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pidemiological study of bacterial diseases of culture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from 2005 to 2006 in Korea

2005년부터 2006년 사이 우리나라 양식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세균성 질병에 대한 역학조사

  • Cho, Mi-Young (Pathology Team,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 Kim, Myoung-Sug (Pathology Team,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 Kwon , Mun-Gyeong (Pathology Team,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 Jee, Bo-Young (Pathology Team,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 Choi, Hye-Sung (Aquaculture Environment Institute, NFRDI) ;
  • Choi, Dong-Lim (Aquaculture Environment Institute, NFRDI) ;
  • Park, Gyeong-Hyun (South Sea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NFRDI) ;
  • Lee, Chang-Hoon (Jeju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NFRDI) ;
  • Kim, Jin-Do (Southern Regional Inland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NFRDI) ;
  • Lee, Joo-Seok (Southern Regional Inland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NFRDI) ;
  • Oh, Yun-Kyeong (Pathology Team,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 Lee, Deok-Chan (Pathology Team,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 Park, Shin-Hoo (Pathology Team,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 Park, Myoung-Ae (Pathology Team,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조미영 (국립수산과학원 병리연구팀) ;
  • 김명석 (국립수산과학원 병리연구팀) ;
  • 권문경 (국립수산과학원 병리연구팀) ;
  • 지보영 (국립수산과학원 병리연구팀) ;
  • 최혜승 (국립수산과학원 양식환경연구센터) ;
  • 최동림 (국립수산과학원 양식환경연구센터) ;
  • 박경현 (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 ;
  • 이창훈 (국립수산과학원 제주수산연구소) ;
  • 김진도 (국립수산과학원 남부내수면연구소) ;
  • 이주석 (국립수산과학원 남부내수면연구소) ;
  • 오윤경 (국립수산과학원 병리연구팀) ;
  • 이덕찬 (국립수산과학원 병리연구팀) ;
  • 박신후 (국립수산과학원 병리연구팀) ;
  • 박명애 (국립수산과학원 병리연구팀)
  • Published : 2007.04.30

Abstract

The epidemiological study was performed to survey the prevalence of bacterial disease of culture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from October, 2004 to August, 2006 in Korea. A total of 1,271 of fish samples were collected at random includes fish exhibiting clinical signs of the disease in question. The total 331 samples among 738 cases of infectious diseases were infected with 366 bacteria isolates including Vibrio spp. (42.1%), Streptococcus spp. (16.9%), Edwardsiella tarda (12.3%), Photobacterium damselae subsp. damselae (8.2%), Pseudomonas spp. (2.2%) or others (18.3%). Vibrio spp. and P. damselae subsp. damselae were continually isolated through all seasons but Streptococcus spp. and E. tarda were mainly isolated from May to November. The 206 cases were showed mixed infection with other bacteria (3.6%), parasites (31.4%) or virus (41.7%); Vibrio spp. (n=21), Streptococcus spp. (n=13), Trichodina (n=76), Scutica (n=31), VNNV (n=112), VHSV (n=46).

2004년 10월부터 2006년 8월까지 우리나라에서 양식되고 있는 넙치를 대상으로 세균성 질병의 발생률을 조사하기위한 역학조사를 실시하였다. 외관상 질병이 의심되는 개체를 포함하여 무작위로 총 1,271 마리를 채집하여 조사하였다. 검사개체중 738 마리에서 병원체에 감염되어 있었으며 이중 331 마리에서 366 균주가 검출되었다. 검출된 세균의 종류는 Vibrio spp. (42.1%), Streptococcus spp. (16.9%), Edwardsiella tarda (12.3%), Photobacterium damselae subsp. damselae (8.2%), Pseudomonas spp. (2.2%) 및 기타 (18.3%)로 나타났다. Vibrio spp. 및 P. damselae subsp. damselae는 연중 모든 계절에 검출되었으며 반면에 Streptococcus spp. 및 E. tarda는 주로 5월부터 검출되기 시작하여 11월까지 검출되었다. 검출된 세균 중에서 206건은 다른 세균 (3.6%), 기생충 (31.4%) 또는 바이러스 (41.7%)와 혼합감염 되어있었다; Vibrio spp. (n=21), Streptococcus spp. (n=13), Trichodina (n=76), Scutica (n=31), VNNV (n=112), VHSV (n=46).

Keywords

References

  1. Baeck, G.W., Kim, J.H., Gomez, D.K. and Park, S.C.: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treptococcus sp. from diseased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n Jeju island. J. Vet. Sci., 7: 53-58, 2006 https://doi.org/10.4142/jvs.2006.7.1.53
  2. 권문경, 박상언, 방종득, 박수일: 넙치, alichthys olivaceus에서 병원성 Photobac terium damselae subsp. damselae의 분리. 한국어병학회지, 18:205-214, 2005
  3. 김수미, 원경미, 우승호, 이화, 김은전, 최광진, 조미영, 김명석, 박수일: 질병의 증상을 보이는 해수양식 어류에서 분리한 비브리오 속 세균. 한국어병학회지, 18:133-145, 2005
  4. 김진우, 정승희, 박명애, 도정완, 최동림, 지보영, 조미영, 김명석, 최혜승, 김이청, 이주석, 이창훈, 방종득, 박미선, 서정수:2000년-2006년 하절기 양식어류의 병원체 감염 현황. 한국어병학회지, 19:207-214, 2006
  5. 김종수, 노섬, 허문수: 제주도 넙치양식장의 Edwardsiella tarda균의 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수산학회지, 19:173-181, 2001
  6. 김종훈, 김은희: 넙치(Paralichthys olivaceus) 병어에서 분리된 연쇄상구균의 다양성. 한국수산학회지, 36:654-660, 2003
  7. 문영건, 박근태, 손홍주, 이상현, 이정민, 허문수: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자치어 장관 백탁증 (Bacterial white enteritis) 원인균의 신속검출. 한국어병학회지, 17:159-169, 2004
  8. 방종득, 전세규, 박수일, 최윤정: 양식넙치에서 분리된 Edwardsiella tarda의 생화학적 및 혈청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어병학회지, 5; 29-35, 1992
  9. 손맹현, 박민우, 김응오, 임한규, 김대중: 넘치 양식 표준 지침서.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 pp. 1-2,2006
  10. 송진경, 김종훈, 김은희: 연쇄상구균의 표현형적 특성과 RAPD profiles 비교. 한국어병학회지, 16: 51-59, 2003
  11. 이근광, 김영길, 이재창: 양식넙치에서 분리한 Yersinia sp.의 일분 특성과 병원성에 관한 연구. 한국어병학회지, 10; 153-164, 1997
  12. 이덕찬, 김이청, 김지우, 박수일: Edwardsiella tarda extracellular products (ECPs)의 인위투여에 따른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생체 반응. 한국어병학회지, 18: 215-225, 2005
  13. 이덕찬, 이재일, 박찬일, 박수일: 해산 양식어류로부터 분리된 연쇄구균증의 원인균, Lactococcus garvieae에 대한 연구. 한국어병학회지, 14: 71-80, 2001
  14. 이정백, 노섬, 송춘복: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자에에서 분리한 장관백탁증의 원인균인 Vibrio sp. (INFL group)의 생물학적 및 생화학적 특성. 한국어병학회지, 8: 99-109, 1995
  15. 이창훈, 하동수: 양식넙치의 연쇄구균증. 한국어병학회지, 4:71-77, 1991
  16. 이화, 김수미, 박수일: 미성어 양식넙치, Paralichthys 에서 분리한 Vibrio iduhyoenteri의 표현형 및 유전형적 특성. 한국어병학회지, 19: 127-139,2006
  17. 오상필, 김대환, 이정재, 이창훈: 제주도 양식넙치의 세균성질병 발생상황(1991 년-1997년). 한국어병학회지, 11: 23-27, 1998
  18. 전세규: 넙치의 질병과 치료. 한국수산신문사, pp.112-122, 2005
  19. 최현숙, 이덕찬, 박수일: 철결핍 조건에서 배양한 Edwardsiella tarda의 면역학적 특성. 한국어병학회지, 19:45-54,2006
  20. 허문수, 송춘복, 이제희, 여인규, 전유진, 이정재: 제주산 양식넙치(Paralichthys olivaceus) 로부터 분리된 $\beta$-용혈성 연쇄구균($\beta$-Streptococcus spp.)의 특성. 한수지, 34:365-369, 2001
  21. 허정호, 정명호, 조명희, 김국헌,이국천, 김재훈, 정태성: 경남 남부지역 양식어류 질병에 관한 역학적 연구. 대한임상수의학회지, 19:14-18,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