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spa velutina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1초

Attraction of the Invasive Hornet, Vespa velutina nigrithorax, by using Bacillus sp. BV-1 Cultures

  • Lim, Da Jung;Lee, Jeong Eun;Lee, Jin Sil;Kim, Iksoo;Kim, In Seon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04-109
    • /
    • 2019
  • BACKGROUND: The invasive hornet Vespa velutina nigrithorax has becomes a public concern in rural and urban South Korea. The technologies are necessary to develop a way to counter V. velutina. In an effort to develop a way to counter V. velutina, we found that a bacillus strain, named Bacillus sp. BV-1, produces volatile compounds that attract V. velutina. METHODS AND RESULTS: Field trials of V. velutina attraction were performed using plates and traps containing BV-1 cultures grown on sugar medium. When the sugar medium and sugar-grown BV-1 cultures in the plates were placed close together, V. velutina visited preferably the plates with the BV-1 cultures. Significantly more V. velutina were caught in the traps containing BV-1 cultures than in those containing only sugar medium. Headspace solid-phase microextraction coupled with GC/MS analysis of BV-1 cultures detected 2-methyl-1-propanol, 3-methyl-1-butanol, 3-methylbutanoic acid, ethyl hexanoate, 2-pheylethanol, ethyl octanoate, and ethyl decanoate as the major volatiles. CONCLUSION: BV-1 cultures were suggested as potential agents for managing V. velutina as they produce volatile compounds that attract the hornet.

Occurrence of Hymenoptera (wasps and bees) and their foraging in the southwestern part of Jirisan National Park, South Korea

  • Choi, Moon Bo;Kwon, Ohseo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8권3호
    • /
    • pp.367-374
    • /
    • 2015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occurrence and foraging of social and other wasps and bees in Jirisan National Park (JNP, South Korea), in particular in an apiary. Sixty one traps were placed in the southwestern part of JNP to identify social wasps from July to September 2014, and the damage to the apiary caused by wasps or bees was observed once a month from May to December 2014 between 10 a.m. and 5 p.m. In total, 10 species of Vespidae were collected by trapping. Vespa crabro was the most abundant (245 individuals, 28.3%), followed by Vespa velutina (162 individuals, 18.7%). In the apiary, however, V. velutina was the most frequent species. V. velutina visited a maximum of 167 times a day in September, which corresponded to one visit in 2.5 min. Accordingly, these data are in line with the most serious impact of V. velutina on the apiaries in South Korea. V. simillima was the second most frequent species; both Vespa species hawked honeybees. Even though the occurrence of V. mandarinia was low, this species caused serious damage by mass slaughter of honeybees. The occurrence of V. crabro, V. analis and V. ducalis was quite low and their impact on honeybees was negligible. There have been few reports of V. dybowskii foraging for honeybees, but they are considered to be a new pest because their impact on apiaries is considerable. Most Vespa species attacked the apiary from June to October, with a maximum in September. However, V. velutina visited until November to early December. Vespula species are not more serious pests than Vespa species, but many adults were observed stealing honey from beehives. Polistes, Orancistrocerus, and Bombus species had no impact on honeybee colonies in the apiary.

환경공간정보를 고려한 어린이공원 내 말벌속(genus Vespa) 출현 경향 분석 (cological Characteristics of Hornets(genus Vespa) Considering Environmental Spatial Information in Urban Children's Parks)

  • 김휘문;김성열;송원경;최문보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506-514
    • /
    • 2019
  • 도시생태계는 기존 자연생태계와 달리 야생생물 및 인간이 함께 공존하는 상호복합적 환경을 제공한다. 그러나 도시 녹지 및 공원에 출현하는 말벌속(genus Vespa)은 도시생태계에 긍정적인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도시민에게 물리적 심리적 피해를 초래하는 불균형을 야기하기도 한다. 특히 어린이공원은 접근성이 높아 도시민 및 어린이가 쉽게 이용하는 도시 녹지이며 말벌속이 거점 및 서식지로 활용하는 공간임에도 아직까지 어린이공원에 출현하는 말벌속에 대한 서식환경 및 출현 특성을 공간적으로 분석한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말벌속의 생활사 기간을 고려해 2018년 4월부터 11월까지 32주간 천안시 어린이공원 27개소 내 말벌트랩을 설치해 말벌(Vespa crabro flaVofasciata), 좀말벌(Vespa analis parallela), 장수말벌(Vespa mandarinina), 꼬마장수말벌(Vespa ducalis), 등검은말벌(Vespa Velutina nigrithorax)을 포획하고 출현 종 구성 및 어린이공원의 입지 특성 및 환경공간정보를 고려한 말벌속의 출현 경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기간 말벌속은 총 818개체가 포획되었으며, 종별로는 좀말벌 290개체(35.4%), 말벌 260개체(31.8%), 꼬마장수말벌 100개체(12.1%), 장수말벌 87개체(10.6%), 등검은말벌 81개체(9.9%) 순으로 포획되었다. 대부분의 말벌속은 계칩(啓蟄) 이후 5~6월에 여왕벌 위주로 포획이 이루어지다가 분업기인 6월 중순부터 포획 개체 수가 급감한 공통적인 특징이 있으나, 등검은말벌은 타 말벌속의 쇠퇴기가 이미 시작된 10월 3주차부터 80% 이상 포획되어 계절적 차이를 보여주었다. 어린이공원 입지별 말벌속 포획 개체 수를 분석한 결과 포획량 상위 6개소에서 363개체(44.3%), 하위 6개소에서 35개체(4%)가 포획되어 확연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상위 6개소의 평균 NDVI(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는 0.79로 하위 6개소의 평균 NDVI인 0.38과 유의한 평균간 차이를 보였으며(t=2.67*, *=p<0.05), 주변 토지이용이 초지 혹은 나지일 경우 말벌속 포획 빈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도시 내 녹지 및 공원에 출현하는 말벌속의 생태적 기본 특성을 확인한 기초 연구로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효율적인 도시 녹지 관리를 위한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꿀벌 해충 등검은말벌 방제를 위한 화학 살충제 이용 가능성 평가 (Evaluation of The Susceptibility of Several Insecticides to Honey Bee Pest, Vespa velutina nigrithorax (Hymenoptera: Vespidae))

  • 홍동의;정철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3권1호
    • /
    • pp.13-23
    • /
    • 2024
  • 등검은말벌은 우리나라 뿐 아니라 유럽지역에 침입한 꿀벌의 중요한 포식해충이다. 양봉가들이 살충제를 활용하여 밀도 억제를 시도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실현가능하고 과학적 방법과 적용 가능성이 정형화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양봉가들이 주로 사용하는 살충제를 가지고, 등검은 말벌의 유충과 성충의 살충율과 반응 패턴을 조사하였다. Clothianidin, Dinotefuran, Carbosulfan은 처리 후 30분 내 70% 이상의 살충률을 보였으며, Bifenthrin, Cartap hydrochloride의 상대적으로 살충률이 낮았다. Clothianidin, Dinotefuran, Carbosulfan의 반수치사약량(LD50)은 각 0.29, 0.65, 2.21 ㎍/bee이었다. 5령 유충에 대한 24시간 간격으로 3회 연속 섭식 처리를 했을 때, 2일이후에 약효가 나타났고 72시간 후에는 모두 70% 이상 살충률을 보였다. 등검은말벌의 반수치사약량은 양봉꿀벌의 것보다 10-100배 더 높았다. 향후 이 살충제를 말벌 방제에 이용할 수 있을지 추가적 검토가 필요하다.

등검은말벌과 꿀벌의 장내 세균 군집 비교 (Intestine Bacterial Microbiota of Asian Hornet (Vespa Velutina Nigrithorax) and Honey Bee)

  • 김의연;서정원;양소희;김인선;구연종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35-140
    • /
    • 2018
  • 한국에서 말벌은 양봉 산업에 큰 영향을 미치는 종이다. 특히 비교적 최근에 전국적으로 번식하는 말벌 종인 등검은말벌 (Vespa velutina nigrithorax)은 작은 체구에도 불구하고 높은 사냥 능력으로 꿀벌을 공격하여 양봉 업계에 큰 피해를 주고 있다. 그러나 이 새로운 침입 종에 대한 연구는 아직 시작단계에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등검은말벌의 장내 박테리아 군집을 조사하고 이 결과를 꿀벌의 장내 박테리아 군집과 비교하여 등검은말벌의 방제를 위한 자료로 이용하고자 했다. 아시아 말벌과 꿀벌 장의 박테리아 게놈 DNA를 수집하여 16S rDNA를 증폭시켜 가변 부위인 V3, V4 염기서열을 판독 하였다. 계통별 분석결과 목 (order) 수준에서 Flavobacteriales는 등검은말벌에서 가장 우점인 박테리아였고, Aeromonadales와 Pseudomonadales가 그 뒤를 이었다. Flavobacteriaes는 꿀벌의 박테리아 군집과 비교했을 때 등검은말벌에서 증가하였으며, Aeromonadales와 Pseudomonadales는 우점종이지만 꿀벌에 비해 낮은 점유율을 보이는 등 두 개체 간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이번 연구를 통해 이전에 동정되지 않은 등검은말벌 장 박테리아의 16S rDNA 염기 서열을 분석하였고, 이들 박테리아는 Thalassomonas, Caedobacter, Vampirovibrio, Alkaliphilus 및 Calothrix 속으로 분류되었다.

꿀벌 개체수 감소를 예방하기 위한 등검은말벌 분포도 분석 및 시각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and Visualization of Vespa velutina nigrithorax Distribution to Prevent the Decrease of Honeybee Population)

  • 이소영;홍석민;신용태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399-401
    • /
    • 2023
  • 최근 꿀벌 집단 실종이 잇따라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뚜렷한 원인은 없으나 꿀벌응애류, 말벌류에 의한 폐사와 이상기후가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추측하고 있는 원인 중 꿀벌 봉군의 약화 요인으로 작용하는 등검은말벌의 분포도를 시각화하여 꿀벌의 개체 수 피해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Distribution of Social Wasps in Two Metropolitan Cities (Busan and Daegu) of South Korea

  • Kim, Chang-Jun;Choi, Moon Bo
    • Proceeding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of the Republic of Korea
    • /
    • 제2권2호
    • /
    • pp.101-107
    • /
    • 202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ocial wasps' urban distribution tendency based on 10 species found in two metropolitan cities (Busan and Daegu) of South Korea. There 10 species included six species (Vespa mandarinia, V. ducalis, V. crabro flavofasciata, Vespula koreensis koreensis, Parapolybia indica, and Polistes snelleni) of forest dwellers that inhabited urban main forests and satellite forests, two species (V. simillima simillima and V. analis parallela) of facultative dwellers that nested at diverse sites of urban areas with greater preference for urban forest, and two species (V. velutina nigrithorax and P. rothneyi koreanus) of urban dwellers that nested at almost all sites, including urban and forest areas. These urban dwellers were found to adapt well to an urban environment based on their far higher rate of urban nesting compared to facultative dwellers. When distribution tendencies of facultative dwellers and urban dwellers in Busan and Daegu were compared, a regular distribution was mostly observed in Busan with a dense forest network. For Daegu that lacked forest connectivity, the greatest distribution of species was found in the nearby urban forest. For Daegu, a city further away from forests, urban dwellers occurred far beyond forest sites compared to Busan with a dense forest 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