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tamin C content

검색결과 865건 처리시간 0.028초

수침 및 감마선 처리가 밤의 저장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ater Soaking and Gamma Irradiation on Storage Quality of Chestnuts)

  • 권중호;이정은;이새봄;정헌식;최종욱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9-15
    • /
    • 2001
  • 밤(Castanea crenata, 은기)의 저장특성에 대하여 수침처리와 감마선 조사의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확된 밤을 48시간 동안 수침 처리한 후 0, 0.15, 0.25 및 0.35 kGy의 감마선을 조사하고 $0^{\circ}C$와 95$\pm$2%의 상대습도에서 9개월 동안 저장하면서 품질변화를 측정하였다. 발아현상은 수침 처리된 밤에서만 저장말기에 나타났으며, 감마선을 0.35 kGy 조사한 밤에서는 발아되지 않았다. 수침처리 밤에서는 조사 선량에 무관하게 저장 초반기부터 부패가 발생되어 수침처리 되지 않은 경우보다 저장 9개월 후 약 2배의 부패율을 보였다. 중량감소는 수침 처리된 밤이 무처리 밤보다 적었으며, 조사선량의 영향은 없었다. 과육경도는 수침처리를 하지 않은 경우 감마선 조사에 의해 감소가 억제되었으며, 고선량 일수록 높게 유지되는 경향이었다. 전당함량은 감마선이 조사된 밤이 조사되지 않은 밤보다 저장말기에 높게 유지되었으며 선량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비타민 C 함량은 감마선 조사 직후 다소 감소되었으나 저장 중 변화는 감마선 조사된 밤에서 완만하게 감소되었다. 가용성 탄닌의 함량은 발아억제 선량 범위의 감마선 조사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 PDF

Nutritional and Sensory Quality of Prepared Tomato (Solanum lycopersicum) Leather

  • Chhetri, Arun Jung;Dangal, Anish;Shah, Rajesh;Timsina, Prekshya;Bohara, Ebika
    • 분석과학
    • /
    • 제35권4호
    • /
    • pp.169-180
    • /
    • 2022
  • Tomato has a limited shelf life and is highly perishable due to its high moisture content. As fruit leather, is a traditional food of Nepal, it can be beneficial to move towards value addition and diversification of the traditional product. The main aim was to analyze the nutritional values and phytochemicals of the tomato pulp and prepared leather, and sensory evaluation of prepared tomato leather. Five samples A, B, C, D and E were prepared with 80:20, 72.5:27.5, 95:5, 87.5:12.5 and 65:35 fruit pulp: sugar ratio respectively. Analysis of raw tomato pulp and all the five samples was performed. Sensory quality of the product sample A was found superior to that of other samples but chemical and phytochemical properties of product sample C was found superior than that of other prepared samples. Therefore, we had two best products, in terms of sensory properties and in terms of nutritional properties. The best product on the basis of nutrients (sample C) had acidity (%), TSS (°Bx), pH, total ash content (%), crude protein (%), crude fat (%), crude fiber (%), carbohydrate (%), vitamin C (mg/100 g), total energy (Kcal/100 g), TPC (mg GAE/g of dry extract), TFC (mg QE/g of dry extract), DPPH scavenging activity (% of inhibition) and lycopene content (mg/100 g) was found to be 3.70.1, 20 ± 0.02, 3 ± 0.1, 2.30 ± 0.05, 2.69 ± 0.04, 0.87 ± 0.02, 5.46 ± 0.01, 69.68 ± 0.02, 25.17 ± 1.25, 297.31 ± 0.01, 85.35 ± 0.02, 65.39 ± 0.02, 59.23 ± 0.03 and 98.57 ± 0.02 respectively. A tasty and nutritious product of tomato, leather can be prepared which can be more appealing to the consumer.

봄 산채 5종(두릅, 엄나무, 오갈피, 참죽, 옻 새순)의 영양성분, 항산화 및 ACE 저해 활성 (Nutritional Components, Antioxidant and ACE Inhibitory Activity of Five Kinds of Wild Vegetables (the Sprouts of Aralica elata, Kalopanax pictus, Acanthopanax cortex, Cedrela sinensis, Rhus vernicifera) in Spring)

  • 이종국;이정;조윤정;주정일;박진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85-192
    • /
    • 2023
  • This study analyzed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five kinds of fresh vegetables produced in trees in early spring and tried to use them as basic data for wild vegetable producers and processed food manufacturers using wild vegetables. The crude protein, minerals, ascorbic acid, folate, total phenol, total flavonoid, DPPH (2,2-diphenyl-1-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CE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were determined. Five spring wild vegetables contain high protein and phosphorus, indicating that they are useful food ingredients as sources of protein and phosphorus. Vitamin C content was high in R. venicifera and C. sinensis shoots, and in particular, R. venicifera and A. cortex shoots have high folic acid (folate) contents of 1,903.91 ug% and 1,525.35 ug%, respectively, which is considered a good food for folic acid intake in spring. The total phenol content was between 0.52% and 1.27%, and it was the highest in C. sinensis of 1.27%, followed by the order of R. venicifera, A.cortex, K.pictus, and A. elata, which tended to be consistent with the total flavonoid content. As for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C. sinensis (55.93%) showed the highest activity, and ACE inhibitory activity showed the highest activity in A. cortex (88.04%).

풋꼬투리 강낭콩 보관온도가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ackaging and Storage Temperature on the Shelf-life Extension of Kidney Bean (Phaseolus vulgaris L.))

  • 최동진;정종도;심용구;최경배;윤재탁;전하준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96-100
    • /
    • 2008
  • 꼬투리째 먹는 채소인 풋꼬투리 강낭콩의 수확후 포장 및 저장 유통온도별 품질보존 및 상품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저장중 중량의 변화에서 PP필름 포장시는 변화가 없었으나 골판지박스 포장시는 저장 온도가 높고,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중량 감소율이 현저하였다. 저장중 경도는 저온저장이 상온저장보다 높게 유지되었다. 비타민 C함량은 저장중 모든 처리에서 감소되었고, 그 감소의 폭은 상온저장보다는 저온저장 시 적었다. 엽록소함량은 비닐필름 포장시는 저장온도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박스포장시는 상온저장시 엽록소함량의 감소가 저온저장보다 컸다. 외관 상품성을 표시하는 신선도는 비닐포장이나 골판지박스에 속비닐 넣은 후 산물을 포장하여 $8{\sim}10^{\circ}C$정도에서 저장 유통시는 상품유지기간이 8일 정도로 상온보관대비 4일정도 연장되었다.

가을 김장배추 품종별 김치 가공적성의 비교 (Comparison of Fall Cultivars of Chinese Cabbage for Kimchi Preparation)

  • 이인선;박완수;구영조;강국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26-230
    • /
    • 1994
  • 가을 김장배추의 품종별 김치가공적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 품종의 특성을 조사하고, 김치를 제조하여 발효양상과 관능적 기호도를 비교하였다. 배추 품종별 물리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포기당 무게는 ‘올림픽’이 가장 무겁고, 길이는 ‘청산’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배추 품종별로 화학적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 수분은 $91.51%{\sim}94.37%$의 범위이었으며, ‘노란맛’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비타민 C와 환원당은 ‘청산’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품종별로 제조한 김치의 발효양상을 보기 위하여 $4^{\circ}C$에서 숙성시키면서 pH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입동’과 ‘대복’의 저하 속도가 빠르게 나타났고 숙성 40일째 모든 품종이 pH 4.0 이하로 저하되었다. 총산의 함량은 ‘녹탑’과 ‘청산’을 제외한 대부분의 품종이 12일째 초기의 2배가 되었으며, 숙성 40일에는 대부분 $0.55{\sim}0.59%$ 수준이었다. 이상의 결과와 관능적 기호도 조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올림픽’과 ‘가락신 1호’가 김치제조의 가공적성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부추김치의 발효숙성에 들깨가루 첨가량이 미치는 영향 (Effect of Various Levels of Perilla Seed Powder on the Fermentation of Puchukimchi)

  • 장명숙;박문옥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32-240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부추김치를 담글 때 최적의 들깨가루 첨가량을 찾기 위한 것으로 부추 무게의 0, 1, 2, 3, 5%의 들깨가루를 첨가하여 부추김치로 담그고, 담근 즉시 1$0^{\circ}C$에서 45일 동안 발효숙성 시키면서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및 관능적 특성을 알아보았는데 결과는 다음과 같다. pH와 총산도는 발효숙성 초기에 처리구간에 큰 변화가 없었다. 발효숙성 8일째까지는 들깨가루를 첨가한 구보다 첨가하지 않은 처리구의 발효숙성이 빨리 진행되어 높은 총산도를 나타내었으나, 발효숙성 25일 이후에는 오히려 들깨가루를 첨가한 처리구의 발효숙성이 빠르게 진행되었다. 총 비타민 C 함량은 발효숙성 8일째까지 거의 비슷한 함량을 보이다가 발효숙성 13일에 모든 처리구에서 크게 감소하였는데 특히 들깨가루를 첨가하지 않은 처리구와 들깨가루 1% 첨가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적은 총 비타민 C함량을 나타내었다. 발효숙성 40일에는 들깨가루 5% 첨가구가 가장 많았으며, 들깨가루를 첨가하지 않은 처리구가 가장 적게 나타났다. 젖산균 수는 발효숙성이 진행되면서 서서히 증가하였는데, 발효숙성 8일과 13일에 모든 처리구에서 크게 증가하였고, 들깨가루 2% 첨가구가 발효숙성 35일 이후부터 45일까지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많은 젖산균 수를 유지하였다. 관능평가 결과 발효숙성 초기인 발효숙성 2일에는 들깨가루 3%와 5% 첨가구를 선호하여 들깨가루의 첨가량이 많은 경우에는 부추김치가 덜 익은 상태에서 높은 기호도를 보였음을 알 수 있었으며, 발효숙성 45일까지 꾸준히 관능적 특성에서 우수한 것은 들깨가루 2% 첨가구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들깨가루는 발효숙성 초기에는 부추김치의 발효숙성을 억제하나, 발효숙성 말기에는 오히려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들깨가루를 첨가하여 부추김치를 담글 때에는 들깨가루를 2%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자일리톨 첨가가 동치미의 맛과 발효숙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xylitol on the taste and fermentation of Dongchimi)

  • 문성원;장명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2-48
    • /
    • 2004
  • 천연소재 감미료인 당알코올류의 자일리톨을 동치미에 첨가하였을 때 동치미의 맛과 발효숙성에 자일리톨이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하여 동치미 국물에 대한 자일리톨 첨가량을 0, 1, 2, 3, 4%(w/v)로 하였고, 1$0^{\circ}C$에서 30일 동안 발효시키면서 관능적,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을 보았다. 관능적 평가 결과 냄새, 단맛, 숙성도, 조직감과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자일리톨 1% 첨가구가 높은 점수를 받아 가장 선호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자일리톨 2% 첨가구를 좋아하는 것으로 보였다. 발효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pH는 점차로 낮아졌고, 총산함량은 모든 첨가구에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일리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pH는 낮게 총산함량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환원당은 발효기간 동안 자일리톨 1% 첨가구가 다른 첨가구에 비해 비교적 많은 함량을 유지하였다 총 비타민 C는 발효초기에 증가하였다가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고, 자일리톨 2% 첨가구가 많은 총 비타민 C함량을 보였고, 그 다음으로 1% 첨가구였다. 총균수와 젖산균수는 발효 2일과 5일에 모든 첨가구에서 크게 증가하였다가 그 이후로 서서히 감소하였고, 자일리톨 1% 첨가구의 총균수와 젖산균수가 많은 균수를 유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대조구에 비해 자일리톨 1% 첨가 동치미가 맛과 조직감을 향상시켜 전반적인 기호도를 좋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경재배시 배양액 내 이온농도에 따른 두 종의 백리향 생육 및 정유 성분 비교 (Comparison of Growth and Essential Oil Composition in Two Hydroponically Grown Species of Thymes at Different Nutrient Solution Strength)

  • 김예희;이문정;박권우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79-84
    • /
    • 2000
  • Thymus속의 common thyme과 thyme의 담액수경 재배시 배양액의 이온농도를 달리하여 두 종의 생육과 품질을 비교하였다. 배양액의 이온농도는 1.2, 2.4, 4.8 그리고 $7.2mS.cm^{-1}$로 하였다. 두 종 모두 $0.5(EC=1.2\;mS.cm^{-1})$배와 1배의 낮은 이온농도 처리에서 생육이 좋았다. Common thyme과 lemon thyme의 생육은 배양액내 이온농도가 높아질수록 건물율은 증가했으나 초장, 근장과 생체중은 감소하였다. 엽록소 함량은 lemon thyme에서 더 높았으나 비타민 C의 함량과 정유함량은 common thyme에서 더 높았다. 두 종간의 주요 정유 성분 차이를 보면, common thyme의 주성분은 thymo과 carvacrol이고, lemon thyme은 geranio과 ${\alpha}-citral$로 각각 정유 성분의 50~70%를 차지하고 있다. 이들의 각 주성분의 함량은 생육이 좋았던 0.5배에서 가장 많았다. 결과적으로 수경재배시 common thyme과 lemon thyme 모두 허브 배양액 0.5배액으로 재배시 우수한 품질의 작물을 생산할 수 있었다.

  • PDF

멸치젓 첨가량이 부추김치의 발효숙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arious Level of Salted Anchovy on Puchukimchi Fermentation)

  • 배상임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85-98
    • /
    • 1996
  • This study was undertaden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alted anchovy during Puchukimchi fermentation, Puchukimchi is a kind of Korean kimchi made with Puchu(Allium odorum L.). For this purpose, the Puchukimchi with 10%, 15% and 30% salted anchovy was investigated by measuring physicochemical, microbiolog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during fermentation at 5$\pm$2$^{\circ}C$ up to 60 days, In the palatable period, pH was remarkably decreased to the range of 4.8-5.16 and total acidity was increased 2-3 times more than that of initial period. Reducing sugar contents in Puchukimchi increased up to 22days and remarkably decreased. The changing pattern of vitamin C drawed sigmoidal curve, invreasing significantly in the palatable period. The content of lactic acid was a little in the initial fermentation period but increased 3-13 times more than that of the initial fermentation period in the palatable period. The content of malic acid and citric acid were decreased as the fermentation progressed. The contents of Ca, Mg and K was gradually decreased and Na was increased as the fermentation progressed in the same period. There were similiar changes in the number of lactic acid bacteria and total cell number. The score of overall taste, overall acceptability in evaluation during fermentation was high in order of 15%, 10%, 30% level of salt fermented anchovy.

  • PDF

Antioxidant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Root Parts of Korean Salad Plants

  • Chon, Sang-Uk;Kim, Tae-Soon;Shin, Ji-San;Boo, Hee-Ock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413-419
    • /
    • 2008
  • Phenolics level, total flavonoid content, and antioxidant were determined from the methanol extracts of the eight medicinal plants using roots. Total phenolics were found as the highest levels in the methanol extracts of Arctium lappa, and followed by Youngia sonchifolia and Cirsium japonicum. Total amount of the each phenol compounds were detected in C. japonicum extracts ($319.2\;mg\;kg^{-1}$) as the greatest component, and followed by A. lappa ($96.3\;mg\;kg^{-1}$) and Y. sonchifolia ($22.9\;mg\;kg^{-1}$). Total flavonoid content showed the highest amount in methanol extracts from A. lappa (68.1 mg $100\;g^{-1}$) and followed by Y. sonchifolia (11.2 mg $100\;g^{-1}$) Lycoris radiate extracts (87.2%) had the highest nitrite scavenging activity and followed by A. lappa (81.5%) and Y. sonchifolia (77.5%). Methanol extracts of A. lappa at 25 mg $100\;g^{-1}$ exhibited the highes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by 90.8%, even though less activity than synthetic antioxidants Vitamin C or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Level of polyphenols was highly correlated with anti oxidative activity ($r^2$ = 0.85). The results suggest that several medicinal plants selected had the potent biological activities, and that their activities were differential depending on plant spe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