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brio spp.

검색결과 183건 처리시간 0.026초

양식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에서 분리된 Edwardsiella tarda, Vibrio spp., Streptococcus spp.의 항균제 내성 경향 (Antimicrobial resistance of Edwardsiella tarda, Vibrio spp., and Streptococcus spp. isolated from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김명석;서정수;박명애;조지영;황지연;권문경;정승희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7-45
    • /
    • 2010
  • 넙치 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제 내성율과 다제내성을 조사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우리나라의 양식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에서 161균주가 분리되었고 분리균주에는 Edwardsiella tarda (n=32), Vibrio ichthyoenteri (n=37), Vibrio spp. (n=54), Streptococcus parauberis (n=28) 그리고 Streptococcus spp. (n=10)가 포함되었다. E. tarda 분리균주는 tetracycline (84.4%)과 oxolinic acid (71.9%)에 높은 내성율을 나타내었고 V. ichthyoenteri와 Vibrio spp.는 ampicillin (94.6%, 81.5%)과 tetracycline (56.8%, 42.6%) 순서로 높은 내성율을 나타내었다. S. parauberis 분리균주는 ampicillin (57.1%), tetracycline (57.1%), erythromycin (35.7%) 순서로 높은 내성율을 보였다. E. tarda의 84.4%, V. ichthyoenteri의 73.0%, Vibrio spp.의 57.4%, S. parauberis의 42.8% 그리고 Streptococcus spp.의 70.0%가 2종류 이상의 항균제에 다제내성을 나타내었다.

Risk assessment of vibriosis by Vibrio cholerae and Vibrio vulnificus in whip-arm octopus consumption in South Korea

  • Oh, Hyemin;Yoon, Yohan;Ha, Jimyeong;Lee, Jeeyeon;Shin, Il-Shik;Kim, Young-Mog;Park, Kwon-Sam;Kim, Sejeong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4권6호
    • /
    • pp.207-218
    • /
    • 2021
  • This study evaluated the risk of foodborne illness from highly pathogenic Vibrio spp. (Vibrio vulnificus and V. cholerae) by raw whip-arm octopus (Octopus minor) consumption. In total 180 samples of raw whip-arm octopus were collected from markets and examined for the prevalence of V. vulnificus and V. cholerae. Predictive models describing the kinetic behavior of Vibrio spp. in raw whip-arm octopus were developed, and the data on amounts and frequency of raw whip-arm octopus consumption were collected. Using the collected data, a risk assessment simulation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probability of foodborne illness raw whip-arm octopus consumption using @RISK. Initial contamination levels of Vibrio spp. in raw whip-arm octopus were -3.9 Log colony-forming unit/g, as estimated by beta distribution fitting. The developed predictive models were appropriate to describe Vibrio spp. in raw whip-arm octopus during distribution and storage with R2 values of 0.946-0.964. The consumption frequency and daily consumption amounts of raw whip-arm octopus per person were 0.47% and 57.65 g, respectively. The probability of foodborne illness from raw whip-arm octopus consumption was estimated to be 8.71 × 10-15 for V. vulnificus and 7.08 × 10-13 for V. cholera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risk of Vibrio spp. infection from raw whip-arm octopus consumption is low in South Korea.

여수연안 및 동중국해의 세균상 1. 일반 세균, Vibrio spp., 대장균군 균수에 따른 수평 분포 (Bacterial Flora of East China Sea and Yosu Coastal Sea Areas 1. Horizontal Distributions According to Number of Bacteria, Vibrio spp. and Coliform Group)

  • 정규진;신석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9-16
    • /
    • 1996
  • 1992년 8월 6일부터 8월 14일까지에 걸쳐 조사한 동중국해 및 여수연안의 세균 flora, Vibrio spp., 대장균군에 대한 양적인 수평분포를 조사하여 미생물 생태계 해석을 위한 자료를 얻고자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동중국해의 염분농도는 $24.64\~33.78\%_{\circ}$였고, 외양으로 갈수록 낮아졌다. 2. 수온은 $22.53\~29.18^{\circ}C$였고, 연안에 비해 외양으로 갈수록 높게 나타났다. 3. 여수 연안 해수중의 일반세균수는 $1.0\times10^2\~3.0\times10^4/ml$, Vibrio spp.는 $0.2\times10\~9.0\times10^3/ml$, 대장균군은 $0.3\times10\~3.0\times10^3/ml$로서 연안에서 멀어질수록 균량은 감소하였다. 4. 동중국해 해수중의 일반세균수는 $0.4\times10\~2.0\times10^3/ml$, vibrio spp.는 $0.8\times10\~3.0\times10/ml$, 대장균군은 $0.9\times10\~l.3\times10/ml$였고, 외양으로 갈수록 일반세균은 적게 나타났으며, Vibrio spp.와 대장균군은 나타나지 않았다. 5. 동중국해에서 Vibrio spp.와 대장균군의 출현한 곳은 중국연안에 가까운 해역이였다.

  • PDF

인천연안 해역의 Vibrio속 세균분포 및 증식특성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 of growth of Vibrio spp. in Incheon coastal area)

  • 황경화;공용우;이제만;고종명;김용희
    • 환경위생공학
    • /
    • 제23권3호
    • /
    • pp.31-38
    • /
    • 200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 such as temperature, salinity, turbidity, pH and dissolved oxygen on the growth of Vibrio spp.. In this survey, total 56 seawater samples were obtained from 8 different sites of the Incheon coastal area during the periods from april 2008 to october 2008. Enumeration of Vibrio spp. was determined by using the most probable number(MPN) procedure. Isolation rates of V. parahaemolyticus, V. vulnificus, V. cholerae in all samples tested were 44.0%, 21.4% and 13.1%, respectively. The enumeration of Vibrio spp. was very low correlated with water temperature and pH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salinity, dissolved oxygen and turbidity. We found salinity to be the parameter most highly correlated with the enumeration of Vibrio spp. The highest rate of antibiotic resistance of V.vulnificus and V.parahaemolyticus was Cefazolin(11.5%), Ampicillin(70.8%), respectively.

전남 다도해 바다목장 비브리오속 세균의 계절적 분포 (Seasonal Distribution of Vibrio spp. in the Jeonam Archipelago Marine Ranching Ground)

  • 김말남;이한웅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29-235
    • /
    • 2007
  • 2006~2007년 전남 다도해 바다목장 내 9개 정점을 대상으로 표층수와 저층수에서 비브리오속 세균의 개체수를 측정하고, 군집의 종조성 및 우점종을 분석하였다. 계절별 비브리오속 세균의 개체수는 여름(2007년 6월) 표층수에서 5.4~93.2 cfu㎖-1, 저층수에서 1.0~53.1 cfu㎖-1로 4계절 중 가장 많이 검출되었으며, 해수온도가 낮은 겨울(2007년 1월)의 경우에는 1개 정점의 표층수에서만 0.2 cfu㎖-1의 비브리오속 세균이 검출되었다. 봄(2007년 4월) 조사에서 표층수는 0~11.9 cfu㎖-1, 저층수에서 0~8.3 cfu㎖-1, 가을(2006년 11월) 조사의 표층수는 0.1~21.4 cfu㎖-1, 저층수에서는 0~2.9 cfu㎖-1의 비브리오속 세균이 검출되었다. 비브리오속 세균 군집의 종조성은 V. parahaemolyticus, V. alginolyticus 및 V. cholerae non-01으로 조사되었으며, V. parahaemolyticus와 V. alginolyticus가 4계절 모두 분리되어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V. alginolyticus는 수온이 낮은 겨울에도 대부분의 정점에서 분리되어 다른 비브리오속 세균에 비하여 온도에 덜 민감한 종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경남 남부지역 양식어류 질병에 관한 역학적 연구 (The Epidemiological Study on fish Diseases in the Southern Area of Kyeognam)

  • 허정호;정명호;조명희;김국헌;이국천;김재훈;정태성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4-18
    • /
    • 2002
  • An epidemiological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state of fish diseases between aquaculture fishes in the area of southern Kyeongnam, especially Tongyeong-si, Geoje-si, and Goseong-gun. Examination for a total of 91 cases was carried out for a variety of fishes, including Japanese flounder(Paralichthys olivaceus), rock fish (Sebastes schlegeli), sea bass (Lateolabrax japonicus), sea breams(Pagrus major), and red drum (Sciaenops ocellatus) from November, 1999 to October, 2001. The investigation resulted in exploring 155 infectious diseases, including 62 Vibriosis, 16 Edwasiella infection, 11 Streptococcosis, 7 Pseudotuberculosis, 15 Scuticociliatida infection, 20 Gill flukes, and 9 Trichodiniasis. When the infection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fish species, Japanese flounder was infected by 30 Vibrio spp., 16 Edwardsiella tarda, 6 Streptococcus spp., 12 Scuticociliatida infection. In case of sea bass, 10 Vibrio spp. was able to isolate out of 10 outbreaks, on the other hand, rock fish was dominantly infected by gill flukes since it was observed 12 out of a total of 20 cases. With reference to seasonal fluctuation, Vibrio spp. infection was continually observed through all seasons but Edwardsiella septicaemia, Streptococcosis and Pseudotuberculosis was mainly isolated in summer and autumn when the water temperature was raised high. Scuticociliatida infection was frequently occurred from late autumn to early spring but gill flukes were watched all the year regardless of temperature. As regards, multiple infection, 47 out of 91 cases was Identified to have involved in more than 2 pathogens, especially Vibrio spp. was highly mixed with other pathogens since 42 out of 47 cases was mixed with Vibrio spp.

2005년부터 2006년 사이 우리나라 양식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세균성 질병에 대한 역학조사 (Epidemiological study of bacterial diseases of culture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from 2005 to 2006 in Korea)

  • 조미영;김명석;권문경;지보영;최혜승;최동림;박경현;이창훈;김진도;이주석;오윤경;이덕찬;박신후;박명애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61-70
    • /
    • 2007
  • 2004년 10월부터 2006년 8월까지 우리나라에서 양식되고 있는 넙치를 대상으로 세균성 질병의 발생률을 조사하기위한 역학조사를 실시하였다. 외관상 질병이 의심되는 개체를 포함하여 무작위로 총 1,271 마리를 채집하여 조사하였다. 검사개체중 738 마리에서 병원체에 감염되어 있었으며 이중 331 마리에서 366 균주가 검출되었다. 검출된 세균의 종류는 Vibrio spp. (42.1%), Streptococcus spp. (16.9%), Edwardsiella tarda (12.3%), Photobacterium damselae subsp. damselae (8.2%), Pseudomonas spp. (2.2%) 및 기타 (18.3%)로 나타났다. Vibrio spp. 및 P. damselae subsp. damselae는 연중 모든 계절에 검출되었으며 반면에 Streptococcus spp. 및 E. tarda는 주로 5월부터 검출되기 시작하여 11월까지 검출되었다. 검출된 세균 중에서 206건은 다른 세균 (3.6%), 기생충 (31.4%) 또는 바이러스 (41.7%)와 혼합감염 되어있었다; Vibrio spp. (n=21), Streptococcus spp. (n=13), Trichodina (n=76), Scutica (n=31), VNNV (n=112), VHSV (n=46).

굴과 Weakfish의 저온저장중 생균수 및 Microflora의 변화 (Changes in the Viable Counts and Microflora of Oyster and Weakfish during Cold Storage)

  • 박찬성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12-319
    • /
    • 1996
  • 굴(Crassostrea virginica)과 Weakfish(Cynoscion regalix)를 냉장(6$^{\circ}C$), 빙장($0^{\circ}C$), 부분동결저장(-4$^{\circ}C$) 및 동결저장(-2$0^{\circ}C$)온도에서 45일간 저장하면서 생균수 와 microflora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각 온도에서 저온저장중 굴로부터 255주, Weakfish로부터 240주, 합계 495주를 분리하여 microflora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저장직전의 생선에서 생균수는 굴이 4.9$\times$10/ sup 5/CFU/g, Weakfish가 $1.5\times$$10^4$CFU/$cm^2$였다. 저장직전의 굴에서는 Pseudomonas ll1III/IV가 67%, Vibrio가 20%를 차지하였다. Weakfish에서는 Acinetobacter가 40% Moraxella가 33%로서 주종을 이루었으며 Pseudomonas와 Vibrio는 아주 적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굴의 저온저장중 microflora는 저장온도에 큰 관계 없이 모든 저장온도에서 Pseudomonas lIII/IV-H가 전체 균주의 67.4%, Flavobacterium/Cytophaga가 9.3%, 다음으로는 Vibrio가 6.3%를 차지하였고 약 15%의 세균은 동정하지 못하였다. Weakfish의 저온저장중 microflora는 냉장, 빙장, 부분동결저장한 경우에 비호염성균인 Pseudomonas III/IV-NH가 전체 균주의 60~100%를 차지하였으며 동결저장한 Weakfish에서는 Moraxella가 전체 분리 균주의 40~60%를 차지하였다. 전체적으로 굴에서는 호염성 균주(pseudomonas III/ IV-H와 Vibrio)가 우세하였고 구균류가 분리되지 않았으나 Weakfish에서는 비호염균주(PseudomonasIII/IV -NH와 Moraxella가 우세하였으며 구균류가 4.6% 검출되었다. 저온저장한 굴과 Weakfish에서 Vibrio의 검출률은 굴에서 Weakfish보다 3배 높았으며 Listeria spp. 는 검출되지 않았으나 강한 용혈작용을 가진 균들이 각각 9주, 8주씩 분리되어 주의가 요망된다.

  • PDF

β-Lactamase (VPA0477) 유전자를 표적으로 Polymerase chain reaction에 의한 장염비브리오(Vibrio parahaemolyticus)의 검출 (Application of the β-lactamase (VPA0477) Gene for the Detection of Vibrio parahaemolyticus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 박권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740-744
    • /
    • 2014
  • In this study, the ${\beta}$-lactamase (VPA0477) gene was used as a new target for the PCR-based detection of Vibrio parahaemolyticus. Primers specific for the ${\beta}$-lactamase (VPA0477) gene of V. parahaemolyticus, were designed and incorporated into a PCR-based assay. The assay was able to specifically detect all of the 191 V. parahaemolyticus strains tested, but did not result in amplification of 39 other Vibrio spp. and non-Vibrio spp. strains tested. The detection limit of the assay was 10 CFU of V. parahaemolyticus RIMD2210633 from pure culture broth. The ${\beta}$-lactamase (VPA0477) gene-based assay developed in this study was sensitive and specific, and has great potential for the accurate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of V. parahaemolyticus in seawater or seafood samples.

서울시내 수산시장에 유통중인 젓갈류의 세균 분포 (Bacterial Distribution of Salt-Fermented Fishery Products in Seoul Garak Wholesale Market)

  • 함희진;진영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73-177
    • /
    • 2002
  • 2002년 3-5월 서울시 가락농수산물시장에서 구입한 젓갈류 72건(새우젓류 21건, 명태젓류 9건 및 조개젓류 9건, 오징어젓, 밴댕이젓 및 멸치젓 각각 7건, 황세기젓 5건, 꼴뚜기젓 3건 그리고 굴젓 및 갈치젓 각각 2건)을 대상으로 세균분포를 시험한 결과, 평균 염도는 17.2%, 1 ml당 일반세균수는 4,900, 대장균군수 44, 비브리오속균수 160, 포도상구균속균수 3,000 CFU/m1로 각각 집계되었고, 젓갈별 세균 분리 동정결과, 오징어젓에서 13주, 꼴뚜기젓과 추젓에서 각각 11주, 명란젓과 조개젓에서 각각 9주, 멸치젓에서 7주 등 총 93주의 세균이 분리되었다. 세균의 생화학적 분리 동정 결과 대장균군 35.5%(33/93), 비브리오속균 8.6%(8/93) 그리고 포도상구균속균 12.9%(12/93)로 분리되었고, 대장균군의 경우 E. cloacae가 15주로 가장 많았으며, 비브리오속균의 경우 V. alginolyticus가 5주, V. fluvialis가 3주, 포도상구균속균의 경우 S. lentus가 5주로 가장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