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rtuality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19초

The Effectiveness of Virtual R&D Teams in SMEs: Experiences of Malaysian SMEs

  • Ale Ebrahim, Nader;Abdul Rashid, Salwa Hanim;Ahmed, Shamsuddin;Taha, Zahari
    • Industrial Engineering and Management Systems
    • /
    • 제10권2호
    • /
    • pp.109-114
    • /
    • 2011
  • The number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SMEs), especially those involved with research and development (R&D) programs and employed virtual teams to create the greatest competitive advantage from limited labor are increasing. Global and localized virtual R&D teams are believed to have high potential for the growth of SMEs. Due to the fast-growing complexity of new products coupled with new emerging opportunities of virtual teams, a collaborative approach is believed to be the future trend. This research explores the effectiveness of virtuality in SMEs' virtual R&D teams. Online questionnaires were emailed to Malaysian manufacturing SMEs and 74 usable questionnaires were received, representing a 20.8 percent return rate. In order to avoid biases which may result from pre-suggested answers, a series of open-ended questions were retrieved from the experts. This study was focused on analyzing an open-ended question, whereby four main themes were extracted from the experts' recommendations regarding the effectiveness of virtual teams for the growth and performance of SM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ould be useful to product design managers of SMEs in order to realize the key advantages and significance of virtual R&D teams during the new product development (NPD) process. This is turn, leads to increased effectiveness in new product development's procedure.

가상현실 기반 동적 가시화 컴포넌트를 이용한 가스 플랜트 안전훈련 콘텐츠 개발 (Development of Gas Plant Safety Training Content using VR-based Dynamic Visualization Components)

  • 이경창;유철희;정교일;윤청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89-94
    • /
    • 2017
  • 인간의 외부 인지 감각을 인공적인 기술로 자극하여 실제와 유사한 체험을 제공하는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 기술은 실 환경에서 제한되는 훈련 환경을 제공하는 대안으로 산업 분야 안전사고 예방 또는 조치에 대한 훈련시스템 구현 핵심 기술로 응용이 시도되고 있다. 하지만 3D 모델링과 소프트웨어 코딩으로 구현되는 시각체험 VR 환경 즉, 훈련용 콘텐츠는 개발에 많은 자원이 요구되어 훈련시스템 구축에 어려움을 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VR 기반 훈련용 콘텐츠 구현에 있어 동적 가시화 컴포넌트(VRDC, VR based Dynamic visualization Component)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며 플랜트 안전훈련 시스템에 이를 적용함으로써 실용성을 검증하였다.

VR 영화에서 암묵적 프레임의 존재 (The Existence of Implicit Frames in VR Movies)

  • 김태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272-286
    • /
    • 2018
  • VR영화는 일반영화에서의 스크린 화면과 관객과의 관계가 전혀 다르게 형성된다. 관객이 곧 카메라가 되고 카메라의 시점의 주체가 되기 때문에 1인칭 시점에 대한 고찰과 서사를 전달하는 프레임의 편집을 대체할 VR영화만의 프레임 이론이 필요하다. VR영화의 서사전달기능을 하는 프레임의 존재를 드러나지 않으면서 상징적 서사기능을 한다는 의미로써 '암묵적'프레임이라 명명하고 이와 관련된 이론적 배경으로 원씬 원컷으로 제작된 쇼쿠로프감독의 <러시아방주>와 외화면적 요소, 제4의 벽의 개념을 가져올 수 있다. VR영화 속 관객은 현존하지만 동시에 화면 안에서 부재하는 역설적인 딜레마를 가지고 서사에 몰입하게 되면서 하이퍼리얼리티를 겪는다. VR영화 공간에서 시선을 움직이는 시선의 블로킹, 실제와 가상사이의 현존을 묶어주는 원격현존의 속성을 지닌다.

주체의 욕망과 디지털 영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re of Subject and Digital Image)

  • 최원호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1475-1481
    • /
    • 2013
  • 주체는 생존을 위한 욕구를 초과하여 근원적 결핍에 따른 욕망을 언제나 쫓는다. 이때 시각이 제공하는 직관성과 정보의 탁월성은 욕망의 대상을 향하는 중요한 수단이 되고, 주체는 이미지의 덫에서 헤어 나오지 못하게 된다. 영화가 '거울상'의 욕망을 재현하면서 무의식을 쾌락을 부상시켰다면 디지털 영상은 대상의 존재와 상관없이 완벽한 이미지로 관객을 압도함으로써 주체의 욕망에 대한 가상적 경험을 선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타자와의 동일시를 통해 욕망을 섭입하고 욕망하는 경험을 통해 주체를 매료시키는 디지털 영상이 주체의 무의식과 깊숙이 연관되어 있음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디지털 영상은 핍진한 이미지의 가상성을 통해 주체의 상상적 욕망을 부상시키고 타자의 욕망에 편승하는 경로가 되어 무의식의 주체에게 쾌락을 부여함으로써 주체를 매료시키고 있었다.

디지털 패션의 매체 미학적 관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igital fashion from the aesthetic perspective of media)

  • 박민아;고현진
    • 복식문화연구
    • /
    • 제25권1호
    • /
    • pp.48-63
    • /
    • 2017
  • When digital media and images are combined, their significant sociocultural impacts can be exercised.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digital images shown in such trends of digital media compared to the digital fashion from an aesthetic perspective. Research and empirical studies are focused upon to analyze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digital fashion. Digital Fashion comprehensively refers to fashion design using computers and software, and is considered as "Fashion Design utilizing Digital Technologies" including computer software and hardware perspectives, so that it may be renamed "Digital Fashion." The esthetic characteristics shown in the Digital Fashion defined above are analyzed according to how media philosophers conceptualize the digital image. First, from the perspective of creation, Digital Fashion Images are technical images produced by computers. Uncanny characteristics expressed through virtual images look more realistic than the actual ones used in experimental works of fashion designers. Such virtuality dynamically expresses various colors and fabric patterns through lights using digital technologies that do not yet exist in cloth form, rather in a non-material form of dynamic virtual imagery. Digital fashion images on monitors express digital fashion designs by shaping virtual images through 3D printing. Second, Digital Fashion Images from the perspective of acceptance are created through deconstruction, while fashion has only been previous viewed visually, Digital Fashion delivers immersions of visual touches as if directly experienced for accepters. Digital Fashion will continuously develop and become more influential as it converges with digital media.

게임포비아, 호모루덴스에서 사이버스페이스까지 (Gamephobia, From Homo Ludens To Cyberspace)

  • 조은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137-146
    • /
    • 2013
  • 디지털 시대, 뉴미디어에 대한 막연한 불안 혹은 불신이 올드미디어 집단의 불안통제감을 저하시키고, 역기능적 신념을 공고하게 만듦으로써 불안통제감을 더욱 저하시키는 악순환을 보인다. 뉴미디어와 IT의 산업적 발전에도 불구하고, 보수적 세계관에서 게임은 절대적으로 금기시된다. 이러한 절대적 금기는 절대적 공포를 유발한다. 오늘의 한국 사회에서 절대적 금기는 단연 '게임'이다. 디지털 시대의 놀이문화 중 하나인 컴퓨터 게임은, 놀이가 지녔던 비생산성과 일탈성에 대한 비판을 떠맡고 있다. 게다가 컴퓨터 게임이 기반한 디지털 기술은 게임의 '가상성'에 대한 이미지를 증폭시켜 불안을 넘는 공포를 양산한다. 본고는 놀이에 대한 이해에서 시작하여, 어떻게 다양한 문화적, 기술적 측면들이 현재 컴퓨터 게임에 대한 대중적 상을 구성하였는가를 살펴본다. 이를 통해 컴퓨터 게임에 대한 현재의 공포가 어떻게 발생하였는가를 해명하고, 공포를 넘어서, 게임이 지니는 문화적 가치를 포착하기 위한 관점을 제안한다.

웹 2.0 시대 패션에 나타난 남성의 자아이미지 - 퍼스널 패션블로그를 중심으로 - (Men's ego-images represented on the fashion blogs in web 2.0 era)

  • 서성은
    • 복식문화연구
    • /
    • 제22권5호
    • /
    • pp.760-775
    • /
    • 2014
  • In the era of 2.0 web, blog has become the media that men can express themselves with fashion more actively and independently, as paying much attention to their personal appearance and cultivating an upscale lifestyle. They often create their fashion images in the virtual space where enables a free and creative operations of self-expression. The study aims to identify the types of men's ego-images represented on the personal fashion blogs based on the framework of analysis from the previous research (Suh, 2014), to build the base data for analyzing men's fashion style in $21^{st}$21st century that reflects changes in men's sexual images, and to verify the framework as comparing with the previous case study about the women blogs (Suh, 2014). The case studies conducted 5 men's personal blogs such as bryanboy, iamgala, little fashionisto, katelovesme, and stylentonic. The study results almost same types of women's ego-images as following. The imaginary ego-image is classified as narcissism, regression, identification, and virtuality, the social ego-image as symbolism of roles and others'desire, the real ego as primary instinct, practical reality, object a, jouissance and sexual perversion. The personal style of men shown on the fashion blogs appears as a significant factor to analyze male customers in the growing men's beauty and fashion market.

가상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장르적 특성 (Genre Oriented Characteristics of Virtual Reality Programs)

  • 홍숙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202-212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가상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장르적 특성은 무엇인지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문화방송의 '일요일 일요일 밤에' 1부에 방송되었던 '우리 결혼했어요'의 텍스트를 1회부터 8회까지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이 프로그램은 가상 부부 생활의 영상과 스튜디오에 등장하는 현실에 존재하는 연예인의 현재성을 병치시킴으로써 가상과 현실을 혼용하고 있었다. 또한 다양한 부류의 부부유형을 설정하여, 미션을 통해 각 유형의 연예인 커플들이 실제 부부간에 일어날 수 있는 사랑과 갈등을 보여줌으로써 결혼에 대한 환상과 현실감을 동시에 충족시켜 주면서 수용자와 공감대를 형성해가고 있었다. 한편 공적 공간인 텔레비전에서 출연자들이 사적 감정을 고백함으로써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의 경계가 해체됨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함께 물질이나 노력, 제스처, 언어 등 배우자에게 선사하는 크고 작은 감동을 통해 수용자들은 대리만족을 느끼며 즐거움을 고취시켜 오락성을 실현하였다. 가상 리얼리티 프로그램에는 진실성, 허구성, 오락성이 혼용되어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장르적 특성은 경계의 해체와 장르적 모호함을 토대로 수용자에게 소구하는 중요한 전략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국 가상현실 게임소설의 스토리텔링 (Storytelling of Korean Virtual Reality Game Fiction)

  • 김후인;이민희;한혜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55-63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한국 가상현실 게임소설에 나타난 게임과 소설의 재매개 양상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한국 가상현실 게임소설의 서사적 특징을 도출했다. 나아가 웹을 기반으로 삼는 한국 게임소설이 대중문학으로서 확장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둔다. 한국 가상현실 게임소설에서 주인공은 20대 남성으로, 신자유주의 사회에서 소외된 계층이자 결핍된 성과주체로 설정된다. 이들은 현실 세계의 결핍요소 때문에 가상세계로 진입하는데, 이 때 해외 게임소설에서 강조되는 가상세계로의 접속 방법 및 과정 등이 국내 소설의 경우 소략하게 제시된다. 또한 한국 가상현실 게임소설의 주인공이 수행하는 반복적 행동은 자기 파괴적인 노동의 범주에 속하며, 주인공은 나르시시즘적 징후를 보인다. 마지막으로 한국 가상현실 게임소설에서는 마법원이 흐릿하게 나타나면서 현실 세계와 가상세계가 연계되어 나타난다. 이 과정에서 가상세계가 현실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체적 공간으로 기능한다. 이러한 서사적 특징은 북미 유럽 등과 차별적인 한국 게임소설만의 특이점이다.

현대 패션에 나타난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감성적 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motional representation of the digital technology shown in the contemporary fashion)

  • 한상경;김영선
    • 복식문화연구
    • /
    • 제23권2호
    • /
    • pp.254-269
    • /
    • 2015
  • The digital technology that has brought about the information revolution acts as the causes of multi-faceted socio-cultural phenomena. The spread of the digital environment and the popularity of the digital devices accelerate the phenomenon or the fusion of culture and technology, and such a phenomenon is no exception in the fashion design. Namely, the combination of fashion design and digital-based technology draws more and more attention; Not only the technology is simply applied to the fashion design, but also it is used as an emotional tool to enhance consumers' satisfaction, while some designs and marketing cases stimulating consumers' emotion are highlighted importantly. This study was aimed at surveying and analyzing the contemporary fashion using the digital technology and thereupon, asses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motional representations of technology as well as their aesthetic values. To this end, the theory of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was applied to divide the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technological expressions in the contemporary fashion into immateriality, non-boundary, multi-media and interaction, while the aesthetic values of the emotional technology immanent in the contemporary fashion were categorized into communication & participation, conceptual configuration, physical expansion and variable movement. This study analyzed uses of technology for human emotion and sensibility shown in not only collections but also communication media and exhibition spaces and thereby, suggested the direction for our fashion industry to fulfill consumers' changing needs and advance furt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