.7mg/kg, 2.0~2.8cmol+/kg, 5.4~5.9cmol+/kg, 5.9~8.8cmol+/kg, 4.4~4.8cmol+/kg, 20.3~26.7cmol+/kg, and 6.8~8.0, respectively. The Vitis amurensis dominant population was mainly found in the high percentage of total nitrogen, organic matter, CEC in comparison with Aster spathulifolius for. oharai dominant population.

갈대뿌리를 첨가하여 제조한 산머루주의 발효 특성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Wild Grape (Vitis amurensis) Wine Prepared with Reed (Phragmites communis) Root)

  • 인만진;김동청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1528-1533
    • /
    • 2010
  • 갈대뿌리를 첨가하여 효모 발효시킨 산머루주의 발효특성을 조사하였다. 산머루주 발효 과정에 갈대뿌리의 첨가는 효모의 당 소모를 촉진시켜 발효를 빠르게 진행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고, 발효액의 pH의 증가와 산도의 감소를 가져와서 효모가 발효를 더 잘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특히 갈대뿌리 2%를 첨가한 산머루주는 발효기간 4일 이내에 에탄올이 약 13% 생성되는 것으로 나타나 갈대뿌리 첨가가 발효시간을 단축하는데 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갈대뿌리 2%를 첨가하여 발효시킨 산머루주의 관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효모를 사용하여 산머루의 알코올 발효 시에 갈대뿌리의 첨가는 당의 소모와 에탄올 생성을 촉진하고 관능을 좋게 하는 긍정적인 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