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tamin D$_2$

검색결과 696건 처리시간 0.029초

Antioxidant effect of Lonicera Caerulea on heat stress-treated male mice

  • Kang, Donghun;Kim, Daeyoung
    • 한국동물생명공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20-229
    • /
    • 2021
  • Lonicera caerulea (Honey berry, HB) has been used in medical treatment in Russia, Japan, China and Korea. It has high level of vitamin C and polyphenolics. Polyphenolics can improve anti-inflammatory effect and prevent cancer, diabetes mellitus type 2. Also, Vitamin C is a representative anti-oxidant. however, it is still unknown what effect it will have on the oxidation stress of the reproductive system. In previous studies, ROS can be produced when it is exposed to heat stress and has negative effect on sperm's maturation, capacitation, hyperactivation, acrosome reaction and fusion of egg and sperm.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effects of L. Caerulea on the sperm and mice. At first, it conducted using ICR mouse (n = 20) for 4 weeks. There are four groups of mice (n = 5 per group). Also, L. Caerulea was taken by oral gavage. Group I (control) kept at 23℃-27℃ and administer D.W (0.5 mL/day), Likewise, Group II (HB) kept at room temperature but gave HB (250 mg/kg, 0.5 mL/day), Group III (HB + HS) received heat stress (40℃) using hyperthermia induction chamber and gave HB at same dose. and Group IV (HS) exposed heat stress only. Mainly, we showed degree of gene expression using Western blot in SOD, HSP 70, 17β-HSD and Real-time PCR. It can find correlation between intracellular activity like steroid hormone, apoptosis under RO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L. Caerulea.

비만아동의 영양섭취와 혈청 지질농도 및 철분영양지표 (Dietary Intakes and Serum Lipids and Iron Indices in Obese Children)

  • 김진이;한영신;배현숙;안홍석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575-586
    • /
    • 2006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nutrient intakes, diet quality and serum indices (TG,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HDL-cholesterol, RBC, Hb, Hct, Serum iron, ferritin, MCV) of obese and normal weight children. The subjects were 149 children living in the Seoul and Gyeonggi areas. Each subject was assigned to one of such as normal weight group ($15th{\le}BMI$ percentile < 85th, n = 82) or obese children ($85th{\le}BMI$ percentile, n = 67) according to their percentile of BMI by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Data on dietary intakes, body composition and serum indices were obtained. Differences of all the above variables were assessed. Energy, carbohydrate, fat, cholesterol, total fatty acid, SFA, MUFA, PUFA, phosphate, potassium, zinc, vitamin $B_1$ and vitamin $B_6$ intakes of girls in the obese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normal weight group (p<0.05). The intake of fiber was as insufficient as below 50% of KDRIs in both groups. Nutrient adequacy ratio of calcium, iron, phosphate, zinc and folate in obese boys were lower than those of normal weight boys (p<0.05). Energy intakes of grain and milk and dairy food in the obese girl group ($905.9{\pm}344.5kcal,\;210.9{\pm}166.4kcal$) were higher than those of normal weight girls ($671.2{\pm}360.7kcal,\;184.0{\pm}103.5kcal$) (p<0.05). HDL-cholesterol level of obese boys ($52.7{\pm}6.3mg/dL$)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normal weight boys ($65.3{\pm}15.6mg/dL$). Serum iron level of obese boys and girls (boys: $79.4{\pm}32.6mg/dL$, girls: $98.3{\pm}16.2mg/dL$)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normal weight children (boys: $104.8{\pm}38.6mg/dL$, girls: $106.7{\pm}28.9mg/dL$) (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should be sensible food selection and more intakes of fruit and vegetable are needed to improve the nutritional status in obese children.

도서(섬)지역 노인의 우울정도에 따른 식행동단계와 영양소 섭취상태 조사 (A Survey on Stages of Dietary Behavior Change and Nutrient Intake Status of Old People in Islands Areas According to Depression Degree)

  • 박필숙;박경옥;정구범;천병렬;최미화;박미연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1349-1361
    • /
    • 2009
  •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dietary behavior change and nutrient intake status owing to a depression degree for 143 people over 65 years old living in Echeong and Hansan islands area, South Korea. The depression degree was classified into non depression, minor depression and depressive disorder groups using.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CES-D) scale for 143 subjec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depression degree significantly made differences according to sex (p<.001), marital status (p<.05), self-related economic status (p<.001) and living expenses (p<.05). The stage of dietary behavior according to the depression degree was as follows; the non depression group was 57.6%, the minor group was 46.8% and the depressive disorder group was 27.1% of the subjects. The intake frequency of the cereal group (p<.05) and fruit group (p<.01)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food group intake status owing to the depression degree. Mean adequacy ratio(MAR)[13], MAR[10], and MAR[4] of the depressive disorder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non depression and minor depression groups. Each average of MAR[13], MAR[10], and MAR[4] for the subjects were $0.68{\pm}0.2$, $0.67{\pm}0.2$, and $0.55{\pm}0.2$. Concerned about the nutrients over 1.0 index of nutritional quality(INQ) 8 nutrients of protein, Phosphorous, iron, zinc, vitamin A, vitamin $B_6$, niacin and vitamin C belonged to the non depression group. Additionally, 6 nutrients of protein, Phosphorous, iron, zinc, vitamin $B_6$ and niacin were included for minor depression and depressive disorder groups.

해당화의 채취 부위별 항산화 활성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tive activities from different organs of Rosa rugosa Thunb)

  • 김명조;김주성;김기은;신국현;허권;조동하;박철호;유창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40-44
    • /
    • 2001
  • 해당화의 항산화 활성 및 ascorbic acid(vitamin C)와 ${\beta}-carotene$ (provitamin A)의 부위별 및 채취시기별 함량분포를 조사하였다. 항산화활성에서는 뿌리 $(RC_{50}\;=\;0.5{\mu}g/ml$이하)와 줄기 $(RC_{50}\;=\;0.5{\mu}g/ml)$부분이 특히 강하였으며 부위별로 보면 뿌리, 줄기, 잎, 열매 순으로 나타났고, 부위별 ascorbic acid함량분포를 보면 해당화는 잎, 열매, 줄기, 뿌리 순으로 감소하였으며 특히 11월에 채취한 시료의 경우 잎에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는 열매의 함량을 기준으로 할 때 해당화는 약 4.2배로 매우 높은 함량임을 알 수 있다. 해당화는 11월에 채취한 것이 9월에 채취한 것보다 약 $1.59\;{\sim}\;1.77$배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부위별 ${\beta}-carotene$의 함량분포를 보면 해당화는 열매, 잎 순으로 함량이 낮아짐을 알 수 있으며, 11월에 채취한 해당화 열매의 f-carotene 함량이 높았고, 줄기와 뿌리에서는 ${\beta}-carotene$이 확인되지 않았으나 ether extract량으로 볼 때 carotene 이외의 성분의 존재를 예측할 수 있었다. 잎의 ${\beta}-carotene$ 함량은 해당화의 경우는 9월에 채취한 것이 11월에 채취 한 것보다 약간 높았다. 이상의 실험 결과로 볼 때 해당화에는 ${\beta}-carotene$이나 비타민 C 같은 항산화 비타민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앞으로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개발이 기대되어진다.

  • PDF

비타민 D2 강화 표고버섯과 해조칼슘 첨가 냉면의 저장성 예측 - 연구노트 - (Prediction of Shelf-Life of Cold Buckwheat Noodles Mixed with Vitamin D2 Enriched Siitake Mushroom and Seaweed Derived Calcium)

  • 정숙현;오혜숙;윤교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9호
    • /
    • pp.1225-1229
    • /
    • 2007
  • 비타민 $D_2$ 강화한 표고버섯(3%)과 해조칼슘을 첨가하여 비살균 제품이며 숙면에 속하는 냉면을 제조한 후, 편의식 개발을 목적으로 저장성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5^{\circ}C$에서 8일간 냉장저장하면서 미생물 및 관능적 품질 변화를 관찰한 결과, 냉면의 초기 세균 수는 2.54 log CFU/g 정도였으며, 냉장 조건에서 6일까지는 세균수가 5 log CFU/g 이하로서 식용에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버섯냉면을 8일간 냉장저장 중에는 이취를 인식하지 못하였고 육안으로는 곰팡이 발생여부를 확인할 수 없었다. 표고버섯 첨가냉면을 총 8주 동안 냉동저장$(-18^{\circ}C)$하여 검사한 결과, 총세균수는 $770{\sim}160$ CFU/g 정도로 저장기간 중 유의적 차이를 보였으나 전 기간에 걸쳐 숙면의 저장가능 조건인 $1{\times}10^5$ CFU/g 이하로서 8주까지는 유통 및 저장 조건이 잘 유지된다면 미생물적 품질은 비교적 안전할 것으로 여겨진다. 윤기, 버섯 향, 쌉쌀한 맛, 씹힘성 및 탄력성의 관능특성은 8주간의 냉동저장 기간 동안 제조 직후와 비교할 때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이 결과는 미생물검사 결과와 함께 저장 안정성이 매우 큼을 시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노화 과정에 따른 노인과 여대생의 식생활, 건강 상태 및 혈액 성상 비교 연구 (Comparison of Dietary Patterns, Health, and Blood Parameters of Elderly Women and College Women in the Seoul Area)

  • 신경옥;정근희;최경순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703-712
    • /
    • 2009
  • 본 연구는 노인과 여대생의 건강 상태를 비교하여 노화가 일어날수록 변화되는 신체 및 식습관 변화 등을 알아보고, 좀 더 효과적인 노인 건강 증진 및 그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여자 노인 평균 연령은 $78.64{\pm}7.30$세였으며, 신장과 체중은 각각 $147.07{\pm}5.72$ cm, $50.47{\pm}7.44$ kg으로 한국인 체위 기준치에 비해 3.93 cm 더 작았으나, 체중은 0.27kg 정도 높게 조사되었다. 체질량 지수는 노인이 $22.83{\pm}6.11\;kg/m^2$, 여대생이 $20.23{\pm}2.13\;kg/m^2$로 노인의 체질량 지수가 높았지만, 정상 범위($18.5\;kg/m^2{\leq}$BMI < 24.9kg/$m^2$)에 속하였다. 여자 노인의 경우, 아침식사를 여대생에 비해 챙겨 먹는 경우가 많았지만, 의치 등을 사용하고, 음식을 씹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어, 국물 위주의 식사를 하는 경우가 많았고, 식사시간도 10분 이내로 짧았다. 대부분의 여자 노인들이 한가지 이상의 질병을 앓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고혈압이 25%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운동 여부를 묻는 질문에는 여자 노인은 52.2%, 여대생은 47.8%가 운동을 한다고 답하였다. 운동의 횟수를 보면, 여자 노인은 35명 중 일주일에 평균 1~2번 정도 하는 경우가 74.3%나 되었다. 전체 조사 대상자의 1회 운동시 평균 운동 시간은 30분 이내가 가장 많은 비율(40.3%)을 차지하였고, 전체 조사 대상자가 가장 즐겨하는 운동의 종류로는 가벼운 운동(걷기, 체조 등)이 73.1%였으며, 그 다음으로 중정도의 운동(자전거, 헬스, 조깅 등)은 19.4%였다. 여대생의 경우에는 강도가 높은 운동(탁구, 수영, 테니스 등)을 하는 비율도 7.5%나 되었다. 여자 노인은 여대생에 비해 흡연과 음주율은 낮았지만, 몇몇의 노인의 경우 흡연과 음주를 장기간에 걸쳐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혈액 성상 중 여자 노인은 적혈구수, hemoglobin, hematocrit, MCV 등이 여대생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나, MCH와 MCHC 수치는 오히려 여자 노인이 각각 $31.27{\pm}3.79$ pg (p<0.09)과 $33.96{\pm}1.11$ g/dL(p<0.05)로 여대생의 수치에 비해 높았다. 중성지방 수치는 여대생($79.71{\pm}40.96$ mg/dL)에 비해 여자 노인($127.89{\pm}51.25$ mg/dL)에서 수치가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LDL-cholesterol 수치도 여자 노인이 $120.51{\pm}32.88$ mg/dL, 여대생이 $103.78{\pm}22.94$ mg/dL로 나타나 여자 노인에서 유의하게 높은 수치를 보였다(p<0.05). 그러나 총 콜레스테롤과 HDL-cholesterol의 수치는 여자 노인에 비해 여대생에서 높은 수치를 보였다(p<0.05). 혈청내 vitamin C의 함량은 여자 노인이 $3.01{\pm}2.94\;{\mu}g/mL$, 여대생이 $4.96{\pm}4.89\;{\mu}g/mL$로 여대생의 수치가 유의하게 높았다(p<0.05). 본 연구 결과, 노인의 경우 노화가 진행될수록 몸의 기능의 쇠퇴로 인해 정상적인 생활을 하는 것이 많이 불편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식습관 및 건강 상태 등이 급격히 변화 하고, 혈액내 중성지방, LDL-cholesterol 수치가 급격히 높아졌다. 또한 노인에게 있어서 노화를 지연시켜 주며, 항산화 역할을 하는 vitamin C와 HDL-cholesterol 수치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노인들이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실질적인 식생활 전반의 개선과 건강 증진을 위한 영양교육 강화의 필요성 및 노인 건강 상태에 알맞은 체계적인 식사 관리 프로그램이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자신의 건강 상태를 올바르게 판단하여 자신에게 맞는 식생활 계획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

식이 Ca 수준과 호르몬 투여가 생쥐가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Ca Level and Hormones on Bone Density of Mouse)

  • 정차권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9권9호
    • /
    • pp.943-949
    • /
    • 1996
  • Bone mineral density depends largely on the status of dietary minerals such as Ca, P, Mg, and F and proteins, physical activities, parathyroid hormone(PTH), calcitonin(CT), and vitamin D. The decrease of bone density often results in bone fractures and osteoporosis which is prevalent among postmenopausal women.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role of parathyroid hormone, calcitonin and cholecaliferol in bone density of mice that were fed different dual photon energy beams. We have measured three major parts of the bone : whole body, head and femur.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Bone mineral density (BMD) was more increased by feeding high Ca diet compared to that of the low Ca diet. 2) Both PTH and Vit D3 enhanced BMD in all of the different Ca levels. 3) When the dietary Ca was deequate CT showed a synergistic effect with PTH in boosting bone density, while CT+Vit D3 showed a negative effect. 4) CT tended to inhibit the effect of increasing bone density by PTH and Vit D3 in medium and low Ca groups. 5) The effect of increasing bone density by PTH in the head of mouse increased when dietary Ca was lower : The increment of bone density by PTH in high, medium, and low Ca was 3%, 8%, 19%, respectively. 6) Femur bone density was affected significantly by dietary Ca levels than hormones. The above observations indicate that bone mineral density can be improved by high dietary Ca and hormone injections including PTH, CT and cholecalciferol, and thus proper dietary and hormonal treatment may be used in preventing bone fractures and osteoporosis.

  • PDF

목이버섯과 흑미를 첨가한 즉석죽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Instant Gruel containing Ear Mushroom and Black Rice)

  • 최소라;유영진;안민실;송은주;서상영;최민경;송영은;한현아;소순영;이기권;송영주;김정곤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428-435
    • /
    • 2015
  • 본 연구는 국내 재배면적이 확대되고 있는 목이버섯의 부가가치 향상과 소비량 확대를 위해 팽화기술을 접목한 목이버섯 즉석죽을 제조하고, 품질특성을 조사하여 실버층에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제품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백미와 흑미를 75~100%와 25~0%로 혼합한 후 비타민 $D_2$와 식이섬유 함량이 높은 건목이버섯을 0~4%로 첨가하여 호화도, 영양성분, 항산화성 및 관능 등을 조사하였다. 즉석죽 분말의 호화도는 건목이버섯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흑미 첨가량이 감소할수록 최고점도와 유지강도, 강하점도, 최종점도, 노화점도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백미 80%와 흑미 20%를 혼합한 후 건목이 버섯 3%를 첨가한 즉석죽은 비타민 $D_2$ $18.53{\mu}g/100g$, 식이섬유 3.73 g/100 g이 함유되어 있어 뼈의 형성과 유지와 배변 활동 촉진 효과가 기대되었다. 또한 DPPH free radical 소거능도 56.79%로 나타나, 항산화성이 높아 실버층의 건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본 실험 결과, 목이버섯은 기능성 가공제품 개발의 소재로서 사용가치가 매우 높아 실버층뿐 아니라, 다양한 연령층에 적합한 가공제품 생산에 응용가능하리라 생각된다.

잣버섯 인공(人工) 재배(栽培)에 관한 연구(硏究)(I) -균사(菌絲) 배양(培養) 조건(條件)에 관(關)하여- (Study on the Artificial Cultivation of Lentinus lepideus(Fr. ex Fr.) Fr. -Investigation of Mycelial Growth Conditions-)

  • 김한경;박정식;차동열;김양섭;문병주
    • 한국균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45-152
    • /
    • 1994
  • 잣버섯 인공재배(人工栽培) 가능성(可能性) 검토시(檢討時) 균사배양(菌絲培養) 조건(條件)에 대한 실험(實驗)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잣버섯 액체배양시(液體培養時) 최적(最適) 배지(培地)는 G. P. B. 배지(培地)에서 균사생육(菌絲生育)이 196mg/21일(日)로 가장 양호(良好)하였으며, 최적(最適) 온도(溫度)는 $25^{\circ}C$, pH는 4.2 에서 균사생육(菌絲生育)이 가장 좋았다. 2. 액체(液體) 배양시(培養時) 최적(最適) 탄소원(炭素源)은 monosaccharide인 galactose에서 631mg/21 일(日)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이 Disaccharide인 Maltose에서 486mg/21일(日) 이였다. 3. 최적(最適) 질소원(窒素源)은 복합(複合) 질소원(窒素源)인 peptone에서 752mg/21일(日)으로 균체량(菌體量)이 가장 많았으며 그외 질소원(窒素源)에서는 균사생육(菌絲生育)이 정지(停止) 또는 억제(抑制)되는 경향(傾向)이였다. 4. 비타민류에서는 전체적(全體的)으로 균사생육(菌絲生育)이 양호(良好)하나 Pyridoxine에서 596mg/21일(日) 가장 좋았다. 5. 유기산류(有機酸類)에서는 Citric acid에서 506mg/21일(日)로 균체량(菌體量)이 가장 많았고 Acetic acid에서는 균사생육(菌絲生育)이 정지되었다.

  • PDF

연교추출물의 피부 항노화 효과 (Skin Anti-aging Effect of Forsythia viridissima L. Extract)

  • 김미진;김자영;정택규;최상원;윤경섭
    • KSBB Journal
    • /
    • 제21권6호
    • /
    • pp.444-450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주름개선 소재로서 phytoestrogen의 일종인 lignans를 각각 함유하는 연교추출물을 추출 분리하여 노화와 관련된 생리활성 효과를 확인하였다. Arctigenin과 matairesinol을 각각 함유하는 연교추출물은 처리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농도 의존적으로 DPPH와 superoxide radical에 대한 소거효과를 나타내었다. DPPH radical 소거효과에서 arctigenin-rich와 matairesinol-rich는 각각 $IC_{50}$ 값이 $5.747{\mu}g/ml,\;4.450\;{\mu}g/ml$를 나타내었으며, superoxide radical 소거효과에서는 각각 1.634 mg/m1, 542.428 mg/ml로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BHT보다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Type I collagen 합성효과도 arctigenin 및 matairesinol을 각각 함유한 연교추출물 그리고 양성 대조군 vitamin C를 $100\;{\mu}g/ml$을 처리하였을 때 각각 10.5, 26.4, 15.7%의 합성율을 보임으로써 vitamin C와 유사하거나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UVA에 의해 발현이 증가되는 MMP-1의 발현저해 효과는 matairesinol을 함유한 연교추출물의 경우 oleanolic acid와 유사한 저해 효과를 보였다. Matairesinol을 함유한 연교추출물을 함유한 크림의 피부 주름개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눈가 주름 부위의 제품 도포 후 피부 주름의 변화와 피부거침 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연교추출물을 함유한 크림을 약 12주간 도포하였을 경우, 깊은 주름과 총 주름수의 감소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연교추출물 2%를 적용한 인체 안전성시험에서 무자극으로 판명 되 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lignans를 각각 함유하는 연교추출물은 항산화 효과와 생체 단백질의 30%를 구성하는 collagen의 합성효과 및 UVA에 의한 MMP-1의 발현저해 효과를 보였다. 인체에 무자극성으로 제품에 적용시 관찰되는 피부 주름개선 효과는 lignans를 각각 함유한 연교추출물을 새로운 주름개선을 위한 천연소재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