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negar production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2초

매실을 이용한 식초산 발효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Acetic Acid Fermentation Using Maesil Juice)

  • 김용두;강성훈;강성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695-700
    • /
    • 1996
  • 매실즙을 이용한 식초생산을 위하여 초산생성능이 우수한 초산균을 재래초로 부터 분리, 동정하고 매실 초 제조를 위한 최적 발효조건을 검토하였다. 재래초로부터 분리한 16균주 중 매실즙배지에서 가장 초산 생성능이 우수한 균주로 선정된 균주는 Acetobuter sp. VC-2로 동정 되었다. 이 균주의 증식 최적 조건을 살펴본 결과, 최적 온도는 3$0^{\circ}C$였으며 정치배양 보다는 진탕배양이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초산생성에 적합한 배지의 조성은 매실즙 30%, 초기 산도 2%, 에탄을 농도 6%, 포도당 0.2%, yeast extract 0.3%가 함유된 배지였다. 이와 같은 배양조건에서 매실식초는 8일째에 발효가 거의 완료되었으며, 이때 얻은 매실초의 총 산도는 6.5%였다. 주요 유기산으로는 acetic acid, citric acid, malic acid 및 tartaric acid였는데, 이들 함량은 4.28, 1.38, 0.48 및 0.30%로 각각 나타났다.

  • PDF

미나리 발효 식초의 지방세포 분화억제 및 항염증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Lyophilized Dropwort Vinegar Powder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Inflammation)

  • 박윤희;최준혁;황기;이승욱;양선아;유미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476-484
    • /
    • 2014
  • 비만은 감염원 없이 진행되는 낮은 수준의 만성적인 전신성 염증상태로 간주되며, 만성대사질환의 원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미나리를 발효하여 만든 식초가 3T3-L1 지방전구세포의 분화 및 RAW 264.7 세포에서의 항염증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MDI (IBMX, dexamethasone, insulin)에 의해 분화가 유발된 3T3-L1 지방전구세포에 대한 미나리 식초의 분화 억제능을 Oil-red-O staining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western blot법을 통해 지방세포 형성 시 중요한 전사인자인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gamma}$ (PPAR-${\gamma}$)와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alpha}$ ($C/EBP{\alpha}$)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나리 식초가 lipopolysaccharide (LPS)에 의해 염증이 유발 된 RAW 264.7 세포의 nitric oxide (NO) 생성을 억제시켰으며, inducible NO synthase (iNOS)와 cyclooxygenase-2 (COX-2)의 단백질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미나리 발효 식초는 지방세포 분화와 염증 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미나리 발효 식초는 대사성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천연물 소재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감식초로부터 분리한 Acetobacter sp.의 내산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Acid Tolerance of Acetobacter sp. Isolated from Persimmon Vinegar)

  • 심규창;이갑상;김동한;류일환;이정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574-581
    • /
    • 2001
  • 감식초로부터 초산 생성능이 우수한 Acetobacter sp. S-1, S-2 및 S-3를 분리 동정하고 그 미생물학적 특성과 내산성을 평가하였다. 분리 균들은 모두 Gram 음성의 단간균으로 포자를 형성하지 않았고 운동성이 있었으며, catalase, methyl red, oxidation fermentation, Voges-Proskaues 및 nitrate reduction 시험에서 양성반응을 나타내었고 hydrogen sulfide와 ONPG 시험에서는 음성반응을 나타내었다. 분리균들은 Carr 배지내에서 표준 균주인 Acetobacter aceti, Acetobacter liquefaciens, Acetobacter diazotrophicus와 큰 차이 없이 정상적인 생육곡선을 나타내었으며, 산 생성의 경향도 비슷하였다. 배양최적온도는 $30^{\circ}C$이었으며 최적 초기에탄올 농도는 6%이었다. 분리된 Acetobacter sp. 균주들은 4% 이상의 초산 농도에서 그 생육과 산 생성이 억제되었다. 초산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Acetobacter sp. 세포내의 $Mg^{++}$누출량이 증가하여 6% 초산농도에서는 거의 대부분의 $Mg^{++}$이 누출되었다. 분리균들의 glycolysis 능력은 알칼리에서보다 산성 쪽에서 더 안정적이었으며 최적 pH는 $6.0{\sim}7.0$이었다. Acetobacter sp. S-1과 S-3의 $H^+-ATPase$의 최적 pH는 $5.5{\sim}7.5$이었고 Acetobacter sp. S-2는 pH $6.0{\sim}7.5$이었다.

  • PDF

사과식초 제조를 위한 사과주스의 알코올발효 특성 모니터링 (Monitoring on Alcohol Fermentation Properties of Apple Juice for Apple Vinegar)

  • 신은정;강복희;이상한;이동선;허상선;신기선;김성호;손석민;이진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986-992
    • /
    • 2011
  • 사과식초 제조를 위한 전단계로서 사과주스의 알코올발효 최적화를 실시하였다. 알코올발효 최적화를 위해 중심 합성계획이 사용되었으며, 이 때 독립변수로는 초기 당도(12, 14, 16, 18, 20 $^{\circ}Brix$, $X_1$), 발효시간(48, 54, 60, 66, 72 hr, $X_2$), 발효온도(24, 26, 28, 30, $32^{\circ}C$, $X_3$)로 설정하였으며, 종속변수로는 알코올함량, 환원당 함량, 당도, 산도를 살펴보았다. 발효조건에 따른 사과주스 알코올발효액의 알코올 함량은 3.4~6.4%, 환원당 함량은 1.93~6.24%, 당도는 6.1~13.8 brix로 나타났다. 알코올 함량은 주로 발효온도에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발효시간이 길고 온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환원당 함량은 주로 초기 당도와 발효온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기 당도 15.22 $^{\circ}Brix$, 발효시간 64.97 hr, 발효온도 $31.56^{\circ}C$일 때 알코올 함량의 최대값이 6.4%로 예측되었다.

Changes in Isoflavone Content and Mass Balance During Soybean Processing

  • Han, Jin-Suk;Hong, Hee-Do;Kim, Sung-Ra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3호
    • /
    • pp.426-433
    • /
    • 2007
  • We analyzed the isoflavone content of domestic soybeans during steaming, boiling, fermentation, germinating cultivation, fermentation, and soybean curd production. The isoflavone content of the beans was reduced by steaming and boiling, and overall reductions ranging from 16.0 to 65.0% of initial isoflavone values were detected. After 4 days of germinating cultivation, the total isoflavones of Eunhakong increased from 1,341 to $2,017\;{\mu}g/g$ and the total isoflavones of Guinunikong increased from 1,284 to $1,535\;{\mu}g/g$. The isoflavone content of the vinegar beans produced from Hwangkeumkong and Black No.1 increased from 1,877 to $1,956\;{\mu}g/g$, and from 885 to $1,956\;{\mu}g/g$ after 8 days of immersion in 4% acetic acid, respectively. During soybean curd production, significant amounts of isoflavones were lost in the whey (30-31 %) and soybean curd residue (15-20%). Only 37.4% of the isoflavones present in the original soybeans remained in the soybean curd with the hot extraction method, and 50.7% of them with the cold extraction method. Soybean curd prepared with whole soybean method, however, retained 80.7% of the initial isoflavones.

톱밥배양한 느타리버섯 균사생장시 생산되는 각종 효소변화 (Changes in activities of protease, phenoloxidase and cellulase during mycelium growth of Pleurotus ostreatus in sawdust cultures)

  • 장현유;김광포;차동열
    • 한국균학회지
    • /
    • 제24권2호통권77호
    • /
    • pp.149-154
    • /
    • 1996
  • 느타리버섯 균사를 톱밥에 배양할 때 분비되는 여러 가지 extracellular enzyme중 pretense, phenoloxidase, cellulase가 배양조건을 달리하였을 때 변화양상을 요약하면 먼저 톱밥의 종류에 따라서는 참나무톱밥에 비해 포플라톱밥이 specific activity가 높은 경향이었다. 첨가제 종류에 따라서는 밀기울에 비해 미강이 약간 높았으며 혼합비율이 30, 20, 10%순으로 높았다. 수분함량은 3가지 효소 모두 70%에서, 배지의 PH에 따라서 protease는 pH 4와 9, cellulase는 pH6, phonoloxidase는 pH 5와 7, 배양온도는 3가지 효소 모두 $25^{\circ}C$, 목초액 농도에 따른 pretense와 phonoloxidase는 무처리가 처리보다 총활성이 높았으며, cellulase는 0.5%에서 총활성이 가장 높았다.

  • PDF

감 즙으로부터 에탄을 생산을 위한 Saccharomyces cerevisiae의 고정화 조건 (Immobilized Condition of Suchwowces cerevisiae for Ethanol Production from Persimmon Juice.)

  • 이상원;손미예;서권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221-227
    • /
    • 1999
  • 고정화 배양계를 이용하여 감 즙으로부터 식초생산을 효율적으로 행하기 위하여 Saccharomyces cerevisiae의 고정화 형성조건을 검토하였다. 고정화를 위한 최적 Na-alginate의 농도는 2%이었다. 담체의 농도를 1-4%로 변화시키면서 gel beads로부터 누출되는 효모 균수를 검토한 결과, 1%의 농도에서는 배양 8시간째부터 배양액의 탁도가 흐려지는 것이 관찰되어 배양 20시간째에 0.82의 흡광도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2-4%에서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배양이 끝난 후, 전자현미경으로 gel beads내부의 균주 생육상태를 관찰한 결과 고정화한 효모는 Na-alginate의 농도에 관계없이 왕성하게 생육하였다. Gel beads의 크기는 2-3mm정도가 최적이었고, 효모의 최적 접종량은 약 33mg이었다. 효율적인 에탄을 생산을 위한 산소공급 시간을 검토한 결과, 배양초기부터 12시간까지는 면전으로 호기적 배양을 행하고, 그 이후부터는 check valve가 부착된 실리콘 plug를 사용하여 혐기적 배양을 행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 PDF

죽초액의 첨가수준이 비육 한우암소의 육생산성, 혈액성상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 (he Effects of Supplemental Levels of Bamboo Vinegar on Growth Performance, Serum Profile and Meat Quality in Fattening Hanwoo Cow)

  • 국길;김광현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1호
    • /
    • pp.57-68
    • /
    • 2003
  • 본 시험은 한우 암소에 대한 죽초액의 급여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비육중인 암소 15두를 대상으로 대조구와 죽초액 3% 및 6% 급여구의 3개 처리구에 5두씩 공시하여 4개월간 사양시험을 실시한 결과는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일당증체량은 죽초액 3% 급여구에서 약간 증가한 반면에 죽초액 6% 급여구에서는 감소하였다. 사료섭취량은 죽초액 6% 급여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감소하였다. 혈액성상에서 glucose 농도는 죽초액 3% 및 6% 급여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감소하였다. Total protein과 cholesterol 농도는 죽초액 3% 및 6% 급여구가 유의적(P<0.05)으로 증가하였다. BUN의 농도는 죽초액 3% 급여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증가하였다. 도체성적에서 등심단면적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등지방 두께가 죽초액 6%급여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감소하였다. 근내지방도는 죽초액 3% 급여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높게 나타나 육질등급이 향상되었다. 죽초액 급여에 의한 부분육 성적에서 별다른 변화가 없었다. 등심의 이화학적 특성에서 조지방 함량이 죽초액 3% 급여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높게 나타났다. 전단력가와 콜레스테롤 함량은 죽초액 3% 및 6% 급여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감소하였다. 등심의 지방산 조성에서 16:0은 죽초액 3% 급여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감소한 반면에 18:1은 죽초액 3% 및 6% 급여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죽초액 3% 급여구에서 포화지방산이 유의적(P<0.05)으로 감소한 반면에 불포화지방산이 유의적(P<0.05)으로 증가하였다. 관능평가에서 죽초액 급여에 의한 냄새와 외관의 개선효과는 없었다. 맛은 죽초액 3%와 6%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P<0.05)으로 개선되는 효과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한우 암소에 대한 죽초액 3% 급여는 근내지방도 및 조지방 함량의 증가, 전단력가 및 콜레스테롤 함량의 감소, 불포화지방산 비율의 증가, 그리고 관능평가에서 맛에 개선효과를 나타냈다.

전통적인 발효 방법으로 제조된 참외식초의 기능적 특성 (Functional Properties of Muskmelon Vinegars Manufactured with Traditional Fermentation Methods)

  • 정경임;하나연;최영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45-353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한 참외식초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 작용, 알코올 대사 효소 활성 및 RAW 264.7 세포에서의 항염증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각기 다른 방법으로 제조한 참외식초의 총 산도는 MV-1은 4.00%, MV-2는 4.32%, MV-3은 4.35%로 나타났다. 유기산 측정결과 MV-1은 malic acid (58.37 mg/ml), MV-2 (46.95 mg/ml)와 MV-3 (66.70 mg/ml)는 acetic acid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참외식초의 총 페놀 함량은 MV-3에서 $129.74{\mu}g$ TAE/ml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참외식초의 DPPH radical 소거능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MV-3 40% 농도에서 89.2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SOD 활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60% 농도에서의 MV-1와 MV-2 및 MV-3는 각각 40.84%, 52.17%, 72.55%로 나타났다(p<0.05). 참외식초의 ADH 및 ALDH 활성은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60% 농도에서의 ADH 활성은 MV-1에서 136.5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ALDH 활성은 MV-2에서 100.25%로 나타났다. 아질산염 소거능 분석에서는 pH 1.2에서 MV-1, MV-2, MV-3 각각 81.58%와 94.72% 및 87.75%로 나타났다. 참외식초의 항염증 활성 측정을 위하여 LPS로 유도된 RAW 264.7 cell의 NO 합성을 측정한 결과, 1%에서 농도에서 MV-1, MV-2, MV-3의 NO 합성은 각각 25.93%와 10.01% 및 79.75% 감소하였다(p<0.05). 이상의 결과와 같이 참외 꼭지를 포함하여 0.5 cm두께로 슬라이스한 참외와 찹쌀고두밥 및 누룩을 이용하여 전통적인 방법으로 제조한 MV-3는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이 높은것으로 나타났기에 기능성 건강음료로서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Microbial Cellulose 생산세균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Cellulose-Producing Bacteria)

  • 손홍주;이오미;김용균;이상준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34-138
    • /
    • 2000
  • 자연계에 다양하게 존재하는 세균중 셀룰로오스 생산성이 우수한 균주를 분리 및 동정함으로서 새로운 생물자원을 확복하고자 하였다 사과, 포도, 식초 등의 시료로부터 총 57주의 셀룰로오스 생산균주를 분리하였다. 그중 사과에서 분리된 A9 균주를 공시균으로 선정하여 형태학적 배양적 및 생리생화학적 특성을 검토한 결과 Acetobacter 속으로 동정되어 편의상 Acetobacter sp. A9로 명명하였다 본 균주는 ethanol을 acetic acid로 산화시킨 후 다시 $CO_2$$H_2O$. 로 재산화시키는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glycerol로부터 dihydroxyacetone을 생성할 수 있었으나 glucose 및 fructose로부터 ${\gamma}$-pyrone은 생성할 수 없었다. 본균주를 HS액체배지에서 정치배양했을 때 두꺼운 셀룰로오스 pellicle을 합성하였으며 교반배양에서 mass 형태의 셀룰로우스를 합성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