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bration Therapy

검색결과 156건 처리시간 0.026초

전신진동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보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 메타분석 (The Effects of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on Balance and Gait Ability in Stroke Patients: A meta-analysis)

  • 조운수;박세주;현지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171-179
    • /
    • 2021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에게 전신진동운동을 시행한 선행 연구들을 종합하고 분석하여 전신진동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보행 능력에 얼마나 효과적인지를 메타분석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문헌 검색을 위한 전자 데이터베이스는 국회도서관, 한국교육학술정보(RISS), 한국학술정보(KISS) 및 누리미디어(DBPIA)를 사용하였다. 2010년 1월 - 2020년 8월까지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한 전신진동운동 선행연구를 조사하였다. 연구의 질 평가는 RCT(Randomized Controls Trials) 연구는 Cochrane group이 개발한 Risk of bias 2(RoB2) 도구를 사용하였다. 개별 연구들의 효과크기를 산출하기 위해 R version 4.0.3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전체 효과크기는 0.40으로 나타났으며 전신진동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보행에 중간 정도의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균형의 효과크기는 0.44, 보행의 효과크기는 0.36으로 나타나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뇌졸중 환자에게 전신진동운동이 효과적인 중재임을 알 수 있었으며, 더욱 다양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발목 불안정환자에 대한 전신음파진동기와 토구를 이용한 불안정 지지면 운동의 효과 비교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Unstable Support Exercise Using Whole Body Sonic Vibrator and TOGU for Patients with Ankle Instability)

  • 김민규;양회송;정찬주;강효정;유영대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191-200
    • /
    • 2021
  • Purpose : Chronic ankle instability can lead to problems in balance and gait due to weakness of the ankle muscles and decreased proprioceptive sensation. Balance training that stimulates proprioceptors is necessary to improve ankle stability. We aimed to compare the effects of unstable support balance exercises using whole body sonic vibration and an aero-step (TOGU) on proprioception and balance in individuals with unilateral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Methods : Thirty-six participants with unilateral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were randomly recruited and divided into two groups (group 1 = sonic whole body vibration, group 2= TOGU). Individuals in each group participated in training for 5 weeks, 40 minutes per session, 5 times per week, and performed weight-bearing exercises in five postures on different unstable support surfaces. Proprioception was measured by digital inclinometer (Dualer IQ), and balance was measured by force platform (Biodex balance system). Results :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proprioception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within both group (p<.05).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also observed in the balance index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within both groups (p<.05). Conclusion :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for individuals with ankle instability, unstable support surface training using a whole body sonic vibrator and TOGU can have a positive effects on proprioception and balance ability.

Effect of Vibratory Stimulation on Recovery of Muscle function from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 Koh, Hyung-Woo;Kim, Cheol-Yong;Kim, Gye-Yoep;Kim, Kyung-Yoon;Kim, Soo-Geun;Lee, Hong-Gyun
    • 운동영양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3-50
    • /
    • 2012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ibratory stimulation on recovery of muscle function from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DOMS). Volunteers performed 3 set of 70 % maximal voluntary eccentric muscle contraction and induced DOMS. volunteers were allocated to one of three treatment group after DOMS : group I (control), group II (ultrasound), group III (vibration). Maximal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MVIC), Visual Analog Scale (VAS), Range Of Motion (ROM), Root Mean Square (RMS), Median frequency (MDF), Blood Serum Creatine Kinase (CK), Lactic dehydrogenase (LDH) were recorded at baseline, and 24, 48, 72 hours post-exercise. In MVIC measuremen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group III compared to group I (p < .05). In VAS measurements, there wer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group II and III compared to group I (p < .05). In ROM measurement, there was a statistically difference in group II and III compared to group I (p < .05). In Muscle Volume with Ultrasonography measuremen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ny groups (p > .05). In RMS and MDF measurement, there wer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group II and III compared to group I (p < .05). In Blood samples of CK and LDH measurement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ny groups (p > .05). From the above result, Vibratory stimul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recovery of muscle function from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Further studies should be undertaken to ascertain the more effectiveness of vibratory stimulation and may be a promising treatment modality.

A Comparative Study on the Effect of Whole Body Vibration on DOMS, Depending on Time Mediation

  • Lee, Jun Cheol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0권1호
    • /
    • pp.48-60
    • /
    • 2018
  • Th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during a total of nine sessions, that is, 3 sessions over 3 days. The CK levels decreased depending on the experiment session ($P{\leq}0.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P{\leq}0.05$)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Pressure threshold levels significantly decreased depending on the experiment session and the treatments had higher eff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VAS figures significantly decreased depending on the experiment session ($P{\leq}0.005$) and the treatments had higher eff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verified the contention that applying vibration treatment immediately after inducing DOMS is more effective in terms of pressure pain threshold (PPT) and VAS, but not CK levels, than applying the treatment 24 hours after inducing DOMS. In additio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applying vibration treatment immediately after inducing DOMS can be used as a DOMS treatment method.

원심성 운동 전 진동 훈련이 하퇴근육의 지연성 근통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Vibration Training Pre-eccentric Exercise on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of Triceps Surae)

  • 김은숙;김미화;조유미;이완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5789-5796
    • /
    • 2011
  • 본 연구는 왼쪽 하퇴삼두근의 원심성 운동으로 인한 지연성 근통증에서 진동훈련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전에 규칙적인 하지 운동에 참여하지 않은 21명의 신체 건강한 남녀를 대상으로 진동훈련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었다. 통증척도, 발목 족저굴근의 근력, 하퇴삼두근의 둘레, 혈중 CK 수치를 원심성 운동전, 24시간, 48시간, 72시간 후에 측정하였다. 통증척도는 지연성 근통증 유발 후 48시 시점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측정시기에 따라 집단 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족저굴근의 근력은 진동훈련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측정시기에 따라 집단 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하퇴삼두근 둘레는 진동훈련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측정시기에 따라 집단 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혈중 CK 수치는 진동훈련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측정시기에 따라 집단 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본 연구결과로 원심성 운동 전 진동훈련은 통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익숙하지 않은 활동을 하거나, 스포츠 활동에서의 지연성 근통증을 예방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 제시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체성감각유발전위검사에 대한 고찰 (Review of Somato Sensory Evoke Potential Test)

  • 김명철;김진상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4권4호
    • /
    • pp.64-74
    • /
    • 2002
  • The SSEP(SomatoSensory Evoke Potentials) test is a valid and repeatable technique which correlates with clinically assessed joint position & vibration sense, skin touch & pressure sense. Also SSEP study is a simple and quantitative test, and has been used to evaluate the sensoty system along the somatosensory pathway from peripheral sensory receptor to the cortex. The ascending pathway of SSEP has been know to be posterior column-lemniscal pathway, but not without controversy. There are two kind of test mathods : one of test is median nerve SSEP and other test is posterior tibial nerve SSEP. Recently, SSEP used to performed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dermatomal SSEP(D-SSEP) and segmental SSEP(5-SSEP) for the diagnosis of lumbasacral radiculopathy, and it can be measure of ingual ahd palatine evoked potentials & indicator of medullary function useful for the diagnosis of brain death.

  • PDF

진동감각 자극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ibration Stimulation Therapy on Neglect of Stroke Patients)

  • 전소현
    •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87-95
    • /
    • 2018
  • 목적 진동자극기는 타 치료도구에 비하여 임상환경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으며, 팔 활성화훈련을 수동적으로 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다음과 같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최근 진동감각에 관련한 연구는 활성화 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환측 상지의 손에 제공된 진동감각이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뇌졸중으로 인한 편측무시 증상을 가진 환자를 대상으로 2018년 10월 19일부터 동년 11월 7일가지 약 3주간 실시하였다. 연구 설계는 개별실험 연구방법(single-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design) 중 ABA설계를 사용하였으며, 평일 하루에 한 번 총 18회로 (기초선 과정 4회, 중재 과정 6회, 기초선 회귀 과정 3회)를 실시하였다. 대상자 선정을 위하여 MMES-K를 사용하였으며 편측무시 검사도구로는 선 나누기 검사(Line Bisection test; LBT), 알버트 검사(Albert's test), 별 지우기 검사(Star Cancellation Test: SCT)를 사용하였다. 분석을 위해서 기초선과 중재기의 회기 별 측정값은 그래프를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분석하였고,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세 가지 평가결과 모두 기초선 기간보다 훈련 기간에 놓친 오류의 개수가 감소하였고, 훈련 후에도이 감소는 유지되었다. 선 나누기 검사에서 평균 $4.5{\pm}1$개 누락에서 평균 $2{\pm}1.2$개 누락 그리고 평균 $0.6{\pm}0.5$개 누락으로 오차가 감소하였다. 알버트 검사 결과, 평균 $22.5{\pm}1.9$개 누락에서 평균 $8{\pm}7.3$개 누락 그리고 평균 $0.3{\pm}0.5$개 누락으로 오차가 감소하였다. 별 지우기 검사에서는 평균 $26{\pm}4.6$개 누락에서 평균 $21.8{\pm}1.7$개 누락 그리고 평균 $20{\pm}0$개 누락으로 오차가 감소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진동감각 자극치료가 편측무시 증상 개선에 지속적인 효과가 있다는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의 연구에서는 객관성을 높이기 위한 보다 체계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중재효과를 더욱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다양한 중재법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색채치료(色彩治療)와 한의학(漢醫學)에서의 색(色)의 적용(適用) (Color therapy and application of color to oriental medical science)

  • 박승림;강정수
    • 혜화의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79-102
    • /
    • 2003
  • It has been believed that the human body can be effected by color, sound, smell, and taste - each of them is based on the original character. Out of these elements, the color can be a mediation that absorbs energy into human body and adapts it to the creatures whose life are definitely based on the solar energy. This thesis makes a study of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color to the oriental medical science by researching the color psychology and therapy which are studied in the west medical science, the recognition and application of color developed from orientalism, and the opinion of color in the oriental medical science. Color therapy is one of the psychological treatment techniques that are able to recover and maintain the health with the rays of the sun rays and the color. The light and the color have its energy that may relax, harmonize, encourage, or excite a human being. This is because the wavelength and the vibration of each color will take effects to human body. The core energy of absorbing and distributing the color vibration is made in the 7 "chakras" in the body, which are the pith and marrow of bio-energy directly connected with the center of the nervous system. There are several methods in the color therapy - the treatment of solar ray, the color-bath, the water-therapy using color energy, the inducement of the solar energy into the body, the acupuncture, the therapy of crystal and jewel, and the self-suggestion dependent upon the color. The color therapy can help us to keep our balance by changing the emotion into the positive energy that will cure the disease with color. As a result, this method not only must be useful to cure physical disease, or develop into good health but also will be used in conforming itself to the mental disease. The color therapy mainly uses the eight colors, which are made by mixing Red, Yellow and Blue basic colors in the field. They are never used in the treatment, but they will go along with complementary colors. This rule is closely connected with the theory of yin and yang which lies at the root of oriental philosophy, and with the treatment principle of oriental medical science whose field is focused on the balancing the body mentally as well as physically. In the East, it is the Obangsaek - the color of blue, red, yellow, white, and black in the theory of yin and yang and the five elements that have been used in helping people having trouble with their health for a long time. In the view of the oriental medical science, these five colors attached the theory of five-elements have been very useful to the physiology, the pathology, or the diagnosis, and been applied to the medical treatment, combining themselves with a five-taste in medicinal herbs. Since the study of color and human physiology has been made in some different interest and fields these days, it goes to prove that the different function of color we couldn't have got before becomes very useful to the medical science. The color must be worth researching the diversity for applying itself to the oriental medical science.

  • PDF

뇌성마비 아동의 진동 자극 훈련이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ibration Stimulation Training on Upper Extremity Function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강셋별;김만제;유두한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3-33
    • /
    • 2023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경직성 편마비 뇌성마비 후기 아동의 위팔두갈래근에 진동자극을 적용한 훈련이 상지의 기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13세에서 15세 사이의 경직성 편마비를 가진 뇌성마비 아동 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개별대상자 실험연구 방법 중 다중 기초선 개별실험연구를 이용한 AB 연구 설계를 사용하였으며, 중재기간 동안 진동자극은 마비측 손에 제공되었다. 상지의 기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된 평가는 라파엘 스마트 보드는 매 회기 별 중재 후 평가를 실시하였고, 젭슨-테일러 손 기능 평가(Jebsen-Tayler hand function test)와 운동 활동 척도 검사(Motor Activity Log; MAL)를 실험 전, 후로 실시하였다. 결과 : 라파엘 스마트 보드로 매 회기 상지기능의 부드러움과 종합점수를 측정한 결과 대상자 3은 평균값의 변화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없었고 대상자 1, 2는 평균값에서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 중재 전후로 평가한 젭슨-테일러 손 기능 평가 및 운동 활동 척도 검사에서는 대상자 모두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결론 : 진동자극을 적용한 훈련이 마비측에 대한 경험이 적은 편마비를 가진 아동에게 상지 기능과 움직임을 증진시킬 수 있는 긍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수동진동을 융합한 슬링운동이 뇌졸중환자의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assive Vibration Convergence Sling Exercise on the Balance and Gait of Patients with Stroke)

  • 장현진;박치복;김병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57-63
    • /
    • 2020
  • 본 연구는 수동진동을 융합한 슬링운동이 뇌졸중환자의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1회 35분 주3회 6준간 실시하였다. 슬링운동 실험군과 대조군 각각 8명으로 나누었다. 균형과 보행을 측정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중재 후 군간 비교에서 눈 뜨고 서기와 눈 감고 서기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중재 전후 눈 뜨고 서기, 눈 감고 서기, 안정성 한계, 보행 속도에서 군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진동슬링 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을 증진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사료된다. 향후 많은 대상자와 다양한 주파수, 효과적인 운동기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