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deo Service

검색결과 1,600건 처리시간 0.033초

이종 무선망 환경에서 효과적인 영상 스트리밍 시스템 (Efficient Video Streaming System over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 주현철;이동주;한상천;송황준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7권2B호
    • /
    • pp.110-119
    • /
    • 2012
  • 본 논문은 이종 무선망 환경에서 효과적인 영상 스트리밍 시스템에 대해 다룬다. 제안하는 영상 스트리밍 시스템은 파운틴 코드를 영상 스트리밍 서비스에 적합하도록 변형하고, 파운틴 코드의 지연 및 블록 복구 실패율 제약 조건들을 만족시키면서 다중 경로를 통해 영상 스트림의 비트율을 최대화한다. 마지막으로, 제안하는 시스템이 이종 무선망 환경에서 각 경로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제어 변수를 동적으로 설정함으로써 고화질의 안정적인 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음을 보인다.

CDMA 망에서의 실시간 동영상 서비스를 위한 MPEG-4 비디오 인코더 (Real-time MPEG-4 Video Encoder for Live Video Service over CDMA network)

  • 이용희;송준호;김인권;신현식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1권8B호
    • /
    • pp.707-715
    • /
    • 2006
  • 이동통신에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서비스는 매우 중요한 응용으로 떠 오른지 오래이다. 예전에는 이동전화를 위한 음성서비스에 국한되었으나, 근래의 기술발전으로 동영상을 서비스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대역폭이 넓어졌다. 기술경쟁이 치열하고, 발전속도가 빠른 만큼, 동영상서비스에 대한 요구는 점점 늘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동통신에서 라이브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하기 실시간 MPEG-4 비디오 인코더와 이를 위한 통신망의 구성에 대하여 서술한다. 통신망의 구성에 대한 가정을 최소로 했기 때문에 새로운 형식의 이동통신 기술이 대두된다 하더라도 본 논문에서 기술하는 동영상 서비스 시스템은 쉽게 적용 가능하다.

디지털 방송에서 HDTV 필수 부가영역 (HDTV Essential Padding Area in Digital Broadcasting)

  • 한찬호;윤인섭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853-864
    • /
    • 2017
  • HD padding area is essential redundancy in HD broadcasting. It is possible to use this padding area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DTV broadcasting services. For utilization of this area, The bit of a service data was converted to black and white $8{\times}8$ block image. Converted block images are compressed with active video and are delivered to a receiver as only DC coefficients in a video stream. video quality is not effected by the proposed method, and service data was perfectly recovered in receiver without errors by using block average and threshold. The proposed utilization of HD essential padding area can possibly overcome the limited transmission stream rate with the bandwidth of HD broadcasting. If service data in transport or video stram were transferred using this padding area, it is possible to improve video quality with expanded video stream rate. Additionally, because the proposed methods are based on well-established standards, it is also useful for world-wide HD broadcasting systems such as ATSC, DVB, and IPTV.

위치기반의 드라마 콘텐츠서비스용 스마트 플랫폼 설계 (Smart Platform Design for Location based Drama Contents Services)

  • 최영호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37-41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PPL(Product Placement)을 변경할 수 있는 위치기반 실시간 비디오 클립을 스트리밍하는 스마트 플랫폼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플랫폼은 LTE 위치인식 기반의 GPS 좌표 값과 비콘 기술을 활용하여 Active Push형태로 사용자에게 촬영지의 드라마 영상을 제공한다. 또한 비디오 클립 내의 PPL 객체에 대한 사진, 동영상, 음악,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형태의 DB를 구성하였다. 제안한 플랫폼에서는 비디오 클립 스트리밍 서비스 상황에서 PPL 객체 DB에 대한 인터액티브 태그 동기화를 통해 PPL 객체의 색깔과 모양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안하는 플랫폼에서는 서비스 제공자의 요구에 따라 PPL 변경이 가능한 위치 기반 실시간 비디오 스트리밍을 가능하게 한다.

Adaptive Rate Control Scheme for Streaming-based Content Sharing Service

  • Lee, Sunghee;Chung, Kwangsue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7권4호
    • /
    • pp.784-799
    • /
    • 2013
  • This paper presents an adaptive rate control scheme for streaming-based content sharing service. This scheme delivers multimedia contents from a user device to another device or seamlessly redirects streaming service across heterogeneous user devices. In the proposed scheme, a streaming server adjusts video quality level according to the network and client status. Our scheme is different from other rate control schemes, because the video quality at the server is decided not only based on the available bandwidth, but also based on the device characteristics and bandwidth requirement at the access network. We also propose a bandwidth estimation method to achieve more equitable bandwidth allocations among streaming flows competing for the same narrow link with different Round Trip Times (RTTs). Through the simulation, we prove that our scheme improves the network stability and the quality of streaming service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quality of the video stream. The simulation results also demonstrate the ability of the proposed scheme in ensuring RTT-fairness while remaining throughput efficient.

비실시간 기반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부호화를 위한 적응루프필터 적용기법 (Application of Adaptive Loop Filter for NRT-Based Stereoscopic Video Coding)

  • 이병탁;이봉호;최해철;김진수;윤국진;정원식;김재곤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261-270
    • /
    • 2013
  • 스테레오스코픽(stereoscopic) 3D 비디오 서비스는 기존 2D와의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3D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전송 대역이 제한된 지상파 방송의 경우 높은 부호화 효율을 갖는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코덱이 요구된다. 따라서 기준영상은 기존 2D 비디오 서비스와의 호환성을 위해 MPEG-2로 부호화하는 반면 3D를 위한 부가영상 부호화를 위해 부호화 효율이 높은 H.264/AVC, HEVC(High Efficiency Video Coding) 등을 고려하고 있으며, 또한 부가영상을 비실시간으로 전송하는 NRT(Non-Real Time) 3D 서비스도 고려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NRT 3D 서비스를 위한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부호화에 있어서, HEVC에서 고려되었던 적응루프필터(ALF: Adaptive Loop Filter)를 전/후처리 필터로 적용하는 기법을 제시한다. 특히, 부가영상의 후처리에 ALF를 적용하기 위하여 부호화 과정에 결정되는 CU(Coding Unit) 구조를 이용하는 HEVC와 달리 MVC(Multiview Video Coding)로 부호화한 부가영상의 매크로블록(MB) 부호화 모드 및 참조영상 인덱스 등의 MB 부호화 정보를 이용한 ALF 적용 기법을 제안한다. 부가 영상 부호화에 있어서 제안한 기법으로 전처리 및 후처리 과정으로 ALF를 적용함으로써 최대 약 24.9%의 비트율 감소를 확인하였다.

DTV 화질향상을 위한 자막데이터 전송방법 (Caption Data Transmission Method for HDTV Picture Quality Improvement)

  • 한찬호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1628-1636
    • /
    • 2017
  • Such as closed caption, ancillary data, electronic program guide(EPG), data broadcasting, and etc, increased data for service convenience cause to degrade video quality of high definition contents. This article propose a method to transfer the closed caption data of video contents without video quality degradation. Video quality degradation does not cause in video compression by the block image insertion of caption data in DTV essential hidden area. Additionally the proposed methods have advantage to synchronize video, audio, and caption from preinserted script without time delay.

Web-Based Media GIS Architecture Using the Virtual World Mapping Technique

  • Kim, Sung-Soo;Kim, Kyong-Ho;Kim, Kyoung-Ok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71-80
    • /
    • 2003
  • In this Paper, we Propose web-based Media GIS architecture using 3D geographical database and GPS-related data resulted from 45-Van. We introduce a novel interoperable geographical data service concept; so-called, Virtual World Mapping (VWM) that can map 3D graphic world with real-world video. Our proposed method can easily retrieve geographical information and attributes to reconstruct 3D virtual space according to certain frame in video sequences. Our proposed system architecture also has an advantage that can provide geographical information service with video stream without any image processing procedures. In addition to, describing the details of our components, we present a Media GIS web service system by using GeoVideoServer, which performs VWM technique.

H.263을 기반으로하는 인터넷용 동영상 서비스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a video service system for internet based on H.263)

  • 이성수;남재열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1998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논문집
    • /
    • pp.737-740
    • /
    • 1998
  • Under the worldwide booming internet environment, there has been increasing demand for various multimedia services. Especially the demand for effective video services has been rapidly increased.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implementation of video service system for internet use based on H/263 video compression technique and UDP socket on the TCP/IP environment. In addition, by using the plug-in-play technique, the implemented system improved user interface for correct retrieval and easy usage.

  • PDF

모바일 OTT 동영상 서비스 이용이 홈 TV 시청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splacement of Mobile OTT Video Services on Home TV)

  • 김주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434-445
    • /
    • 2018
  • 본 연구는 닐슨-코리안클릭사의 3 screen data를 이용하여 모바일 OTT 동영상 서비스 이용이 홈 TV 시청을 대체하는지 여부를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모바일 OTT 동영상 서비스의 이용시간이 1% p 증가하면 홈 TV 시청시간이 12.4%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튜브나 통신 3사가 제공하는 OTT 동영상 서비스(Oksusu, Alleh TV, 비디오포털)의 이용시간이 1%p 늘어나면 지상파 채널 시청시간이 각각 16.2%와 23.9%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향후 모바일 OTT 동영상 서비스의 홈 TV 대체 양상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유료방송 산업과의 규제 형평성 논란을 해소하고 시청자 권익을 보호하기 위하여 OTT 동영상 서비스에 대한 규제 범위와 수준에 관한 논의가 보다 신속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사업자 측면에서는 콘텐츠의 차별화뿐만 아니라 다양한 결합상품을 제공하는 등 요금제의 다양화 전략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