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Virtual Reality education

검색결과 546건 처리시간 0.026초

간호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가상현실에 대한 인식 및 가상현실을 적용한 간호 교육 요구도 (The digital literacy, awareness, and educational needs of virtual reality among nursing students)

  • 김혜원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7-26
    • /
    • 2023
  • Purpose: This study's aim was to investigate digital literacy, awareness of virtual reality, and educational needs of virtual reality-based nursing education among nursing students. Methods: Structured self-reported questionnaires were used to measure the nursing students' digital literacy, awareness, and educational needs of virtual reality. This study was conducted on 162 nursing students in Seoul between December 13 and December 24, 2021.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one-way ANOVA with SPSS/WIN 24.0. Results: The mean scores on digital literacy, awareness, and educational needs of virtual reality were 4.38±0.42, 4.71±0.64, and 4.08±0.61, respectively. Concerning the educational needs of the subjects, the need for safety education was the highest, followed by the need for oxygenation education, elimination education, and activity and exercise education. Significant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digital literacy and the awareness of virtual reality (r=.34, p<.001), between digital literacy and the educational needs of virtual reality (r=.17, p=.028), and between awareness and the educational needs of virtual reality (r=.51, p<.001).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virtual reality-based nursing educational program that reflects the educational needs of nursing students.

가상현실을 활용한 병영상담 실습교육 효과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Military Counseling Practice Education using Virtual Reality)

  • 민승희;김도헌;김익현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5권3호
    • /
    • pp.527-535
    • /
    • 2021
  • 본 연구는 군(軍)에서 적용하고 있는 병영상담교육의 현실태를 살펴보고 가상현실을 활용한 병영상담 실습교육의 효과를 연구하였다. 먼저 상담에 관련한 가상현실 적용사례를 탐색하고 육군 병영상담교육에 벤치마킹(Benchmarking)할 수 있는 가상현실 기술을 검토하여 적용이 가능한 기술에 대해 고찰하였으며 교육생을 대상으로 교육방법과 교육과정을 분류하여 현 교육의 만족도 측정을 통해 통계적 분석방법인 분산분석을 사용하여 차이를 검정하였다. 또한 가상현실 콘텐츠를 교육생에게 실제 경험하게 한 후 가상현실 기술이 적용된 실습교육효과를 도출하고 현재 실습교육과 차이를 T 검정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이어 전반적인 상황을 고려할 수 있는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계층적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가상현실을 활용한 실습교육의 효과에 대해 분석하여 연구의 신뢰성을 높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가상현실 기술이 접목된 병영상담실습교육의 발전방안과 현(現) 병영상담교육의 보완사항을 정책적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가상현실을 이용한 기술훈련 콘텐츠의 개발 및 활용 사례연구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Use of Technical Training Contents using Virtual Reality)

  • 안득용;박형근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117-122
    • /
    • 2013
  • 첨단 IT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가상현실 기술이 빠르게 발달하고 있으며, 각 분야에서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가상현실을 활용한 분야로는 교육, 군사, 의료, 예술, 오락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현실기술을 기술교육분야에 적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가상훈련 콘텐츠를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가상훈련 콘텐츠들을 유형별 분류하고 그 특징과 효과를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가상훈련 콘텐츠를 기술교육에 실제 활용한 사례를 유형별로 조사하여 가상훈련 콘텐츠의 교육적 효과를 확인하였다.

An Account of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in Educational Institutions

  • Al-Salami, Sami Ben Shamlan Bakhit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9호
    • /
    • pp.137-142
    • /
    • 2022
  • This paper argues for modern technologies in the educational process. It specifically outlines issues germane to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It begins with an account on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and touches on their characteristics, the advantages, obstacles and applications. It also discusses some relevant studies that emphasized the role of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in education, the difference between two terms. The paper ends with a note of vision on how to activate them in educational institutions.

가상현실 교육적 활용에 대한 교수자의 인식조사 (Investigating the perception of instructors on the use of virtual reality education)

  • 김지효;박성만;이영림;주미란;박은서;박종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7호
    • /
    • pp.11-19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영어교육에서 가상현실 활용 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한 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영어교육 현장 교사를 대상으로 가상현실을 활용한 영어교육에 대한 인식을 종합적으로 조사·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현직교사들은 가상현실 활용 영어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교사가 가상현실 활용 교육에 대해 심리적 부담감을 호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상현실 기반 영어콘텐츠가 교육현장에 실용적일 것이라는 기대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반응보다 부정적인 반응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상현실 활용한 영어교육이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가상현실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경험공유, 다양한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넷째, 가상현실 교육적 활용을 위해서는 가상현실을 적용한 교수학습 방법교육 및 연수와 가상현실 활용 교육에 대한 가이드라인 제공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교육에서 가상현실 기법의 활용 모색 (Exploring Application Ways of Virtual Reality Technology in Science Education)

  • 심규철;박종석;김현섭;김재현;박영철;류해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725-737
    • /
    • 2001
  • Virtual reality technology is very useful for the 21C science education, and is able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new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science education. One of these computer-based technologies, virtual reality, is possible to use in many directions. It is a new communication medium that is receiving a lot of attention, and is usually identified by a collection of technological hardware. Virtual reality is defined as a highly interactive, computer-based, multimedia environment in which the user becomes the participant, with the computer in a virtual real world. A key feature of virtual reality is real-time interactivity, in that the computer is able to detect user inputs and instantaneously modify the virtual world. It is being used in a wide variety of fields including physics, chemistry, human biology, biomedical sciences, military, architecture, industry and the entertainment. In classroom, using science educational program developed by virtual reality technology can increase the interests of students, promote understanding of basic science concepts, help laboratory skills, and encourage creative learning for them.

  • PDF

방사선과 학생을 위한 가상현실 교육콘텐츠 개발 및 적용을 통한 학습효과 분석 (Analysis of Learning Effect through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Virtual Reality(VR) Education Content for Radiology Students)

  • 심재구;권순무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3권6호
    • /
    • pp.519-524
    • /
    • 2020
  • This study developed radiation therapy contents based on virtual reality technology and applied them to radiation students. A surve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effects and learning satisfaction to students who used virtual reality education videos to analyze their learning performance. 71 students radiology department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one that experienced virtual reality and the other that did not experienced virtual reality. We surveyed between the two groups analyzed self-directed learning, self-learning efficacy and learning satisfaction. As a result, the comparison between the two groups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nd self-learning efficacy. But the learning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from 2.64±0.83 to 3.20±0.88 in the problem solving process for groups applying virtual reality contents. Therefore, learning satisfaction has improved experienced group virtual reality content and the materials for virtual reality education can be applied more efficiently in non-face-to-face lectures.

학습자에 따른 가상현실 콘텐츠 제작 교육의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Virtual Reality Content Creation Education by Learner)

  • 남충모;김종우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585-592
    • /
    • 2018
  • 가상현실을 교육현장에 활용하는 소프트웨어 교육이 교사와 학생에게 높은 관심을 갖게 됨에 따라 가상현실 콘텐츠 제작 교육을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학습자의 학교급별 가상현실 교육을 위해 교육대학 학생들과 초등학생, 중학생을 대상으로 가상현실 콘텐츠 제작을 교육에 따른 교육과정, 산출물, 평가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각 집단에 대한 분석의 결과로서 특정도구에 대한 적응력은 차이가 없었으며, 산출물 제작에서 객체의 제작능력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학습태도에서 가상현실의 제작 및 활용에 높은 자신감 및 흥미를 나타나고 있다.

가상현실 교육에서 몰입의 생태: 근거이론적 접근을 중심으로 (The Nature of Flow in Virtual Reality Education: Based on A Grounded Theory Approach)

  • 최성호;원종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446-460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상현실 교육 서비스에서 이용자의 몰입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에 대한 생태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질적 연구방법의 하나인 근거이론을 적용해 가상현실 교육에서 이용자의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가상현실 교육에 관심이 있는 피실험자 11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실험 후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실험을 위해 가상현실 영어교육 서비스인 토크리시를 이용하였으며, 동일한 VR기기를 활용하는 등 통제된 환경을 구성하여 가능한 피시험자들이 동일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하다. 인터뷰 내용은 모두 문서화 하여,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의 단계를 거쳐 패러다임 모형을 구성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가상현실 교육 서비스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Analysis of the Design Elements for the Children's Picture Books Based on VR

  • Lu, Kai;Cho, Dong Min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4권7호
    • /
    • pp.953-965
    • /
    • 2021
  • The research of combin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with the design elements of children's picture book education is a relatively new topic in virtual reality technology in recent years. Based on the combination of picture book design elements with virtual reality technology and the development of a children's picture book teaching game, this article analyzes the effectiveness of the application of virtual reality technology in children's teaching, and explores the usability of picture book design elements in teaching [1]. Through literature research methods, practical research methods and investigation research methods, this paper lucubrates the application of virtual reality technology in the design elements of children's picture book education so as to provide adequate theoretical and practical support for the research theme. The spatial positioning, vision, sound, and functional requirements of children's picture book games play a leading role in teaching. Practical statistics have proved that it is easier to promote children's mastery of teaching knowledge in a virtual environment. Moreover, use VR's game management function and setting function to solve the boringness of traditional education methods and the limitations of the teaching environment. The feasibility of game operation provides a virtual teaching platform system for children's education, and the teaching effect is remark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