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추김치의 발효숙성에 들깨가루 첨가량이 미치는 영향

Effect of Various Levels of Perilla Seed Powder on the Fermentation of Puchukimchi

  • 장명숙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박문옥 (장안대학 식품영양과)
  • 발행 : 1998.08.01

초록

본 연구에서는 부추김치를 담글 때 최적의 들깨가루 첨가량을 찾기 위한 것으로 부추 무게의 0, 1, 2, 3, 5%의 들깨가루를 첨가하여 부추김치로 담그고, 담근 즉시 1$0^{\circ}C$에서 45일 동안 발효숙성 시키면서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및 관능적 특성을 알아보았는데 결과는 다음과 같다. pH와 총산도는 발효숙성 초기에 처리구간에 큰 변화가 없었다. 발효숙성 8일째까지는 들깨가루를 첨가한 구보다 첨가하지 않은 처리구의 발효숙성이 빨리 진행되어 높은 총산도를 나타내었으나, 발효숙성 25일 이후에는 오히려 들깨가루를 첨가한 처리구의 발효숙성이 빠르게 진행되었다. 총 비타민 C 함량은 발효숙성 8일째까지 거의 비슷한 함량을 보이다가 발효숙성 13일에 모든 처리구에서 크게 감소하였는데 특히 들깨가루를 첨가하지 않은 처리구와 들깨가루 1% 첨가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적은 총 비타민 C함량을 나타내었다. 발효숙성 40일에는 들깨가루 5% 첨가구가 가장 많았으며, 들깨가루를 첨가하지 않은 처리구가 가장 적게 나타났다. 젖산균 수는 발효숙성이 진행되면서 서서히 증가하였는데, 발효숙성 8일과 13일에 모든 처리구에서 크게 증가하였고, 들깨가루 2% 첨가구가 발효숙성 35일 이후부터 45일까지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많은 젖산균 수를 유지하였다. 관능평가 결과 발효숙성 초기인 발효숙성 2일에는 들깨가루 3%와 5% 첨가구를 선호하여 들깨가루의 첨가량이 많은 경우에는 부추김치가 덜 익은 상태에서 높은 기호도를 보였음을 알 수 있었으며, 발효숙성 45일까지 꾸준히 관능적 특성에서 우수한 것은 들깨가루 2% 첨가구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들깨가루는 발효숙성 초기에는 부추김치의 발효숙성을 억제하나, 발효숙성 말기에는 오히려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들깨가루를 첨가하여 부추김치를 담글 때에는 들깨가루를 2%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effect of various levels of perilla seed powder on physicochemical, microbiolog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Puchukimchi during fermentation was investigated. Puchukimchi is a kind of korean kimchi made with Leek (Allium odorum L.). In a laboratory model of Puchukimchi made with various levels (0, 1, 2, 3, 5%) of perilla seed powder fermentated at 10$^{\circ}C$ up to 45 days. As a fermentation progressed, the initial high decrease in pH has been retarded in all the treatments, of which the delaying extent was noted from Puchukimchi made with perilla seed powder. The pH dropped with accumulation of total acidity. The total vitamin C content increased sharply at the palatable period of Puchukimchi during initial fermentation and then, especially from the 8th-day, gradually decreased later following sigmoidal changing pattern. And the total vitamin C content was the highest in the Puchukimchi made with 5% perilla seed powder. The lactic acid bacteria count increased remarkably and then decreased gradually after optimum ripening period, i.e., the palatable period of Puchukimchi during fermentation. During the early stage of fermentation, sensory evaluation showed the higher scores on the overall taste of Puchukimchi made with 3, 5% on the 2nd-day, 1, 2% on the 5th-day of fermentation. However, the trend of acceptability has been reversed by the Puchukimchi made with little amount of perilla seed powder, more notably 2% at the later stage of fermentat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