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nylhouse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3초

버어리종담배 건조엽의 부패세균 Erwinia carotovora subsp. carotovora의 동정 및 부패환경에 관한 연구 (IDENTIFICATION OF THE SOFT ROT BACTERIUM ISOLATED FROM CURING BURLEY TOBACCO LEAVES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DEVELOPMENT OF SOFT ROT LESION)

  • 강여규;김정화;김요태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23-128
    • /
    • 1985
  • The incitant of soft rot on burley tobacco leaves in the curing vinylhouse was identified as Erwinia carotovra subsp. carotovora on the basis of its physiological characters. The bacterium yew best at $25^{\circ}C$ and $30^{\circ}C$, but no growth was detectable at $40^{\circ}C$ in the nutrient broth for 24 hours period. Burley tobacco leaves inoculated with the bacteria (Ecc) produced typical soft rot lesions when the incubation temperature was 25 to $30^{\circ}C$ and the relative humidity was more than 8075, however, the lesion development was suppressed when the temperature was $40^{\circ}C$ and the relative humidity was below 80%.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hanging space in the curing vinylhouse and the incidence of soft rot on the tobacco leaves harvested in a rainy day regardless of streptomycin treatment.

  • PDF

태양광 모듈을 이용한 비닐하우스 자동제어시스템 (The Vinylhouse Automatic Control System Using Solar Modules)

  • 송제호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논문집 2부
    • /
    • pp.700-703
    • /
    • 2012
  • 본 논문은 태양광 모듈을 이용한 비닐하우스 자동제어시스템으로 Zigbee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 인터페이스 환경, 농작물 생육 DB에 따른 비닐하우스 제어환경 및 비닐하우스 이상 유무를 파악하기 위한 모니터링하여 비닐하우스의 개수와 관계없이 하나의 서버에서 다수의 클라이언트를 양방향으로 제어함과 동시에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router, end는 임의의 ID를 가지고 특정한 비닐하우스에 대한 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며 비닐하우스에 대하여 제어가 독립적으로 가능하므로 특정 비닐하우스에 대한 특징을 살려 사용자가 원하는 제어를 실시간 처리됨을 확인하였다.

  • PDF

VHC 자동제어시스템 설계 (The Design of Vinylhouse Automatic Control System)

  • 송제호;김태형;이우춘;김환용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논문집 2부
    • /
    • pp.664-667
    • /
    • 2011
  • 본 논문은 비닐하우스에 적합한 자동제어를 Zigbee로 네트워크 시키고 최적의 상태로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시스템의 구성은 근거리 무선 인터페이스 환경과 농작물 생육 DB에 따른 비닐하우스 제어환경 및 비닐하우스 이상 유무를 파악하기 위한 모니터링 그리고 비닐하우스의 개수와 관계없이 하나의 서버에서 다수의 클라이언트를 양방향으로 제어함과 동시에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사용자 ID는 특정한 비닐하우스에 대한 상태를 파악할 수 있고 비닐하우스에 대하여 제어가 독립적으로 가능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제어를 실시간 가능하도록 VHC 자동제어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 PDF

연작연수에 따른 시설재배 참외, 수박 및 오이의 병해 발생 양상 (Disease Survey in Melon, Watermelon, and Cucumber with Different Successive Cropping Periods Under Vinylhouse Conditions)

  • 박소득;권태영;임양숙;정기채;최부술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28-431
    • /
    • 1996
  • 참외, 수박, 오이의 주요 시설재배단지인 경북 성주, 칠곡, 고령에서 1992년부터 3년간 이들의 주요 병해인 덩굴쪼김병, 덩굴마름병, 탄저병, 노균병, 흰가루병 및 잿빛무늬병의 연작수해에 따른 발생량을 조사하여 이들 병의 방제 기초자료로 활용코자 하였다. 토양전염성병균에 의한 병해인 덩굴쪼김병, 탄저병 및 참외와 수박의덩굴마름병은 연작해수가 많을수록 유의적으로 발병율이 증가하였다. 덩굴쪼김병의 경우는 1∼3년과 10년 이상 지배지에서 참외 0.6%와 2.5%, 오이 0.3%와 4.2%, 수박 0.7%와 3.3%로 전체적으로 발병율이 낮아 연작에 따른 발병율의 차이가 작았으나, 덩굴마름병과 탄저병은 이 두재배지의 차이가 커 연작장해가 심하게 나타났다. 세 박과 식물중에 수박이 연작에 따른 병발생율 증가 폭이 다소 높았다. 토양전염성병이 아닌 참외와 오이의 노균병과 흰가루병, 오이의 잿빛 무늬병은 연작수해에 따른 병발생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이들 병해는 발생은 시설재배지의 재배환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 PDF

헤어리벳치 잔류물이 제초활성 및 작물 약해에 미치는 영향 (Herbicidal Activities and Crop Injury of Hairy Vetch Residues)

  • 원옥재;로미즈 우딘;변종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75-182
    • /
    • 2011
  • 헤어리벳베치 잔류물의 제초효과와 작물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헤어리벳치 잔류물을 온실, 비닐하우스 및 포장조건에서 복토처리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온실조건에서 헤어리벳치와 토양(60:40) 혼합처리에서 90% 이상 방제효과를 나타냈으며 90:10 혼합비율에서는 100% 고사되었다. 제초효과는 일반적으로 화본과잡초에 비해 광엽잡초에서 높은 경향을 나타났다. 헤어리벳치 잔류물은 비닐하우스에서는 갈퀴덩굴, 명아주, 질경이와 소리쟁이에서 우수한 제초효과를 보였고, 포장조건에서는 갈퀴덩굴, 소리쟁이와 털비름에서 제초효과가 높았다. 헤어리벳치 혼합비물(60:40)을 0.5~0.75cm 깊이로 복토하였을 때 비닐하우스와 포장조건에서 약 80% 이상의 제초효과를 나타냈다. 헤어리벳치 잔류물은 상추를 제외한 옥수수, 콩, 무, 고추, 배추, 오이, 토마토, 들깨에서 모두 작물의 생장에 영향이 없었다.

딸기복비(複肥), 염화가리(鹽化加里), 황산가리(黃酸加里) 및 질산(窒酸)암모늄이 딸기의 수량(收量)과 품질(品質)에 미친 영향(影響) (The Effect of Strawberry Compound Fertilizer, Potassium Chloride, Potassium Sulphate and Ammonium Nitrate on the Yield and Quality of Strawberry)

  • 오왕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9-13
    • /
    • 1986
  • 황산칼리와 인산암모니아를 주축으로 한 경기화학공업주식회사인 시제 딸기복비의 비효를 염화칼리, 황산칼리, 질산암모니아에 대비하여 비닐하우스에서 딸기, 보교조생 (Fragaria Grand EHRD)으로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였다. 가수분해당을 포함하는 전당의 함량은 높였다. 일반적으로 염화칼리보다 황산칼리가 딸기즙의 딸기의 생육, 화방수.,수량에 미친 시제 딸기복비의 효과는 염화칼리, 황산칼리, 질산암모니아와 통계적인 차이가 없으나 딸기즙의 환원당, 묽은 산당분함량을 높였으며 딸기복비가 딸기즙의 당 함량을 높인것도 황산칼리 때문인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Ampelomyces quisqualis 94013을 이용한 오이 흰가루병 생물적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Cucumber Powdery Mildew Using A Hyperparasite, Ampelomyces quisqualis 94013)

  • 이상엽;김용기;김홍기
    • 식물병연구
    • /
    • 제13권3호
    • /
    • pp.197-203
    • /
    • 2007
  • Ampelomyces quisqualis 94013(AQ94013)이 오이 흰가루병의 생물적 방제를 위하여 효과적인 기생균으로 선발되었다. 온실에서 AQ94013의 포자현탁액을 $5.0{\times}10^6/ml$ 또는 $5.0{\times}10^7/ml$를 예방적으로 경엽 살포하여 9일간 오이 흰가루병의 발생을 상당히 억제시켰다. 오이 흰가루병이 발생한 후에 AQ94013의 포자현탁액$(5.0{times}10^6/ml)$을 처리하였을 때에도 3일에서 7일내에 흰가루병을 효과적으로 억제시켰다. 오이재배 비닐하우스에서 AQ94013의 포자현탁액$(5{\times}10^6/ml)$을 7일 간격 3회 처리는 AQ94013의 포자현탁액의 10일 간격 2회 처리와 화학약제 훼나리몰유제를 2회 처리한 것 보다 오이 흰가루병 방제 효과가 높았다. 그러므로 AQ94013균주는 오이 흰가루병 생물적 방제을 위하여 유망한 미생물살균제로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었다.

파드득나물 균핵병균(Sclerotinia sclerotiorum)의 균핵 헝성 및 생존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on Sclerotia Formation and Viability of Sclerotinia sclerotiorum Causing Sclerotiorum Rot of Cryptotaenia japonica)

  • 장석원;이한범;김성기
    • 식물병연구
    • /
    • 제9권1호
    • /
    • pp.47-51
    • /
    • 2003
  • 남양주, 양주, 양평에서 파드득나물 균핵병의 발생생태를 조사한 결과, 균핵병은 늦가을부터 초봄까지 주로 동계기간에 발생했으며, 지역별로는 양평에서 발생이 심했다. 포장에서 분리한 파드득나물 균핵병균은 기보고된 Sclerotinia sclerotiorum의 균학적 특성과 일치하였고, 균사생장은 5~3$0^{\circ}C$에서 이루어졌으며, 15~3$0^{\circ}C$에서 활발하게 생장하였다 균핵형성은 20~$25^{\circ}C$에서 많이 형성되었으며, 낮은 온도에서 형성된 균핵의 크기가 큰 경향이었다. 균핵생존율은 균핵크기가 작을수록(~2 mm > 3~4 mm > 5 mm~) 높았으며, 치상온도에서의 정치시간이 길수록 높게 나타났다.

잎들깨 수량과 단백질체 발현에 미치는 UV-B의 영향 (Effect of Elevated Ultraviolet-B Radiation on Yield and Differential Expression of Proteome in Perilla (perilla frutescens L.))

  • 홍성창;황선웅;장안철;신평균;장병춘;이철원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7-13
    • /
    • 2006
  • 비닐하우스는 노지보다 UV-B 선량이 적고 외기와 차단되어 노지와 다른 생육환경 하에서 작물이 생육하게 된다. 본 연구는 UV-B 저선량 상태인 비닐하우스 재배 잎들깨에 UV-B를 처리하여 수량과 생리변화를 검토하고자 수행하였다. UV-B는 형광램프를 이용하여 잎들깨 수관으로부터 150, 120, 90 cm에서 처리하여 각각 노지자연량, 노지자연량+50% 증가량, 노지자연량+100% 증가량을 다른 광의 간섭이 없는 밤 9시부터 2시간씩 30일간 처리하였다. UV-B 처리에 의한 잎들깨 수량은 비닐하우스, 노지 자연량 150% 증가량, 노지자연량, 노지자연량+100% 증가량 처리 순이었다. 7월 20일의 자연 UV-B 선량은 노지 13.6 kJ/일, 비닐하우스 4.9 kJ/일로 비닐하우스의 UV-B 선량은 노지보다 64% 감소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UV-B가 균일하게 처리된 잎들깨의 단백질을 추출하여 2차원전기영동으로 분리하고, 이미지분석하여 발현량을 분석한 결과 UV-B에 의해 33개의 단백질 발현이 변화되었으며 이중 10개가 동정되었다. 동정된 단백질의 기능별로 분류하면 광합성과 관련된 것이 40%, 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방어와 관련된 것이 60%였다. UV-B에 의해 발현이 감소한 단백질은 광합성과 관련된 ATP synthase CF1 alpha chain이었고 발현이 증가한 단백질은 DNA recombination and repair protein recF, Heat shock protein 21, Catalase, Galactinol synthase, S-adenosyl-L-methionine, Calcium-dependent protein kinase(CDPK)-like 로 주로 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방어와 관련된 단백질들로서 UV-B는 잎들깨 세포내 DNA와 광합성기구를 손상시켜 광합성에 저해적으로 작용하여 수량을 감소시킨 것으로 판단되었다.

시설재배작물(施設栽培作物)의 질소시비량결정(窒素施肥量決定)을 위한 토양질소(土壤窒素)의 공급력(供給力) 측정방법(測定方法) 비교(比較) (Comparison of Laboratory Methods to Determine the Potential Nitrogen Supply of Soils for Nitrogen Recommendation of Vinyl House Crops)

  • 곽한강;송요성;연병열;허범량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82-287
    • /
    • 1996
  • 시설재배지(施設栽培地)에 적합한 질소공급력(窒素供給力) 지표(指標)를 알기 위하여 토양유기물(土壤有機物), 총질소(總窒素), 6N HCl가용질소 및 2M KCl, 0.01M $CaCl_2$, 0.01M $NaHCO_3$ 침출질소(浸出窒素)와 배추의 수량(收量) 및 질소흡수량(窒素吸收量)과의 관계를 비교(比較) 검토(檢討)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배추수량(收量)과 침출방법(浸出方法)에 따른 질소함량(窒素含量)과의 상관(相關)에서 2M KCl침출(浸出) 총(總) 무기태(無機態) 질소(窒素)(r= 0.789)와 질산태질소(窒酸態窒素) (r=0.765)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토양유기물(土壤有機物) > T-N > 0.01M $NaHCO_3$ 침출질소(浸出窒素) > 0.01M $CaCl_2$ 침출질소(浸出窒素) > 2M KCl침출(浸出) $NH{_4}^+-N$ > 6N HCl가용질소순(可溶窒素順)으로 2M KCl침출(浸出) 총무기웅질소량(總無機熊窒素量)과 질산태질소(窒酸態窒素)가 시설재배지(施設栽培地)의 질소시비추천(窒素施肥推薦)을 위한 우수(優秀)한 지표성분(指標成分)이었다. 토양(土壤) 중 질산웅질소량(窒酸熊窒素量)과 시비질소량(施肥窒素量)의 합(合)과 배추의 수량(收量) 및 질소흡수량(窒素吸收量)과는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있는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있으며, 토양의 질소함량과 시비효율(施肥效率)과는 부(負)의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있었다. 토양질소침출방법별(土壤窒素浸出方法別) 질소함량간(窒素含量間)의 상관관계(相關關係)에서 $NO{_3}^-+NH{_4}^+-N$는 0.01M $NaHCO_3$와 0.01M $CaCl_2$ 침출성질소(浸出性窒素), OM은 T-N와 6N HCl가용성(可溶性) 질소(窒素), T-N는 6N HCl가용성질소(可溶性窒素) 및 0.01M $CaCl_2$ 침출질소(浸出窒素)와 높은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나타 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