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deo content

검색결과 1,238건 처리시간 0.034초

Biological Infectious Watermarking Model for Video Copyright Protection

  • Jang, Bong-Joo;Lee, Suk-Hwan;Lim, SangHun;Kwon, Ki-Ryong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1권2호
    • /
    • pp.280-294
    • /
    • 2015
  • This paper presents the infectious watermarking model (IWM) for the protection of video contents that are based on biological virus modeling by the infectious route and procedure. Our infectious watermarking is designed as a new paradigm protection for video contents, regarding the hidden watermark for video protection as an infectious virus, video content as host, and codec as contagion medium. We used pathogen, mutant, and contagion as the infectious watermark and defined the techniques of infectious watermark generation and authentication, kernel-based infectious watermarking, and content-based infectious watermarking. We experimented with our watermarking model by using existing watermarking methods as kernel-based infectious watermarking and content-based infectious watermarking medium, and verified the practical applications of our model based on these experiments.

SVC-based Adaptive Video Streaming over Content-Centric Networking

  • Lee, Junghwan;Hwang, Jaehyun;Choi, Nakjung;Yoo, Chuck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7권10호
    • /
    • pp.2430-2447
    • /
    • 2013
  • In recent years, HTTP adaptive streaming (HAS) has attracted considerable attention as the state-of-the-art technology for video transport. HAS dynamically adjusts the quality of video streaming according to the network bandwidth and device capability of users. Content-Centric Networking (CCN) has also emerged as a future Internet architecture, which is a novel communication paradigm that integrates content delivery as a native network primitive. These trends have led to the new research issue of harmonizing HAS with the in-network caching provided by CCN routers. Previous research has shown that the performance of HAS can be improved by using the H.264/SVC(scalable video codec) in the in-network caching environments. However, the previous study did not address the misbehavior that causes video freeze when overestimating the available network bandwidth, which is attributable to the high cache hit rate. Thus, we propose a new SVC-based adaptation algorithm that utilizes a drop timer. Our approach aims to stop the downloading of additional enhancement layers that are not cached in the local CCN routers in a timely manner, thereby preventing excessive consumption of the video buffer. We implemented our algorithm in the SVC-HAS client and deployed a testbed that could run Smooth-Streaming, which is one of the most popular HAS solutions, over CCNx, which is the reference implementation of CCN. Our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scheme (SLA) could avoid video freeze in an effective manner, but without reducing the high hit rate on the CCN routers or affecting the high video quality on the SVC-HAS client.

Automatic Poster Generation System Using Protagonist Face Analysis

  • Yeonhwi You;Sungjung Yong;Hyogyeong Park;Seoyoung Lee;Il-Young Moon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21권4호
    • /
    • pp.287-293
    • /
    • 2023
  •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over-the-top markets, a large amount of video content is being created. As the volume of video content increases, consumers tend to increasingly check data concerning the videos before watching them. To address this demand, video summaries in the form of plot descriptions, thumbnails, posters, and other formats are provided to consumers. This study proposes an approach that automatically generates posters to effectively convey video content while reducing the cost of video summarization. In the automatic generation of posters, face recognition and clustering are used to gather and classify character data, and keyframes from the video are extracted to learn the overall atmosphere of the video. This study used the facial data of the characters and keyframes as training data and employed technologies such as DreamBooth, a text-to-image generation model, to automatically generate video posters. This process significantly reduces the time and cost of video-poster production.

GeoVideo 제작 도구 및 뷰어 소프트웨어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GeoVideo Making Tool and Viewer Software)

  • 김창민;조대수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1135-1142
    • /
    • 2014
  • 스마트폰을 비롯한 모바일 디바이스와 다양한 영상제작도구의 발전에 따라 디지털콘텐츠의 생산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그 수요는 날로 증가하고 있다. 위치정보가 포함된 GeoContents의 경우 위치기반의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사진 등의 이미지 콘텐츠는 사용자 위치정보와 주변 POI 정보를 활용 다양한 위치기반서비스가 상용화되어 있다. 동영상 콘텐츠의 경우 프레임별로 위치정보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대표위치를 기반으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프레임별 위치정보가 포함된 동영상 콘텐츠를 GeoVideo라 정의하고, GeoVideo 콘텐츠를 제작하고 활용하기 위해서 GeoVideo 제작 도구 및 뷰어 소프트웨어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GeoVideo는 사용자 위치정보 기반의 동영상 콘텐츠 검색 서비스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인공지능 기반 영상 콘텐츠 생성 기술 동향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Video Content Generation)

  • 손정우;한민호;김선중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4권3호
    • /
    • pp.34-42
    • /
    • 2019
  • This study introduces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iques for video generation. For an effective illustration, techniques for video generation are classified as either semi-automatic or automatic. First, we discuss some recent achievements in semi-automatic video generation, and explain which types of AI techniques can be applied to produce films and improve film quality. Additionally, we provide an example of video content that has been generated by using AI techniques. Then, two automatic video-generation techniques are introduced with technical details. As there is currently no feasible automatic video-generation technique that can generate commercial videos, in this study, we explain their technical details, and suggest the future direction for researchers. Finally, we discuss several considerations for more practical automatic video-generation techniques.

WSOLA를 이용한 동영상 미세배속 재생 서비스에 대한 콘텐츠별 배속 선호도 분석 연구 (A Study about the Users's Preferred Playing Speeds on Categorized Video Content using WSOLA method)

  • 김이길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291-298
    • /
    • 2015
  • 빠르게 발전하는 IT환경 속에서 이제 동영상 콘텐츠는 TV를 통한 일방 시청이 아니라 언제 어디서든 다양한 단말에서 볼 수 있는 VOD (Video on Demand)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동영상 시청형태의 변화는 디지털이란 특성 때문에 동영상의 재생 속도 또한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부가적인 장점을 사용자에게 제공 한다. 지루하고 따분한 동영상 콘텐츠는 빠르게 돌려보고 흥미 있는 장면은 느리게 천천히 볼 수 있는 동영상 미세배속 재생 기능은 오늘날 다양한 동영상 플레이어에서 제공되고 있다. 동영상 미세배속 재생 시 동영상 콘텐츠 내용의 정확한 이해를 위해서는 시각정보 못지않게 음성정보 청취가 중요한데 정상속도 보다 빠르거나 느린 재생 시 발생하는 음성의 왜곡을 줄이기 위한 음성미세배속 기술들이 음성처리 분야에서 꾸준히 발전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이중 WSOLA와 같은 우수한 음성미세배속 알고리즘에 대해 알아보고 동영상 시청 시 이러한 기능 제공이 실제 얼마나 사용자 니즈(needs)에 부합하는 지 분석해보고자 한다. 특히, 동영상 콘텐츠를 사용자의 콘텐츠 소비 목적에 따라 종류별로 구분하여 재생 배속의 선호도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분석해 봄으로써 동영상 미세배속 기능 제공시 콘텐츠별 소비 목적에 맞게 재생 배속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동영상 유통시스템 기반요소에 관한 고찰 (A Study on Basic Element for Video Content Circulation System)

  • 김성원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33-44
    • /
    • 2008
  • 인터넷의 대중화와 IT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인터넷을 통한 동영상 자료의 활용 및 유통이 활성화되고 있다. 성장하는 유기체로서 정보 유통의 중심이 되어야 할 도서관의 입장에서는 새로운 정보원으로서 동영상 정보의 유통에 관심을 기울어야 하는 시점이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배경에서 동영상 정보자료의 유통을 위한 시스템 구축의 기반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동영상 유통시스템 구축과 관련된 제반 사항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인터넷을 통한 동영상 유통현황과 유통활성화의 기술적 기반이 되는 관련 기술 발전현황을 살펴보았다. 또한 동영상 정보자료의 유통을 위한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를 소개하였고 실제 구축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기반 요소들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소개된 내용을 기반으로 실제 동영상 유통시스템의 구축을 검토하는 도서관 실무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인터랙티브 초다시점 콘텐츠 제작 기술 (Interactive Super Multi-view Content Technology)

  • 정재숙;김상원;허기수;정일권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2권5호
    • /
    • pp.39-48
    • /
    • 2017
  • Since the world's first 3D commercial film with red-blue glasses was introduced in 1922, remarkable progress has been made in the field of 3D video. 3D video content gained enormous popularity with the movie "Avatar," which greatly increased the sale of 3D TVs. This momentum has weakened owing to lack of 3D content. However, the recent trend of virtual reality (VR) and augmented reality (AR) made 360 VR video and 3D games using a head mounted display wide spread. All these experiences mentioned above require wearing glasses to enjoy 3D content. Super multi-view content technology, on the other hand, enables viewers to enjoy 3D content without glasses on a super multi-view display. In this article, we introduce the technologies used to make super multi-view content, interact with it, and author content, which are developed by ETRI.

주석 및 내용 기반 검색을 지원하는 동영상 정보 관리 시스템 (A Video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Supporting Caption- and Content-based Searches)

  • 전미경;김인홍;류시국;전용기;강현석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권3호
    • /
    • pp.231-242
    • /
    • 1999
  • 일반적으로 동영상에 대한 정보 검색에는 주석 기반 검색이나 내용 기반 검색을 사용한다. 그러나, 주석 기반 검색은 사용자의 주관이 개입되어 일관성을 잃기 쉽고 내용 기반 검색은 동영상 데이터가 담고 있는 일반적인 의미 추출이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이 두 검색 기법을 상호 보완하여 검색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통합 동영상 데이터 모델(IVDM)을 제안한다. 이 모텔은 동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계층적으로 구조화한다. 상위 수준에서는 주제별로 부여된 메타 정보로 주석 기반 검색을 지원하고, 하위 수준에서는 동영상 데이터에서 색깔, 모양, 움직임, 질감 등의 특정 데이터를 추출하여 내용 기반 검색올 지원한다. 그리고 이 IVDM의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해 동영상의 대표격인 뉴스 동영상올 객체 지향 데이타베이스 스키마 형태로 설계하고, 이에 맞는 질의 유형 4가지와 그 처리 알고리즘도 제공한다.

  • PDF

온라인 학습을 위한 동영상 콘텐츠 검색 및 평가방법 (How to Search and Evaluate Video Content for Online Learning)

  • 용성중;문일영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238-244
    • /
    • 2020
  • 스마트 시대를 살아가는 요즘 스마트폰을 전 국민이 사용하는 상황으로 봐도 무방할 정도로 빠른 발전과 보급이 진행되었으며, 스마트폰 사용으로 국내 미디어 콘텐츠 이용을 위한 필수 매체로 자리 잡아 성별, 연령, 지역 등에 상관없이 수많은 사람이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하고 있다. 최근 다양한 매체를 통해 온라인에서 학습을 위한 동영상 콘텐츠 소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는 학습자들이 온라인에서 동영상 콘텐츠를 활용하여 학습에 활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콘텐츠 유형에 따른 만족도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학습 콘텐츠 자체를 평가하여 학습자들에게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 지지 않아 개선 방안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학습을 위한 동영상 콘텐츠 제공 방식 동향과 양질의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개선 방안으로 학습 콘텐츠 자체의 평가와 리뷰를 통해 시스템을 제안하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