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sual Fatigue

검색결과 303건 처리시간 0.03초

Effect of Fatigue on Force-Matching in the Quadriceps Muscle

  • Song, Young-Hee;Lee, Su-Young;Kwon, Oh-Yun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0-15
    • /
    • 2006
  • This study examined the ability of human subjects to match a force in their quadriceps muscle during fatigue. Twenty subjects (mean age: 23.4 yrs, mean height: 167.8 cm, mean weight, 62.6 kg) were enrolled in the experiment. In the force-matching task, the quadriceps muscle generated 50% of the MVIC (maximum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torque under visual control and then without visual feedback. After inducing fatigue in the quadriceps muscle, the subjects were required to match 50% of the MVIC torque without visual feedback. The perceived magnitude of the force and force-matching errors were measured. 50% of the MVIC torque was perceived from 39.96 Nm in the pre-fatigue condition to 44.95 Nm in the post-fatigue condition. 50% of the MVIC torque-matching errors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55% in the pre-fatigue condition to 9.6% in the post-fatigue condition (p<.001).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ly more force-matching errors in women than in men (p<.01). In conclusion muscle fatigue can interfere with a subject's ability to match a force. This suggests that muscle fatigue may contributes to the sensitization of the proprioception.

  • PDF

CRT 디스플레이의 패널곡률이 시각작업 수행도와 안피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anel Convexity on Visual Performance and Fatigue in Using Cathode-Ray Tube (CRT) Displays)

  • 김상호;장성호;임종호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7-44
    • /
    • 2003
  • An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suitability in visual tasks between flat and conventional (convex) cathode-ray tube (CRT) displays. The subjects performed visual search tasks during 2-h for detecting target words among distracters presented on the screen. The subjects' visual performance was evaluated with average time and number of errors made to complete the tasks. Visual fatigue after the search tasks was also evaluated in terms of degradations in accommodative power and subjective ratings. Difference was not found in task time between the two displays, but flat CRT showed a lower number of errors than conventional CRT. The difference in number of erro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0=0.05. Although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displays in degradations of accommodative power, results from the subjective ratings showed that flat CRT yields less fatigue than conventional CRT. The results partially support the hypothesis that panel convexity of CRT display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erformance and fatigue during visual tasks and thus flat CRT is the better display than conventional one.

3D 시각피로 유발에 따른 안면 온도 변화 (Variation of facial temperature to 3D visual fatigue evoked)

  • 황성택;박상인;원명주;황민철
    • 감성과학
    • /
    • 제16권4호
    • /
    • pp.509-516
    • /
    • 2013
  • 본 연구는 3D 산업의 안전성 문제인 3차원 콘텐츠로 유발된 시각피로를 안면 온도 변화로 정량화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콘텐츠 시청 전과 후에 각 1분간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안면온도를 측정하였고 주관설문과 인지부하 실험을 통해 시각피로를 판단하였다. 2D와 3D의 시청 전과 후를 비교하여 3D 콘텐츠 시청에 따른 시각피로 유발 시 안면 온도에 차이를 확인하였다. 시청 전과 후에 차이를 비교한 결과 주관 설문과 인지부하 실험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ERP latency는 3D 시청 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면 온도의 경우 미간(forehead)과 코끝(tip of the nose) 영역의 최대값을 비교 결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선행 연구에서 3D 시각피로 발생 시 교감신경계가 항진됐던 결과와 비교해보면 교감신경계가 항진되면 심박 수가 증가하고 목동맥계(carotid arteries system)를 통한 안면으로의 혈류량이 증가하게 된다. 2D와 3D 시청 시 교감신경계 항진 정도에 따라서 혈류량 변화로 안면 온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열화상이미지를 이용한 3D 시각피로 측정 가능성을 확인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effect of visual information on gait parameters with induced ankle muscle fatigue

  • Suh, Hye Rim;Hwang, Jin-Hee;Lee, Su-Young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6권3호
    • /
    • pp.140-145
    • /
    • 2017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isual block with ankle joint fatigue on gait and dynamic balance ability. Design: Cross-sectional study. Methods: Thirty healthy young adults (men=15, women=15) between 22 to 25 years of age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subjects performed the gait and dynamic balance test successively in two conditions: the visual block and the open eyes condition. Before the gait and dynamic balance test, muscle fatigue on the ankle joint was induced to all subjects by doing ankle dorsiflexion and plantarflexion alternately, and then gait parameters (step length, stride length, cadence, velocity, single limb support, and double limb support) were assessed by walking on the GAITRite system (CIR Systems Inc., USA). Subjects also performed the functional reach test (FRT) for assessment of dynamic balance. This study examined gait parameters and FRT scores in each visual block and open eyes condition.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FRT scores with the visual block condition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without visual blocking (p<0.01). Step length, stride length, cadence, and velocity of gait parameters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visual block condition (p<0.01)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or single limb support. However, double limb support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visual block system (p<0.01). Conclusions: Therefore, blocking of visual information with muscle fatigue of the ankle joint can affect gait and balance ability of young adults and increase the risk of falls.

액티브 시니어의 시각 피로도 연구 (Visual Fatigue Study of Active Senior)

  • 조혜숙;나윤혜;심영보;이장우;박건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18-26
    • /
    • 2018
  • 새로운 IT 기술과 디지털 기기는 빠른 속도로 발달하며 업무 환경 및 일상생활을 비롯한 사회적 환경을 변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대해 기존의 고령자와는 달리 액티브 시니어들은 적극적으로 적응해가고 있지만 오랜 시간동안 컴퓨터를 사용하는 이들의 눈 건강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청년집단과 액티브 시니어를 대상으로 컴퓨터 작업으로 인한 시각 피로도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시니어에게 적절한 컴퓨터 작업 시간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객관적 시각 피로도는 눈 깜박임 횟수, 눈을 깜박이지 않고 참을 수 있는 시간, 안구표면 온도를 측정하였고 주관적 눈 피로도는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실험 결과, 눈 깜박임 횟수, 안구 표면 온도, 주관적 눈 피로도는 실험전과 후에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집단 간 차이는 모든 측정치에서 관찰되지 않았고 따라서 30여분의 컴퓨터 작업 시간은 시니어에게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Analysis of the Different Influences of Additive or Subtractive Three-dimensional Crosstalk on the Level of the Visual Fatigue

  • Park, Minyoung;Kim, Joohwan;Choi, Hee-Jin
    •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 /
    • 제19권1호
    • /
    • pp.38-44
    • /
    • 2015
  • Three-dimensional (3D) crosstalk is one of the main causes of visual fatigue and needs to be suppressed. The 3D crosstalk can be categorized into two different kinds according to its appearance-additive 3D crosstalk and subtractive 3D crosstalk.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influence of different kinds of 3D crosstalk to the perceived level of visual fatigue in order to suppress the perceived 3D crosstalk effectively.

3D 영화 상영관의 좌석별 위치에 따른 시각피로도, 프레즌스, 그리고 인지된 특성 분석 (Effects of the seat position in the theater on visual fatigue, presence and perceived characteristics)

  • 정동훈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1-10
    • /
    • 2012
  • 본 연구는 3D 상영관 내의 각 좌석의 공간적 특징에 따라 3D 효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시각피로도, 프레즌스, 인지된 특징을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극장 좌석의 위치가 스크린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와 시야각이 시각피로도와 인지된 특성에 유의미한 영향이 있음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좌석별 시각피로도와 스크린으로부터의 거리 평균지점으로 부터의 편차와 시야각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는 점에서 3D 상영관에서 3D 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좌석 배치에 유의해야 함을 알려준다. 둘째, 3D 상영관에서 좌석의 위치적 영향이 프레즌스에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좌석별 인지된 특성과 스크린으로부터의 거리 평균지점으로 부터의 편차와 시야각은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는 점에서 3D 상영관의 모든 좌석에서 3D에 대한 인지된 특성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3D극장에서의 실증적인 연구를 통해 공간적 변인에 따른 3D효과를 검증했으며, 연구 결과는 3D극장 좌석의 표준을 제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삼을 수 있다. 또한 3D 영상의 성능지표 및 피로도 규제와 관련한 법 제정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3D TV 시청에 있어서 시청 피로 (Visual fatigue in Watching 3 Dimension Television)

  • 윤정호;이익한;김대현;김재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47-52
    • /
    • 2012
  • 목적: 본 연구는 장시간 3D TV 시청 경험과 단시간 TV 시청 경과에 따른 시청피로를 평가하기 위함이다. 방법: 98명의 성인(여자12 명과 남자86명)으로 실시하였으며, 이들의 나이는 $33.5{\pm}5.5$세(22세~51세)였다. 대상자는 52인치 2D와 3D LED TV(shutter glasses 방식)를 2.7 m 거리에서 대상자가 주로 착용하는 안경 또는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상태에서 65분간 2D TV와 3D TV를 각각 시청하게 하였다. 시청피로도 평가를 위해 3D와 2D를 시청하는 동안 11개 항목, 눈의 당김, 눈의 통증, 눈건조, 눈의 따끔거림, 눈물, 눈부심, 흐림, 복시, 눈피로, 두통, 어지럼 등을 0에서 3의 점수로 평가하였다. 결과: 시청피로의 평균점수는 3D 시청시작 후 5분, 25분, 45분, 65분에서 각각 $2.08{\pm}2.14$, $3.19{\pm}3.02$, $3.40{\pm}3.37$, $3.53{\pm}3.07 $으로 나타났고, 2D 시청 시작 후는 각각$0.40{\pm}1.03$, $0.22{\pm}0.70$, $0.22{\pm}0.58$, 그리고 $0.17{\pm}0.52$으로 나타났다. 3D TV 시청 시 시청피로가 2D TV 시청 시 피로 보다 전체 영역에서 유의적인 수준에서 높게 나타났다(paired t-test, p < 0.001). 3D TV 시청 피로는 65분간 유의적인 수준에서 증가하였으며(RM-ANOVA, p < 0.001), 25분까지는 유의적 수준에서 증가하였고(paired t-test, p < 0.001), 그 후부터 서서히 증가하였다. 시청경험과 시청피로에 있어서 눈부심, 복시, 흐림, 어지럼은 시청 경험의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나 (ANOVA, all F(1, 96) = 4.500, all p <0.05) 다른 증상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1,96) = 0.033, all p >0.05) 결론: 3D TV 시청에 있어서 시청피로는 2D에서 보다 높았으며, 25분까지 증가하였다. 3D 시청 경험과 자각증상 정도와의 관계에 있어서는 자각증상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데스크탑용 CRT와 TFT-LCD의 시각 작업수행도 비교·평가 (A Comparative Evaluation on Visual Performance of CRT and TFT-LCD as Desktop Computer Displays)

  • 김상호;최경임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95-112
    • /
    • 2002
  • Two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compare the suitability in visual tasks between cathode-ray tube (CRT) and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LCD). In the first experiment, the subjects were requested to detect pre-assigned target words or icons among distracters presented under time-invariant (static) image mode. The subjects' visual performance and fatigue were assessed while carrying out search tasks with dim and bright ambient light conditions.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were found among displays, task types, and ambient light conditions. Due to visual fatigue, the subjects' accommodative power decreased in the end of task and the degradation was more significant for the CRT users and under bright ambient light. IN the second experiment, the subjects performed information processing task with time-varying road signs at a driving simulator to assess interaction effects between display types and changing speed of dynamic image. The perception time using TFT-TCD was shorter under slow image change while that of CRT was shorter rapid image change.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to improve visual task performance, users should carefully select their visual display type depending on the task to be performed.

자극과 배경의 대비, 배경 텍스쳐 밀도, 자극의 화면 시차가 크로스톡 지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timulus-background Contrast, Background Texture Density and Screen Disparity of Stimulus on Crosstalk Perception)

  • 박종진;이형철;김신우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225-236
    • /
    • 2013
  • 3D 영상을 시청하면서 느끼는 고유한 피로를 입체 시각 피로라고 부른다. 이 현상을 유발시키는 주된 요인으로 꼽히는 것은 화면시차, 상 흐림, 크로스톡 (crosstalk)의 세 가지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 중 화면 시차와 상 흐림은 영상 콘텐츠에 의하여 결정되며,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종류에 관계없이 직접 조작할 수 있다. 그러나 크로스톡 요인은 다른 요인과는 다르게 3D 디스플레이의 물리적인 특성에 의하여 결정되는 요인이며 따라서 손쉽게 감소시키거나 제거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크로스톡이 입체 시각 피로에 미치는 영향은 자극 특성에 의하여 달라지며, 이러한 자극 특성은 조작 가능하다. 따라서 크로스톡이 입체 시각 피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려면 크로스톡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자극 특성의 효과를 확인하여야 한다.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대적 깊이 판단 과제를 사용하여 자극 특성 (자극과 배경의 대비, 배경 텍스쳐 밀도, 자극의 화면 시차)이 크로스톡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영상에 배경이 존재하고 자극의 화면시차가 적을 때 지각되는 크로스톡이 감소함을 시사하는 결과를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