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brio mimicus K-1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초

연안 해수에서 분리된 Vibrio mimicus K-1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Vibrio mimicus K-1 Isolated from Coastal Sea Water)

  • 고병호;이원재;이명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92-298
    • /
    • 1994
  • 식중독 원인균으로 알려진 Vibrio mimicus(V. mimicus)의 분포 상태와 이의 생리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1993년 1월부터 9월까지 민락동과 광안리 해수욕장 부근의 해수를 채취하여 V. mimicus의 월별 분포 상태를 실험하였으며, 여기서 분리된 균주 중에서 항생제 내성이 강한 균으로 분리, 동정된 V. mimicus K-1의 생리적 성질과 배양 특성을 조사하였다. 수온이 $16.3^{\circ}C$인 4월부터 검출되기 시작하여 8월까지 검출되었으나, 수온이 $15^{\circ}C$ 이하인 겨울철(1, 2, 3월)에는 전혀 검출이 되지 않았다. 분포 정도는 최소 0.4(MPN/100ml)에서 최고 70((MPN/100ml)으로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V. mimicus K-1은 $37^{\circ}C$, pH 7.5, 그리고 염도 $0.5\%$에서 각각 최대의 증식율을 보였다. 그리고 항생제 (colistin, erythromycin, bacitracin, tetracycline, penicillin)에 대해서 내성을 나타내었다. 자외선(30W, 50m)에 대해서는 상당히 내성이 약했으며, 70초간 조사 후에는 검출이 되지 않았다. 열에 의한 치사율은 $50^{\circ}C$에서 5.7분, $60^{\circ}C$에서 2.1분, 그리고 $70^{\circ}C$에서는 0.7분 만에 최초균수의 $90\%$이상이 사멸하였다.

  • PDF

금강 하구의 Vibrio cholerae non-O1과 Vibrio mimicus의 선택 (Ecology of Vibrio cholerae non-O1 and Vibrio mimicus in Estuary of Kum River, Korea)

  • 장수현;송대진;양송주;신일식;김영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5-22
    • /
    • 1995
  • 새로운 식중독 원인균으로 알려지고 있는 V cholerae non-O1과 V mimicus의 분포와 서식 조건을 밝히고자 금강 하구에서 1993년 3월 26일부터 1994년 2월 22일까지 수질 환경과 V cholerae non-O1 및 V mimicus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V cholerae non-O1은 해수 54개 시료에서 $16.7\%$, 뻘 49개 시료에서 $6.1\%$, 전체 $11.7\%$가 검출되었으며 V mimicus는 해수 54개 시료에서 $11.1\%$, 뻘 49개 시료에서 $10.2\%$, 전체 $10.7\%$가 검출되었다. 2. V cholerae non-O1과 V. mimicus는 수온 $24^{\circ}C$이상, 염도 $10\%o$ 이하의 기수에서 주로 검출되었으나, 수온이 $3.5^{\circ}C$인 1월에 뻘에서 검출되었다. 3. V cholerae non-O1과 V. mimicus의 서식에 영향을 주는 주요 인자는 온도, 염도 및 유기물질의 오염이며, V. cholerae non-O1은 V. mimicus보다 염도 변화에 대한 적응력이 더 높았다.

  • PDF

해수와 피조개에서 Vibrio mimicus K-1의 생존에 대한 보관온도의 영향 (Effects of Storage Temperature on the Survival of Vibrio mimicus K-1 in Seawater and Arkshell)

  • 고병호;이원동;안성기;김지희;이명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77-281
    • /
    • 1997
  • 식중독 원인균으로 알려진 Vibrio mimicus K-1를 피조개에 feeding시켰을 때 보관온도에 따른 균수변화를 측정하여 살아있는 패류에 오염되었을 때의 저온저항성과 증식양상을 조사하였다. 보관온도에 따른 균수변화는 해수에 보관하였을 때와 피조개에 feeding하였을 때 같은 온도에서의 균수변화가 다르게 나타났다. 즉, 해수에 보관(초기균수 $3.2\times10^7\;CFU/ml$)하였을 때는 균수가 급격히 감소하여 $5^{\circ}C$에서는 보관 5일만에 $10^{\circ}C$에서는 보관 10일만에 검출이 되지 않았으나, 살아있는 피조개에 feeding시켜 보관하였을 때는 균수의 변화가 비교적 안정하여 보관 10일동안 약 $1\~1.5-log-unit$가 감소하였다. 하지만 대조군으로 $10^{\circ}C서 탈각하여 보관하였을 때는 호기성균의 완만한 증가와는 달리 V. mimicus K-1의 균수는 급격히 감소하여 보관 7일만에 검출이 되지 않아 살아있는 패류에 Vibrio가 감염되었을 경우에는 저온에서 보관하더라도 Vibrio의 균수 감소에는 별 영향을 주지않았다. $20^{\circ}C$에서는 초기균수 $3.2\times10^7CFU/ml$가 보관 10일 후에는 $1.6\times10^6CFU/ml$로 균수의 변화가 안정하던 해수에서와는 달리, 피조개에 feeding시켜 보관하였을 때는 총 호기성 균수의 경우 급격히 증가하였고 V. mimicus K-1의 균수도 급격히 감소하여 보관 7일째부터는 검출이 되지 않았다.

  • PDF

Vibrio cholerae non-O1과 Vibrio mimicus의 생잔에 대한 염도와 온도의 영향 (Effects of Salinity and Temperature on the Survival of Vibrio cholerae non-O1 and Vibrio mimicus)

  • 장수현;송대진;양송주;신일식;김영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60-66
    • /
    • 1995
  • 새로운 식중독 원인균으로 주목을 받고 있고 수권에서 잘 검출된다고 알려져 있는 V cholerae non-O1과 V. mimicus를 대상으로 민물, 기수 및 해수에서 염도와 온도의 변화에 따른 균수의 증감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민물에서 V. cholerae non-O1은 $26\pm1^{\circ}C$보다 4와 $15^{\circ}C$에서 생잔기간이 길었으며 V. mimius는 4와 $26\pm1^{\circ}C$보다 $15^{\circ}C$에서 생잔기간이 길었다. 2. 기수에서는 두 균주 모두 15, 4, $26\pm1^{\circ}C$으로 생잔기간이 길었다. 3. 해수에서는 두 균주 공히 온도가 높을수록 생잔기간이 짧았으며, $4^{\circ}C$에서 실험조건 중 생잔기간이 가장 길었다. 4. 민물에서는 V. mimicus보다 V. cholerae non-O1의 안정성이 높았고, 기수에서는 V. cholerae non-O1보다 V. mimicus의 안정성이 높았으며 해수에서는 두 균 사이에 큰 차이가 없었다. 5. 염도와 온도의 변화는 V. cholerae non-O1과 V. mimicus의 생잔에 중요한 인자이다.

  • PDF

Overexpression and Characterization of Vibrio mimicus Metalloprotease

  • Shin, Seung-Yeol;Lee, Jong-Hee;Huh, Sung-Hoi;Park, Young-Seo;Kim, Jin-Man;Kong, In-S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0권5호
    • /
    • pp.612-619
    • /
    • 2000
  • To investigate the biochemical properties of V. mimicus metalloprotease, whose gene was isolated previously from Vibrio mimicus ATCC33653, overexpression and purification were attempted. The 1.9 kb of open reading frame was amplified by PCR from pVMC193 plasmid which ligated the VMC gene with pUC19 and introduced into Escherichia coli BL21 (DE3) using the overexpression vector, pET22b (+). The overexpressed metalloprotease (VMC) was purified with Ni-NTA column chromatography and characterized with various protease inhibitors, pHs, temperatures, and substrates. The purified VMC showed the proteolytic activity against gelatin, soluble and insoluble collagens, and synthetic peptides. Unlike the observations made with all metalloproteases originated from other Vibrio sp., the VMC did not hydrolyze the casein. The proteolytic activity was critically decreased when the VMC was treated with metal chelating reagents, such as EDTA, 2,2-bipyridine, and 1, 10-phenanthroline. In particular, the 71 kDa VMC exhibited the hemagglutinating activity against human erythrocyte. As the purified VMC was treated with $CuCl_2$ and $NiCl_2$ for the chemical modification of metal binding, the proteolytic activity and hemagglutinating activity were profoundly influenced. The multialignment analysis made on the reported Vibrio metalloproteases showed the difference of amino acid sequence similarity between the two distinctive classes of Vibrio metalloproteases.

  • PDF

기수에서 분리된 용혈독소를 생산하는 미분류 Vibrio sp.의 세균학적 특징 -1. V. mimicus와 유사한 Vibrio sp. D9의 세균학적 특성 (Bacteriological Characteristics of Unidentified Vibrio sp., Hemolysin Producer Isolates front Brackish Water -1. Bacteriological Characteristics of Vibrio sp., D9 (V. kumkang) Similar to V. mimicus)

  • 김영만;오희경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585-590
    • /
    • 2000
  • A hemolysin producing strain was isolated from Kum rivet estuary located in west part of Korea. In the process of identification the isolated strain was similar to V. mimicus but did not show characteristics of known Vibrio species; therefore, the strain was designated as Vibrio sp. D9 ( V. kumkang) tentatively and further identification study was carried out by comparing its bacteriological characteristics, Morphologically Vibrio sp. D9 was a typical straight roe with a polar flagellium. Among known Vibrio species no identical strains were found when using automatic bacteria identification system ($MicioLog^(TM)$system, release 4.0, Biolog Inc., USA) which evaluated the ability of metabolizing 95 kinds of carbon and nitrogen sources. Vibrio sp. D9 showed 18 and 13 different responses as compared to V. mimicus and V. cholerae, respectively. Clear hemolysis zones were observed with the strain against human and sheep blood agar plate, Hemolytic toxicity was confirmed by strong vascular permeability and fatal toxicity against mouse was also observed. Thus the strain was a pathogenic vibrio. Growth conditions for Vibrio sp. D9 were salinity of $0{\~}5.0{\%}$, pH of $6.4{\~}9.8$, temperature of $15{\~}41^{\circ}C$, respectively.

  • PDF

새우에서 분리된 Vibrio species 동정을 위한 VITEK 2 system방법과 species-specific PCR방법 비교 평가 (Comparative Evaluation of the VITEK 2 System and Species-specific PCR Methods for the Detection of Vibrio Species Isolated from Shrimp)

  • 이정민;이원준;김민주;조용선;이진성;이현진;윤상우;김근성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81-288
    • /
    • 2015
  • Vibrio 속에 속한 세균에 의한 식중독은 오염된 해산물 식품의 섭취로 인하여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그러므로 해산물을 날것으로 섭취하는 한국인의 특성을 고려할 때, 빠르고 정확한 Vibrio 검출기술은 식품위생 및 공중보건의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배지를 이용한 동정방법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생화학적 방법인 Vitek 2 system방법과 분자생물학적 방법인 species-specific PCR 방법을 사용하여 얻은 동정결과를 비교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5개의 Vibrio 표준균주와 16S rRNA gene sequencing 결과에 의하여 Vibrio 속으로 확인된 24개의 분리균주가 이용되었다. Vitek 2 system방법을 이용한 경우, 이와 같이 본 연구에 사용된 29개 균주 중 Vibrio 표준균주 2개(2/5, 40%), 16S rRNA gene sequencing 결과 Vibrio 속으로 확인된 분리균주 15개(15/24, 62.5%) 등의 총 17개 균주(17/29, 58.6%)가 Vibrio 종으로 동정되었다. 그리고 species-specific PCR방법을 이용한 경우, 위의 29개 균주 중 Vibrio 표준균주 5개(5/5, 100%), 16S rRNA gene sequencing 결과 Vibrio 속으로 확인된 분리균주 16개(16/24, 66.7%) 등의 총 21개 균주(21/29, 72.5%)가 Vibrio 종으로 동정되었다. Vitek 2 system방법과 species-specific PCR방법을 이용하여 동정된 결과를 비교하였을 때 표준균주 중 V. parahaemolyticus, V. mimicus 등의 2개(2/5, 40%), 새우분리균주 24개 중에서 16S rRNA gene sequencing 결과 Vibrio 속으로 확인된 분리균주 7개 (7/24, 29.2%) 등의 총 9개(9/29, 31%) 균주들에 대한 동정결과만이 일치하였다.

기수에서 분리된 용혈독소를 생산하는 미분류 Vibrio sp.의 세균학적 특징 -2. Vibrio mimicus와 유사한 Vibrio sp. E10의 세균학적 특성- (Bacteriological Characteristics of Unidentified Vibrio sp., Hemolysin Producer Isolated from Brackish Water -2. Bacteriological Characteristics of Vibrio sp. E10 Similar to Vibrio mimicus-)

  • 김영만;유홍식;오희경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545-550
    • /
    • 2002
  • 금강 하구에서 분리한 용혈독소를 생산하는 V. mimicus와 유사하지만 분류되지 않은 기수성 Vibrio속으로 추정되는 균주 Vibrio sp. E10 (V. kunsan)의 세균학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기본적인 생화학적 시험과 전자현미경 상의 형태에서는 V. mimicus와 유사하였지만 TCBS 배지 상의 colony 형태는 V. vulnifirus와 유사하였으므로 V. mimicus와는 차이를 보였다. Human과 sheep blood agar에서의 뚜렷한 용혈환과 rat에 피부혈관투과항진 작용으로 용혈독성이 있었으며, mouse에 대한 치사독성이 있었으므로 병원성이 확인되었다. 생육 가능한 환경 조건은 염도 0$\~$$4.5\%$, pH 6.2$\~$9.2, 온도 $14\~42^{\circ}C$이 었다. Vibrio sp. E10의 16S rDNA 염기서열은 10여종의 V. cholerae와 1종의 Vibrio mimicus의 염기서열과 $99\%$의 상동성을 보여 유사 종으로 판명되었다. 그러나 세균 자동동정기를 이용한 동정 결과, genus는 Vibrio 속으로 동정되었으나 species는 일치하는 균종이 없었다. 알려진 Vi-brio속 중에서 유사성이 높았던 V. mimicus와 비교해 볼 때 18종류의 항목이, V. cholerae와는 11종류의 항목이 다른 반응을 나타내어 미분류 균종으로 확인되었다.

비브리오의 병원성 인자에 관한 연구 (The Virulence Factors of Vibrio spp.)

  • 오양효;김영부;박영민;김민정;차미선;김영희;임은경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513-518
    • /
    • 1999
  • A total of 113 Vibrio sp. strains were examined for plasmid content which were subjected to digestion with restriction enzymes. About the 55% Vibrio spp. have the plasmid more than one. Most of these plasmid various derivatives ranged from $2.4\;kb{\sim}23\;kb$, especially two strains of V. mimicus and one strain of V. furnissii carried one high-molecular weight plasmid (molecular weight ranging between $70\;kb{\sim}100\;kb$). Results of restriction analysis for plasmid of this three strains were by no means the rule. For detection of tdh and ctx gene, the virulence factor involved in the pathogenesis, we carried out the TDH and CT assay, PCR amplification, and hybridization. A total 11 strains were produced TDH, involved in 9 strains of V. parahaemolyticus and 1 strain of V. alginolyticus from clinical isolates and 1 strains of V. mimicus from environmental isolates. In the experiments of tdh gene detection, in all, 3 strains of V. parahaemolyticus from clinical isolates and 2 strains from environmental isolates could be successfully amplified in 400 bp by PCR. The PCR results were consistent with DNA hybridization tests. In the experiments of CT assay, in all, 3 strains of V. cholerae from clinical isolate and 1 strain of V. cholerae from environmental isolates were observed CT-producing. These CT-producing strains amplified in 302 bp by PCR for the detection of ctx gene. All CT-producing strains hybridized with digoxigenin-labeled DNA probe, while CT-negative strains did not hybridize. Also hybridization tests results for detection of ctx gene consistent with PCR.

  • PDF

Pathogenic Vibrio spp. Isolated from the Gwangan Beach of Busan, 2002

  • Park Mi-Yeon;Kim Hyun-Jin;Chang Dong-Suck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6권3호
    • /
    • pp.105-109
    • /
    • 2003
  • Fifty four strains of pathogenic vibrios were isolated from the Gwangan Beach from May to October, 2002. The isolated vibrios were composed of 7 different species: Vibrio parahaemolyticus, V. cholerae non-O1, V. alginolyticus, V. vulnificus, V. hollisae, V. fluvialis, ane V. mimicus. In the detection rate, V. parahaemolyticus was most predominant as $46\%$(25/54). From the isolated strains, only 25 strains have hemolytic activity or 25 strains only proteolytic activity on agar plates. Eleven strains showed both hemolytic and proteolytic activity. No strains showed urease activity. All strains of V parahaemolyticus did not show hemolytic activity, while V. cholerae non-O1 strains showed $\beta$ hemolytic activity. Kanagawa phenomena of pathogenic vibrios did not accord with hemolytic activity of the culture supernatant at the late log phase. Some strains showed high hemolytic activity despite having proteolytic activity, but some weak hemolytic activities despite having no proteolytic a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