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sual comprehension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28초

투시도 기초 교육 사례 (Perspective Basic Education Example)

  • 남경숙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77-178
    • /
    • 2004
  • The study will focus on an exploration of a variety of perspectives drawing technique, which is the three-dimensional presentation measure. Through this course, student develop effective expression and introduction of their Interior Design. The contents of the course are as follows : 1. Comprehension of the perspective 2. Comprehension and practice of the 1point perspective 3. Comprehension and practice of the 2point perspective 4. Comprehension and practice of the axonomatrics 5. Practice of the drawing technique through visual note

  • PDF

텍스트 유형과 작업기억이 읽기 정상 아동과 읽기 지진 아동의 텍스트 이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xt Types and Working Memory on Text Comprehension in Reading Normal and Reading Deficient Children)

  • 도경수;이은주
    • 인지과학
    • /
    • 제17권3호
    • /
    • pp.191-206
    • /
    • 2006
  • 언어 작업기억과 시공간 작업기억이 아동의 글 이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읽기 정상 아동과 읽기 지진아동들에게 두 개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1에서 정상 아동에 비해 읽기 지진 아동들이 읽기 폭과 연산 폭은 작았으나 시공간 폭은 작지 않았다. 또 정상아동은 설명글과 묘사글의 이해 정도의 차이가 없었지만, 읽기 지진 아동들은 묘사글보다 설명글의 이해 정도가 낮았다. 실험 2에서는 청각 기억과제와 시각 기억과제가 글 이해에 미치는 간섭효과를 알아보았다. 정상 아동들은 설명글과 묘사글 모두에서 시각 기억과제를 할 때보다 청각 기억과제를 할 때 이해 정도가 떨어졌으나, 읽기 지진 아동들은 묘사글을 읽을 때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시각 기억과제 조건에서 글 이해정도가 낮은 경향을 보였다. 이 결과는 글을 읽을 때, 특히 묘사글을 읽을 때 시공간 작업기억도 관여할 수 있으며, 이 가능성은 정상아동에게서 보다 읽기 지진 아동에게서 더 클 것으로 해석되었다.

  • PDF

도형을 이용한 계층구조 표현 방식에 대한 실증적 연구 (A Cognitive Study on the Diagrammatic Representation of Hierarchical Structure)

  • 김진우;목진희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9권1호
    • /
    • pp.193-209
    • /
    • 1999
  • Developing Information Systems is a process of decomposing the entire systems into sub systems and identifying a hierarchical structure among the sub systems. Diagrammatic representation of hierarchy is an essential part of systems development since the identified hierarchical structures are usually presented in diagrams. The main goal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most effective ways of representing system structures using diagrams. In order to achieve the main goal, this study performed three phases of research. In the first step, a theoretical model was constructed to conceptually explain users' comprehension on diagrams. Then visual factors of diagrammatic representation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diagrams used in systems development. Finally, three consecutiv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impacts of visual factors on the level of users' comprehen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familiarity and affordance of diagrams affect the degree of comprehension about the diagrams, which is in turn influenced by the complexity of tasks and the types of hierarchies. This paper concludes with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results and implications in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systems.

  • PDF

CT Scan Positioning시 고객의 검사진행의 이해를 돕기 위한 시청각 자료의 유용성 (Usefulness of Audio-visual Methods that is used to Customer to Help Smooth Public Prosecutor at CT Examination)

  • 안형택;전중근
    • 대한디지털의료영상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17-22
    • /
    • 2008
  • It is to improve customer satisfaction measurement and CT Scan process without delay of examination time when is using Scan positioning time(Planning time) that time is happened always between research reactor CT examination to increase fear and examination satisfaction by the customer's comprehension tribe which get the latest contrast enhancement CT examination. Needs and interests that customer wants to compose visual and auditory Contents to be played to Scan positioning time did questionnaire about curiosity later before CT examination to 600 people for October - November 2 months of 2006 to customer whole that get CT examination on source. Data getting through questionnaire investigated examination comprehension and satisfaction through questionnaire after experiment Scan Positioning to 500 coming to help customers to be source CT examination for 3 months February December - 2007 year in 2006 manufacturing Voice and Visual announce media for reference. To customer who interest degree appeared, and answers preparatory audit from preparatory audit about curiosity of CT examination customer to order of examination time required(43%), contrast media side effect(26%), examination region(20%), breath(10%), etc..(1.5%) audio-visual materials in questionnaire that attain after do reclamation among examination age, sex, reception type of irrelatively in 91% of target increase of hailing degree and examination satisfaction appear. Searched that customer hailing and satisfaction are increased greatly when use of audio-visual materials in satisfaction result that use CT Positioning delay time. In experiment process, It took lacking part by method that use hearing in case of do not use sight as is unavoidable in subject position or old age. Through this, audio-visual materials could analogize that it is more useful method that use sight and hearing at the same time.

  • PDF

한국 웩슬러 유아지능검사 4판(K-WPPSI-IV)의 지능구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e of Intelligence Measured by the K-WPPSI-IV)

  • 이경옥;박혜원;이상희
    • 아동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107-117
    • /
    • 2016
  •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construct validity of K-WPPSI-IV. Factor structures of the structures of the K-WPPSI-IV full scale as well as primary index scales for two age ranges (2 years, 6 months to 3 years, 11 months; 4 years to 7 years, 7 months) were examined.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700 children aged 2 years, 6 months to 7 years, 7 months during the K-WPPSI-IV standardization.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the K-WPPSI-IV subtest performances with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using Amos 18. Results: First, the three-factor model (verbal comprehension, visual spatial, and working memory) fitted best for the younger age range. However, the five-factor model (verbal comprehension, visual spatial, fluid reasoning, working memory, and processing speed) fitted best for the older age range. Residuals suggest the presence of two nested subfactors within the verbal comprehension factor (broad/expressive and focused/simple). Second,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n primary index subtests identified factors that account for the intercorrelations among the reduced sets of primary index subtests. Conclusion: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theoretical structures of WPPSI-IV subtests were confirmed within K-WPPSI-IV.

TV뉴스의 인포그래픽이 수용자의 기억과 이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fographic of TV news on audience's memory and comprehension)

  • 박덕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1호
    • /
    • pp.499-504
    • /
    • 2014
  • 본 연구는 텔레비전 뉴스의 시각적 요소인 인포그래픽이 수용자의 뉴스 기억과 이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실증연구이다. 본 실험을 위하여 87명의 대학생들로 구성된 피험자 집단을 인포그래픽의 유무에 따라서 2집단으로 나누어 KBS뉴스9에서 추출한 5개의 뉴스에 노출시킨 후, 설문조사에 응답하게 하여, 피험자들의 재인기억, 회상기억, 뉴스 이해 정도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인포그래픽이 있는 뉴스에 노출된 피험자들은 인포그래픽이 없는 뉴스에 노출된 피험자들보다 회상기억을 더 잘하였으며, 뉴스 이해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이항식 답변을 요구한 재인기억에 있어서는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이퍼텍스트의 정보구조를 제공한 e-Book 인터페이스 환경에서 학습자의 정보처리유형이 학업성취도 및 사용편의성에 미치는 효과 (An e-Book Interface by Providing Visual Information of Hypertext Structure Will be Affect Learning Comprehension and Usability According to Learner's Learning Preferences)

  • 성은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483-496
    • /
    • 2012
  • 학습자의 정보처리유형에 따른 e-Book 인터페이스의 설계 및 개발은 학습자 중심의 적성처지교수를 위해 중요한 이슈가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하이퍼텍스트 정보구조가 제공된 e-Book 학습환경에서 학습자의 정보처리유형이 학습내용 이해 및 사용 편의성에 있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검증해 봄으로써 보다 처방적인 e-Book 인터페이스의 설계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대학생 68명이 참여하였으며, 하이퍼텍스트 정보구조가 제공된 e-Book 콘텐츠를 통해 학습한 후 정보처리유형(시각 정보처리, 언어 정보처리)에 따른 학업성취도 (텍스트 구조 파악 및 학습내용이해)와 사용 편의성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학업성취도에 있어서는 정보처리 유형에 따라 텍스트 구조 파악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학습내용 이해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사용 편의성에 있어서는 학습자의 정보처리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구체적으로는 텍스트 구조 파악의 용이성, 텍스트 분량 파악의 용이성, 네비게이션의 용이성, 그리고 내용기억의 편의성 등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친 사용 편의성의 주요요인은 학습위치 파악의 용이성이었으며, 정보처리유형의 집단간 분류의 정확도는 79.4%로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e-Book 콘텐츠 설계 및 개발에 대한 전략적 시사점에 논의 되었다.

학습자 인지양식과 시각적 조직자 유형이 전자 텍스트 문서의 내용이해 및 구조파악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Learners' Cognitive Styles and Visual Organizer Types on Contents Comprehension and Awareness of Structure in Electronic Text Documents)

  • 한안나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47-58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웹 기반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인지양식과 시각적 조직자 (visual organizer) 유형이 전자텍스트 문서에 대한 내용이해 및 구조파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대구에 소재한 A 대학교에 재학 중인 126 명을 대상으로, 인지양식검사 결과에 따라 장의존 및 장독립적 인지양식 집단을 구성한 후 각 집단에 '단순축소' 형태와 '추상화' 형태, 두 가지 유형의 시각적 조직자가 포함된 웹 기반 학습 프로그램을 처치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자 텍스트 내용이해에 있어서 학습자의 인지양식 및 시각적 조직자 유형은 각각 텍스트 내용이해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텍스트 구조 파악에 있어서 장독립적 학습자가 장의존적 학습자에 비해 전자 텍스트 문서의 구조를 더 잘 파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양식과 시각적 조직자는 구조파악에 대해 상호작용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장의존적 학습자는 추상화 형태를 사용했을 때, 장독립적 학습자는 단순축소형태를 사용했을 때, 텍스트 구조파악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읽기장애 유형에 따른 인지능력 특성 연구 (The Characteristics of Reading-related Skills in Poor Comprehenders, Poor Readers and Normal Readers in Hangul)

  • 박현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3호
    • /
    • pp.295-304
    • /
    • 2015
  • 지금까지의 읽기장애 연구에서는 문자언어 음독의 정확성과 속도 즉 해독(음독)능력에 어려움을 가진 난독증(dyslexia)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으나 최근의 보고에 따르면 음독능력에는 어려움을 가지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특수하게 읽기 이해력만이 저하되는 특정 읽기이해부진아동의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음독능력은 저하되지 않으나 읽기 이해력만이 특수하게 저하되는 읽기이해부진 아동과, 음독능력과 읽기 이해력 모두 저하되는 읽기부진 아동의 특징을 비교검토 하였다. 그 결과 읽기부진아동이 음운인식 과제와 음운 작업기억 과제 모두에서 유의하게 낮은 수행을 보인 반면 특정 읽기이해부진아동 집단의 경우 음운 작업기억의 유의한 저하만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읽기 이해력 장애아동의 특성에 대한 시사점을 논하였다.

Preconsent Video-Assisted Instruction Improves the Comprehension and Satisfaction in Elderly Patient Visiting Pain Clinic

  • Kim, Sung-Hoon;Koh, Won-Uk;Rhim, Jin-Ho;Karm, Myong-Hwan;Yu, Hye-Suk;Lee, Bo-Yoeng;Shin, Jin-Woo;Leem, Jeong-Gill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25권4호
    • /
    • pp.254-257
    • /
    • 2012
  • Background: Elderly patients visiting pain clinic may be at greater risk of misunderstanding the explanation because of age-related cognitive decline. Video instruction may provide a consistent from of teaching in a visual and realistic manner. We evaluated the effect of educational video on the patient understanding and satisfaction in a group of geriatric patients visiting pain clinic. Methods: Ninety two patients aged more than 60 years old who were scheduled for transforaminal epidural block were recruited. After exposure to either video or paper instruction process, each patient was asked 5-item comprehension questions, overall satisfaction and preference question. During follow-up period, number of outpatient referral-line call for further explanation was counted. Results: We observed significantly better comprehension in the video education compared with paper instruction (P < 0.001). Patient satisfaction was also higher in the video group (P = 0.015), and patients visiting pain clinic were more preferred video instruction (P < 0.001). Proportion of referral-line call for further explanation were similar (P = 0.302). Conclusions: Video approach to instruction process before consent improves treatment comprehension in geriatric patient visiting pain clin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