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deo-audio media

검색결과 203건 처리시간 0.044초

지상파 DMB방송 수신기 개발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Implementation of Receiver for Terrestrial DMB)

  • 원영진;나희수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6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 /
    • pp.1011-1012
    • /
    • 2006
  • In this paper, implementation process of standard platform for T-DMB Receiver in low-cost and small-size are following: First, implement SoC for 32 bit RISC CPU and 16 bit DSP, Hardware H.264 CODEC, Post Processor or Video Display, Audio Processor, I/O Device. Second, implement Real Time OS for flexible application. Third, propose simple architecture for interface with peripheral devices using one-chip processor.

  • PDF

Interactive information process image with minute hand gestures

  • Lim, Chan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799-802
    • /
    • 2016
  • It is definitely an interesting job to work with V4 to create various contents emphasizing different interfaces like 3D graphics, and multimedia such as video, audio, and camera. Moreover, beyond the other interface, as it could be used in the many aspects of the sensory sign such as visual effects, auditory effects, and touchable effects, it feels free to make a better developed model. We intended the users to feel some kind of pleasure and interactions rather than just using in aspect of Media art.

디지털 음원의 촉각 자극 전이를 위한 미디어 플레이어에 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media player transferring vibrotactile stimulation from digital sound)

  • 임영훈;이수진;정종환;하지민;황민철;박준석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7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881-886
    • /
    • 2007
  • 오감 융합 정보 시대가 도래한다. 오감 융합은 감각 정보의 전이 기술 개발로 가능하다. 본 연구는 청각 정보의 촉각 정보 전이에 대한 연구이다. WMPlayer10SDK는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윈도우즈 미디어 플레이어(Windows Media Player, WMP)를 전용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하는 Plug-in 개발툴이다. WMPlayer10SDK 시스템은 WMP 내에서의 비디오와 오디오의 신호 정보를 추출하는 부분을 제공한다. 이를 이용하여 촉각 디스플레이(Tactile Display)장치인 Pos Tactor를 연동하여 음성 신호에서 진동 촉각을 제시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음성신호는 8bit, 16bit, 24bit, 32bit로 구분되며 각각의 주파수와 음폭의 Scale을 계산하여 그 수치를 시리얼 통신을 사용하여 통신포트(COM1)에 38400bps로 전달하여 구동하게 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음악을 촉감으로 느끼는 뮤직슈트(music suit)를 개발 하였다. 그러므로 뮤직슈트의 적용된 기술은 청각적 체험을 촉각적 체험을 할 수 있는 오감 융합 기술의 기초 기술로 제공 될 수 있다.

  • PDF

채팅과 오디오의 다중 시구간 정보를 이용한 영상의 하이라이트 예측 (Video Highlight Prediction Using Multiple Time-Interval Information of Chat and Audio)

  • 김은율;이계민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4권4호
    • /
    • pp.553-563
    • /
    • 2019
  • 최근 개인방송 플랫폼을 통해 업로드 되는 콘텐츠가 증가함에 따라 시청자의 편의를 위해 하이라이트 영상을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영상의 하이라이트 위치를 자동으로 예측하는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모델은 채팅과 오디오 정보를 이용하며 양방향 LSTM을 사용해 영상의 흐름을 이해한다. 또한 콘텐츠의 종류에 따라 단기적 흐름과 함께 중장기적 흐름을 파악하는 다중 시구간 모델도 함께 제안한다. 제안한 모델은 개인방송 플랫폼을 통해 중계된 e스포츠와 야구경기 영상들을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다중 시구간 정보를 활용하는 것이 하이라이트 예측에 유용함을 보였다.

소리 파형을 이용한 다수 동영상간 시간축 동기화 기법 (Timeline Synchronization of Multiple Videos Based on Waveform)

  • 김신;윤경로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197-205
    • /
    • 2018
  • 파노라마 이미지는 현재 흔하게 사용되는 기술 중 하나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파노라마 비디오 제작은 기술적 어려움이 존재한다. 360도 카메라와 같은 특수 카메라가 없을 경우, 파노라마 비디오 제작은 더욱 어려워진다. 파노라마 비디오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여러 지점에서 촬영한 다수의 동영상의 시간축을 동기화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카메라 내부 시계를 통한 시간축 동기화 기법은 내부 하드웨어 차이로 인해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영상 정보 또는 소리 정보를 이용한 다수 비디오 간 시간축 동기화 연구가 진행되었다. 하지만 영상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 정확도와 프로세싱 시간에 문제가 있으며 소리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 노이즈에 민감하거나 멜로디가 없으면 동기화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소리 파형을 이용한 다수 비디오 간 시간축 동기화 기법을 제안한다. 영상 정보 기반 시간축 동기화 기법보다 높은 동기화 정확도를 보여주며 시간적 효율성을 보여준다.

영화의 쇼트리스트 데이터를 기반한 클라이맥스 표현 분석 (The Climax Exp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Shot-list Data of Movies)

  • 임양미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965-976
    • /
    • 2016
  • 최근 디지털영상의 발달로 시청각 몰입에 대한 정량적 연구는 진행되고 있으나, 영화에서 내용이나 클라이맥스 부분의 영상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은 거의 연구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영상표현 구성요소들인 쇼트사이즈(shot size), 카메라 앵글(camera angle), 카메라의 움직임의 방향(camera direction), 카메라 위치(camera position), 배우들의 대립 구도(objective & subjective) 등을 사용하여 정량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들 사용에는 규칙이 있어 원칙을 파괴하는 부분의 영상 쇼트에서 주로 클라이맥스 효과를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존에 있는 영화들을 영상표현 구성 요소 기반으로 쇼트리스트 (shot-list)분석하여 클라이맥스 효과를 내기 위해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몇 가지 방법들을 정량적으로 분석한다. 이와 같은 쇼트리스트 분석 기반의 클라이맥스 부분을 찾는 방법 제안은 영화와 같은 긴 영상에서 특정 부분만 검색하고 싶을 때, 영화의 장르를 검색하거나 색인화할 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검색된 일부 클라이맥스 영상과 유사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등의 다양한 정보 제공 서비스 분야에서 효용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전력선 통신 기반 HD급 미디어 전송 시스템 설계 및 성능 분석 (System Design of High-Definition Media Transceiver based on Power Line Communication and Its Performance Analysis)

  • 김지형;김관웅;김용갑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59권1호
    • /
    • pp.192-196
    • /
    • 2010
  • Due to a development of a modem technology as Power Line Communication(PLC) over 200 Mbps, the high-speed multi-media data trasmission could be currently possible. The strength of the PLC has no more additional wiring work. PLC has also possible to high quality data transmission with currently electrical cable. It has a various strong point campare with existing wire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 This paper we develop a high quality media transmitter-receiver based on merging the HomePlug AV, which is 200 Mbps class PLC technology and HDMI Interface technology. The video function was used for the VEDEO TEST GENERATOR in order to a property valuation. Smart Live 6 software were used for the assessment of audio property. As the result of measurement of the HD class images by capturing from the receiver of the PLC, the quality of images couldn't be confirm any deterioration, which has compared with original reflections. In case of audio part as the result of confirmation of the Phase, Magnitude, it has been confirmed that over 90% of nomal transmition and receiving of acoustic signal. It can be possible to have HD class Media service through the PLC.

Wireless Audio Sharing (WASH) 시스템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Wireless Audio Sharing (WASH) System)

  • 손지연;김명규;양일식;박준석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3권2호
    • /
    • pp.139-148
    • /
    • 2006
  • 최근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의 발전과 함께 디지털 오디오 컨텐츠 및 기기들의 증가는 새로운 형태의 네트워크 기반 오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토대가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블루투스와 무선랜을 통해 스테레오 오디오 컨텐츠를 복수의 사용자들이 공유하는 Wireless Audio Sharing(WASH)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 내용을 기술한다. WASH 시스템은 단일 오디오 음원에 대해 복수개의 블루투스 수신기들이 공유하는 무선 오디오 공유 기능을 제공하며,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와 근거리 망으로 연결된 Universal Plug and Play(UPnP) 스테레오 오디오 기기간의 오디오 스트림 연동 및 제어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서 WASH 시스템은 단일 음원에 대해 다수의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들이 수신하도록 블루투스의 스테레오 오디오 전송 프로파일을 확장하였으며, 블루투스 AV 구조 내에서 블루투스 기기들이 동작할 수 있도록 UPnP Audio/video (AV) 구조와 블루투스 확장 오디오 전송 프로파일을 결합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리눅스 기반 노트북에WASH 시스템을 구현하여 오디오 품질을 측정하고 분석한 결과를 기술한다.

가변 버퍼와 상호대화형 객체 삽입을 이용한 스트림 동기화 기법 (Stream Synchronization Mechanism using Variable Buffers and Insertion of Interactive Objects)

  • 이양민;이재기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2B권6호
    • /
    • pp.661-670
    • /
    • 2005
  • 인터넷 상에서의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제공하는 서비스가 활성화됨에 따라 서비스의 사용자도 크게 증가하였다. 이것은 네트워크 트래픽의 증가로 이어졌고, 결과적으로 스트림 재생시 불연속적인 재생과 영상 및 음원의 비동기화와 같은 문제를 발생시켰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정적인 미디어 스트림의 재생을 보장하고 부가적으로 서비스 사용자와 미디어 간 상호대화를 할 수 있는 미디어 전달 방법이 필요하다. 기존의 관련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하여 미디어간 동기화를 달성하고 있으나 상호대화라는 측면에서는 만족할 만한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으며, 불연속적인 스트림의 재생에 대한 처리에도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상호대화형 객체를 각 미디어 파일에 삽입하고, 이들 객체들이 서로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함수를 설계하여 동기화와 상호대화성 문제를 해결하며, 네트워크에 대한 의존성 때문에 발생하는 불연속적인 재생은 가변 버퍼를 이용함으로써 해결하였다.

Core-A 프로세서 기반의 멀티미디어 SoC 플랫폼 설계 (The Design of Multi-media SoC Platform Based on Core-A Processor)

  • 서학용;허경철;정승표;박주성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0권6호
    • /
    • pp.99-104
    • /
    • 2013
  • 최근 주목받는 스마트 폰, 스마트 TV 등 스마트 전자기기들은 전통기기의 기능과 컴퓨터를 결합하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단순히 프로세서가 내장되어 연산만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OS(Operating System)가 포함되고 사용자가 개인 용도에 따라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수 있고 유무선 통신으로 인터넷 또는 PC와 연결하여 통신할 수 있는 개장된 멀티미디어 SoC 플랫폼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Core-A 프로세서와 AMBA 버스 기반으로 영상, 음성 또는 각종 통신 형태를 지원하는 다기능 SoC 플랫폼을 설계하여 FPGA로 구현과 검증을 하였다. SoC 플랫폼의 전체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JPEG 디코딩 알고리즘과 ADPCM 인코딩 디코딩 알고리즘을 실행하고 실행 결과를 모니터 또는 스피커로 출력하여 검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