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ry Small Aperture Terminal (VSAT)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9초

A Ka-Band 6-W High Power MMIC Amplifier with High Linearity for VSAT Applications

  • Jeong, Jin-Cheol;Jang, Dong-Pil;Yom, In-Bok
    • ETRI Journal
    • /
    • 제35권3호
    • /
    • pp.546-549
    • /
    • 2013
  • A Ka-band 6-W high power microwave monolithic integrated circuit amplifier for use in a very small aperture terminal system requiring high linearity is designed and fabricated using commercial 0.15-${\mu}m$ GaAs pHEMT technology. This three-stage amplifier, with a chip size of 22.1 $mm^2$ can achieve a saturated output power of 6 W with a 21% power-added efficiency and 15-dB small signal gain over a frequency range of 28.5 GHz to 30.5 GHz. To obtain high linearity, the amplifier employs a class-A bias and demonstrates an output third-order intercept point of greater than 43.5 dBm over the above-mentioned frequency range.

VSAT 기반 위성통신 시스템에서 인터넷 서비스 제공을 위한 계층 간 프로토콜 연동 구조 (Interconnection Architecture of Cross-Layer Protocols to Provide Internet Services in VSAT Based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s)

  • 김지형;노재원;조성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1권10호
    • /
    • pp.1190-1196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VSAT 기반 위성통신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인터넷 서비스 제공을 위한 계층 간 프로토콜 연동 구조 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구현하여 제안된 모델의 동작을 검증한다. VSAT 기반 위성통신 시스템은 대부분 DVB-S2 표준을 사용한다. 그러나 DVB-S2는 방송 서비스 중심으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IP 기반 인터넷 프로토콜을 지원하기에는 비효율성이 많이 존재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계층 2 프로토콜인 generic stream encapsulation (GSE)가 제정되었다. 본 논문은 IP 프로토콜과 GSE 프로토콜과의 연동, GSE 프로토콜과 DVB-S2와의 연동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또한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제안된 계층 간 연동 프로토콜을 구현하고 NI사의 universal software radio peripheral (USRP) 및 상용 DVB 수신기를 통해 구현된 내용의 동작을 검증한다.

VSAT 데이터 통신을 위한 묵시적 예약 방식의 다중접속 기법 (Multiaccess Scheme with Implicit Reservation for VSAT Data commmunication)

  • 이창건;최양희;정선종;김종상
    • 전자공학회논문지A
    • /
    • 제31A권7호
    • /
    • pp.1-16
    • /
    • 1994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multiple access scheme for VSAT(Very Small Aperture Terminal) data communications. The proposed scheme has better performance in terms of delay throughput than Controlled Multiaccess Scheme which has excellent performance. The proposed scheme use the spare reservation method, adaptation method to offered load, and fixed bandwidth reservation method.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performance using simple queueing model and present the simulation results. When network traffic is very low, the new scheme and the controlled multiaccess scheme have almost the same access delay characteristic. As the network load becomes higher, the new scheme's access delay gain becomes larger. Futhermore, even when the network traffic is very high it is possible to access satellite link within the delay similar to one round-trip delay. In addition to access delay performance enhancement, the new scheme has facility that supports fixed bandwidth reservation. So it shows more enhanced performance in the environment that stream traffic is dominant such as in VSAT communication environment.

  • PDF

VSAT 송신전력제어기 성능 분석 (Efficiency Analysis for Transmission Power Controller of VSAT)

  • 홍성택;신강욱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6년도 제37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D
    • /
    • pp.1905-1906
    • /
    • 2006
  • VSAT(Very Small Aperture Terminal)는 일반 가정이나 기업에서 인공위성을 이용해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초소형 위성통신장비로 통신 인프라가 갖춰지지 못한 산간 오지지역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처리해야 하는 곳을 중심으로 최근 수요가 늘고 있다. 위성 통신용으로 Ku Band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전파가 대기권을 통과할 때 강우에 의한 감쇠를 많이 받게 되며, 회선 품질에 매우 심각한 영향을 주게 된다. 이러한 신호감쇠에 대한 보상방법으로 비콘신호의 세기를 분석하여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VSAT 단말지구국의 송신전력에 비례하여 출력을 제어함으로써 데이터 전송환경의 변화에 따른 전파의 세기가 감쇠되는 것을 보상하도록 VSAT의 Outlink 수신레벨을 감시하여 정해진 방법에 의해 VSAT의 Tx Attenuation을 조정하여 안정적인 위성링크 상태를 보장하도록 하는 기능과 호출 및 Event 발생시간을 저장함으로 데이터의 검보정에 활용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VSAT 송신전력 제어기를 개발하였으며, 단말지구국에 설치하여 운영된 데이터를 분석하고자 한다.

  • PDF

Ku 밴드 VSAT 반사경 안테나의 설계 및 복사특성 해석 (Design and Analysis of Ku Band VSAT Reflector Antennas)

  • 최학근;이돈신;최학윤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39-46
    • /
    • 1993
  • 본 논문에서는 Ku 밴드 VSAT 안테나로서 효율 60% 이상, 사이드로블 포락선 29-25 $log\theta$를 만족하는 저 사이드로브 오프셋 파라볼라 반사경 안테나를 설계하고 시작했다. 안테나의 해석을 위해서는 Zernike 다항식을 이용한 새로운 급수전개법을 적용하였다. 시작안테나의 복사패턴 측정치는 이론적 계산치에 근접하는 것으로 타나탔으며, 첫번째 사이드로브 레벨을 제외하고 이득, 효율 및 사이드로브 포락선 등은 설계사양을 충분히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인덕티브 창 구조를 이용한 VSAT 장비용 도파관형 저손실 대역통과 여파기의 설계 (Design of the waveguide low-loss bandpass filters using the inductive window structures for the VSAT system)

  • 임재봉;박준석
    • 전자공학회논문지A
    • /
    • 제32A권7호
    • /
    • pp.43-50
    • /
    • 1995
  • In this paper, the variational method are used for the filter analysis methods and a CAD program for the design of the waveguide low-loss bandpass filters using inductive window structures for the VSAT(Very Small Aperture Terminal) system has been developed based on the passband correction method combined with fiter synthesis procedures. Using the developed CAD program, 0.01dB equi-ripple chebyshev type 6-section bandpass filters which are sued in the VSAT system operating nationally are designed for the purpose of the Down-link of 12.75~13.25GHz and the Up-link of 14.0~14.5GHz, fabricated and mesured. The measured results are good agreement woth the theoretical resuls.

  • PDF

VSAT용 14.0-14.5 GHz 3와트 SSPA의 설계 및 제작연구 (Design of 14.0-14.5 GHz 3Watt SSPA for VSAT Applications)

  • 전광일;박진우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920-927
    • /
    • 1994
  • 본 논문에서는 소형, 저가격으로 데이터와 음성 신호의 양방향 전송을 위한 VSAT용 14.0~14.5GHz3Watt SSPA의 설계와 실험결과를 기술하였다. 설계된 SSPA는 VSAT에서 요구되는 성능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저잡음 GaAs FET를 이용한 두단의 저잡음 증폭기, 중전력 GaAs FET를 이용한 두단의 중전력 증폭기, \ulcorner시 고출력 증폭을 위하여 내부 정합된 전력 GaAs FET와 3dB branch line coupler를 이용한 balanced 증폭기를 포함하는 삼단 전력증폭기로 구성 하였다. 제작된 SSpA의 특성으로 소신호 전력이득 42dB, 잡음지수 7dB, 1dB 이득 억압점에서 출력 신호 35dBm. 그리고 입출력 VSWR로 2.0 그리고 1.5를 측정할 수 있었다.

  • PDF

소형위성지구국(VSAT)허가 제도에 관한 정책 연구 (A study on policy of VSAT (Very Small Aperture Terminal) license system)

  • 오갑근;이상윤;홍완표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172-177
    • /
    • 2009
  • 무궁화위성1호가 발사되어 운용 된지 13년이 되었다. 통신위성은 국가기간망의 구축은 물론 인터넷 서비스, 위성방송서비스 등 일반 이용자들에게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큰 역할과 기여를 하여 오고 있다. 유선초고속인터넷 가입자망의 보급확대와 함께 위성인터넷 가입자의 급속한 감소 등으로 어려운 극면에 처하기도 하였으나 위성통신은 여전히 국가 중요 통신망 구성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최초의 통신위성이 발사된 후 수개의 상업용통신위성이 발사되어 운용되고 있으나 위성통신서비스의 제도는 제자리 걸음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위성통신서비스 중 소형위성통신기지국에 대한 서비스 제공현황과 제도운용현황을 토대로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한 정책적대안을 제시한다.

  • PDF

DVB-RCS NG 기반 고효율 저전력 위성리턴링크 전송기술

  • 장대익;김판수
    • 정보와 통신
    • /
    • 제26권10호
    • /
    • pp.3-10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2009년 5월부터 유럽 DVB (Digital Video Broadcasting)를 중심으로 본격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차세대 VSAT(Very Small Aperture Terminal) 시스템 표준기술인 DVB-RCS (Return Channel via Satellite) NG(Next Generation) 표준의 시스템 및 서비스 개요와 표준화 ad-hoc 기술 그룹회의에서 제안된 기술들에 대해서 소개하고자 한다. DVB-RCS NG 표준은 2008년 5월부터 DVB-RCS CM (Commercial Module)과 시스템 interoperability 테스트 관할 협의체인 유럽의 Satlabs를 중심으로 새로운 규격 작업을 위한 상업적 요구사항 선정 및 구체적인 서비스/시스템 모델을 수립하였다. DVB-TM (Technical Module)과 CM을 거쳐 최종적으로 SB(Steering Board)에서 2008년 10월에 승인을 받고 RCS ad-hoc 그룹은 study mission을 수행하게 되었다. 2008년 11월부터 DVB-RCS NG 규격을 위한 call for technology 작업, 제안된 기술에 대한 평가 방법, 이를 평가하기 위한 system그룹 및 study 그룹이 결성되어 2009년 1월에 call for technology가 공지되고 2009년 5월 4일까지 20개 기관으로부터 19개의 기고서가 제출되었다. 본 고에서는2009년 7월 회의까지 검토된 후보기술에 대한 소개와 향후, RCS NG 표준에서 유망한 기술에 대하여 다루고자한다.

e-Navigation 시대 해상통신 요구조건 분석 (Analysis of the Maritime Communication Requirements in the e-Navigation Era)

  • 양규식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423-427
    • /
    • 2017
  • IMO에서 승인된 e-navigation 전략 이행계획은 e-navigation 도입을 가시화 하였다. 아울러 ITU에서 추진한 GMDSS(global maritime distress and safety system) 현대화를 위한 일정도 NCSR 4차 회의에서 확정되었다. 이에 따라 e-navigation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 대한 제반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기존의 통신 시스템에 대한 보완과 차후 도입될 새로운 통신 시스템에 대한 요구조건을 제시하고자 한다. e-navigation 서비스 지원을 위한 통신방식은 기본적으로 IP 기반의 데이터 통신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하지만 중 단파 주파수 대역에서는 협대역 특성 때문에 인터넷 서비스는 어렵고, 간단한 단문 서비스나 e-mail과 같은 데이터 통신 서비스는 가능할 뿐이다. 또한 기존의 GMDSS 위성통신 서비스 기관이 확장되어 새로운 서비스가 제공가능하게 됨에 따라 IP기반의 데이터통신 서비스는 가능하지만, 값 비싼 통신비용의 문제로 생기는 서비스 제한은 VSAT 서비스를 도입하여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