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tal Sign

검색결과 299건 처리시간 0.035초

UHF 대역 FSK에 의한 생체신호 무선 전송장치의 개발 (A FSK Radio-telemetry System for Monitoring Vital Signs in UHF Band)

  • 박동철;이훈규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55-260
    • /
    • 2000
  • 본 연구는 중환자실, 응급실, 수술실등 병실내에서 환자를 구속하지 않고. 무선으로 환자의 활력징후 신호등을 관찰할 수 있는 생체신호 무선 전송장치를 설계 제작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무선 환자감시장치는 활력징후 신호 수집기, 무선 송수신 장치 및 활력징후 관찰기로 구성된다. 활력징후 신호 수집부는 생체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아날로그신호 증폭기와 디지털데이터 변환을 위한 단일 칩 마이크로 컨트롤러로 구성된다. 전송신호의 품질을 확보하고 신호처리 및 구성이 간단하여 저 비용으로 구성할 수 있는 주파수편이변조(FSK) 방법을 사용하였고 디지털신호는 UHF 대역의 미약 무선주파수에 의하여 송수신되었다. 활력징후 신호 관찰기는 무선 수신기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를 복조하고 활력징후 신호를 상시 모니터링하기 위한 액정모니터(LCD) 및 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감열기록장치(thermal Printer)로 설계 제작되었다.

  • PDF

간호진단과 간호중재 연계를 위한 연구 (Study to Develop Linkages between Nursing Diagnoses and Interventions)

  • 이은주;최인희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83-192
    • /
    • 2003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validate the linkage between nursing diagnoses and nursing interventions by identifying performance and importance of nursing interventions linked to five NANDA nursing diagnoses. Method: Data was collected from 153 staff and head nurses working in 4 hospitals in K city.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mean, SD and spearman correlation for ranking correlation. Result: The most importantly considered interventions were Medication Administration (IV) for pain, Pain Management for Constipation, Intravenous (IV) Insertion for Diarrhea, treatment, Vital Sign Monitoring for Hyperthermia, and Vital Sign Monitoring for Infection risk. The most frequently performed interventions was Medication Administration (IV) for Pain, Fluid Management for Constipation, Intravenous (IV) Insertion for Diarrhea, Vital Sign Monitoring for Hyperthermia, and Vital Sign Monitoring for Infection: Risk for. The rank correlations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were highest in Diarrhea and lowest in Constipation. Conclusion: The above findings can be used to develop a nursing information system which can be used to facilitate documenting the nursing process, and a nursing information system developed by this research process will ultimately contribute to identifying nurses contribution to patient health.

  • PDF

HL7 프로토콜을 이용한 생체정보 웹 뷰어 시스템 개발 (The Development of Vital Sign Web Viewer Systems using HL7 Protocol)

  • 임세정;강기웅;서종주;김광준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112-117
    • /
    • 2008
  • HL7은 병원정보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정보와 관련된 표준화된 프로토콜이다. 생체 정보 웹 뷰어 시스템 또한 의료 영상 및 전송에 대해 표준화된 프로토콜이다. 원격 진료의 새로운 기술을 받아들이기 위해 병원에서 서로 다른 시스템들 사이의 표준화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또한 외부 병원과의 연동을 위한 통신방식도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 우리는 병원정보 시스템과 생체 정보 웹 뷰어 시스템사이의 통합 방법을 제안한다. 적절한 생체정보 데이터의 교환과 정보 관리의 수정을 통해 병원정보 시스템은 모든 병원 관계자의 보다 나은 업무처리를 향상시킬 수 있다.

  • PDF

HL7 프로토콜을 이용한 생체정보 웹 뷰어 시스템 개발 (The Development of Vital Sign Web Viewer Systems using HL7 Protocol)

  • 임세정;강기웅;서종주;김광준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123-128
    • /
    • 2007
  • HL7은 병원정보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정보와 관련된 표준화된 프로토콜이다. 생체 정보 웹 뷰어 시스템 또한 의료 영상 및 전송에 대해 표준화된 프로토콜이다. 원격 진료의 새로운 기술을 받아들이기 위해 병원에서 서로 다른 시스템들 사이의 표준화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또한 외부 병원과의 연동을 위한 통신방식도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 우리는 병원정보 시스템과 생체 정보 웹 뷰어 시스템사이의 통합 방법을 제안한다. 적절한 생체정보 데이터의 교환과 정보 관리의 수정을 통해 병원정보 시스템은 모든 병원 관계자의 보다나은 업무처리를 향상시킬 수 있다.

  • PDF

ECG 생체신호 측정을 위한 실용적 U-헬스케어 의복개발 (Development of the Practical Garment Apparatus to Measure Vital Sign of ECG for U-Health Care)

  • 박혜준;홍경희;김승환;신승철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92-299
    • /
    • 2007
  • Development of portable device measuring the vital sign continuously with no limit of time and space is absolutely prerequisite for the U-health care that grafts the ubiquitous concept into medical system. Accordingly, it requires to develop a garment style apparatus for measuring vital-sign that is easy to wear on for a long time period. This study suggests a method to improve the insulation of electric cable and the skin adhesion of electrode by integrating the electric conductive material to garment, in order to develop a garment apparatus for measuring ECG for U-health car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In order to provide the adjacent conductive yarns with insulation, braid with narrow woven end was interlaced using polyester yarn. As a result, the direct contact between electric conductive yarns was restrained, which would be interposed into pin-tuck structured cable. Washable silicone gel applied around the electrode made of electric conductive fabric improved the adhesion, which prevents electrodes from dropping off from the skin surface during body movement. ECG signals on the human subject were tested using the garment apparatus developed by the above method. And the result was that the clear QRS wave formation in the typical form of ECG could be measured in both conditions of still and moving state as well.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for the production of U-health care related medical apparatus by accelerating the practical uses of the garment measuring vital sign at a reasonable price.

스트레스 반응으로 나타나는 활력증상 변화에 대한 실증적연구 (A Study of the Difference of Vital Sign by Stress Reaction)

  • 김희승;한윤복;김명자;노유자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37-144
    • /
    • 1987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vital sign as an instrument of stress reaction measurement. From July to August 1986, stress reaction was evaluated by the difference of endoscopic vital sign on 93 G-I troubled out-patients who underwent endoscopy for the first time and did not have any evidence of cardiovascular disease. The data were analysed by x$^2$-test, Paired . t-test, ANCOVA and Multiple Comparison Test. The result of study were as follows: 1. The frequency of gastric disease was differed by the family type, and the mobility of gastritis and gastric cancer were more increased in nuclear family than in large family (p=0.019). 2. In a comparison of before with after 5 minutes endoscopic vital sign, and a Pulse rate (P=0.0001), respiration rate (p=0.0001), systolic blood pressure (p=0.0002)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P=0.006)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5minutes by endoscopy in contrast with before 5minutes. 3. The control of before 5 minutes of endoscopic vital sign, after 5 minutes of endoscopic systolic (p=0.024)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p=0.0146) were more elevated in biopsyed group than in non-biopsyed, group. And after 5minutes of endoscopic respiration rate was more increased in gastric cancer than in gastritis (p=0.0406) or gastric ulcer (p=0.0073). And after 5 minutes of endoscopic systolic blood pressure was elevated over 50years old men (P=0.0238). In short, the increase of a pulse rate af ter 5 minutes of endoscopy was not influenced by general characteristics of samples in this experiment. And systolic blood pressure over 50years old men must be considered of physiological hypertension.

  • PDF

TMO를 이용한 실시간 생체정보 전송 모니터링 시스템 구현 (The Implementation of Real-Time Vital Sign Information Transmission Monitoring System using TMO)

  • 임세정;김광준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권3호
    • /
    • pp.33-40
    • /
    • 2008
  • TMO 구조는 시간 구동 메소드와 메시지 구동 메소드의 두 가지 형태의 메소드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정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동적으로 수행되는 시간 구동 메소드와 객체 노드 사이의 실행 결과를 주고받을 수 있는 서비스 메시지 구동 메소드로 명확하게 구분된다. 시간 구동 메소드의 실행은 설계 시간을 설정하는 과정에 결정된 특정한 값에 의해 실시간 통신 클럭의 도착에 따라 이루어지고 반면에 서비스 구동 메소드 실행은 클라이언트로부터 메시지를 요구하는 서비스에 의해서만 실행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TMO 구조를 이용하여 실시간 통신 시뮬레이션 프로그래밍을 하기 위해 환자 모니터 원격진료 시스템 응용 환경에 적용하였다. Central Monitor로부터 전송되어진 환자의 생체정보 Raw Data가 HIS의 데이터 수신 모듈을 통해 사용가능한 데이터로 재구성될 수 있도록 설계가 이루어져 있다. 환자 생체정보에 대한 실시간성과 생체정보에 대한 생체정보 데이터의 연속성을 부여함으로서 베드 사이트의 환자에게서 발생된 모든 생체정보에 의해 환자 관리가 이루어진다.

  • PDF

Web을 통한 원격 환자 모니터링 서비스 (Remote Patient Monitoring Service through World-Wide Web)

  • 이호성;박승훈
    • 대한의용생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9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88-191
    • /
    • 1997
  • In this paper, we present a real-time remote patient monitoring service through world-wide web, which allows the medical doctor to monitor his patients in remote sites using popular web browsers. The real-time service consists of two services: Patient Locator Service (PLS) and Vital Sign Monitoring Service (VSMS). The PLS provides the information of patients currently being monitored. The VSMS allows the user to observe a stream of vital sign data of a specific patient. The vital sign data include ECG, respiration, temperature, $SPO_2$, invasive blood pressure and non-invasive blood pressure.

  • PDF

생징후감시를 위한 Pluse oximetry에 대한 임상적 고찰 (A CONSIDERATION ON THE PULSE OXIMETRY FOR VITAL SIGN MONITORING)

  • 김신;정태성;박용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887-892
    • /
    • 1996
  • For the purpose of assessing the utility and cautionary aspects of pulse oximetry of which use is rapidly increased, it was applied to the maladaptive child patients with sedative drugs and evaluated the results. When pulse oximeter was used alone for vital sign monitoring, it was thought impossible to exclude the false alarm or false silence by various causes. To minimize or remove these misunderstanding, operators should have a extensive knowledge not onl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operation of this apparatus but also on the potential of misoperation. To review the present status of increasing risk of hypoxia during the sedation, it was thought unreasonable to solely depend upon this apparatus for vital sign monitoring. By combining with more accurate and auxiliary monitoring devices, pulse oximetry will be of greater value and can meet the clinical needs and conveniences.

  • PDF

무선 체온 모니터기 아키텍처 하드웨어 개발 (Development of Hardware for the Architecture of A Remote Vital Sign Monitor)

  • 장동욱;장성환;정병조;조현섭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2549-2558
    • /
    • 2010
  • 무선 체온 모니터기는 무선으로 체온을 모니터 하기 위해 설계된 건강관리 시스템이다. 무선 체온 모니터기는 낮은 가격과 손쉬운 사용방법으로 병원 장치와 비교할만한 정확도와 몇몇 특성들을 제공한다. 무선 체온 모니터기는 밴드 파트와 모니터 파트로 구성되어 있다. 밴드 파트와 모니터 파트 모두 2.4GHz 직접 시퀀스 확산 스펙트럼 라디오가 내장되어 있는 칩콘2430, 일명 CC2430라는 마이크로 칩으로 사용한다. 이 CC2430은 무선 체온 모니터기가 집안 100피트 반경까지 상호 작동할 수 있게 해준다. 간단한 사용자 환경은 사용자로 하여금 손쉽게 고온과 저온의 한계점을 세팅할 수 있게 되어있다. 만약 사용자의 체온이 고온과 저온의 한계점을 넘어섰을 때 알람이 울리게 되어 있다. 알람은 저전압 오디오 증폭기와 스피커에 연결되어 작동되게 되어있다. 정확한 체온을 계산하기 위해 무선 체온 모니터기는 반드시 정확한 온도 검출장치를 사용해야만 한다. GE Sensing에서 선택된 서미스터는 온도 측정의 예민함과 정확함을 모두 만족시킨다. LCD 화면은 길이 64.5mm 폭 16.4mm의 백라이트 기능을 가추고 있으며 이 기능은 사용자가 어두운 환경이나 밝은 환경에서도 적어도 3피트 거리에서 화면을 모니터 할 수 있게 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