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rtical bar

검색결과 259건 처리시간 0.019초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의 횡하중-횡변위 관계의 일반화 (Generalized Lateral Load-Displacement Relationship of Reinforced Concrete Shear Walls)

  • 문주현;양근혁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6권2호
    • /
    • pp.159-169
    • /
    • 2014
  • 이 연구에서는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의 횡하중 거동과 연성을 합리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 모멘트-곡률관계를 정립하고 이로부터 단순화된 횡하중-횡변위관계를 제시하였다. 최초 휨 균열, 인장철근 항복, 최대내력, 최대내력의 80% 및 인장철근파단시점에서 모멘트와 곡률은 힘의 평형조건과 변형적합조건으로부터 정립되었다. 최대내력 이후의 곡률평가를 위한 압축측연단 콘크리트 변형률은 Razvi and Saatcioglu의 구속된 콘크리트의 응력-변형률 관계를 이용하여 최대응력의 감소계수와 횡보강근 체적지수의 함수로 제시하였다. 모멘트 평가모델은 변수연구를 통하여 인장철근지수, 수직철근지수 및 축력지수의 함수로 일반화하였다. 횡변위는 전단벽의 높이에 따라 분포된 이상화된 곡률로부터 모멘트 면적법을 이용하여 환산하였다. 제시된 횡하중-횡변위관계는 기존 실험 결과와 잘 일치하였으며, 특히 최대내력 이후의 거동을 잘 평가하였다.

하악 무치악 환자에서 Parallel guide KIT®를 이용한 임플란트 식립 및 Locator 어태치먼트를 이용한 임플란트 피개의치 수복증례 (The implant retained overdenture by Locator attachments on the edentulous mandible using Parallel guide KIT® : a case report)

  • 김혜란;김준엽;양홍서;박상원;임현필;윤귀덕;박찬;신진호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3권1호
    • /
    • pp.55-62
    • /
    • 2017
  • 무치악 환자를 수복할 때 임플란트 피개의치를 이용한 치료법은 전통적인 총의치의 문제점인 저작시 동통, 의치의 부족한 유지와 안정을 포함하는 기능저하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다. $Locator^{(R)}$ (Zest Anchors LLC, Espandido, USA) 어태치먼트는 임플란트 피개의치에 사용되는 어태치먼트 중 수직적으로 필요한 공간이 가장 적고, 나일론 부품에 따라 유지력 조절이 용이하다. 하지만 Ball이나 Bar에 비해 기능시 부품의 마모로 유지력이 빠르게 감소하는 특징이 있어 가급적 임플란트 간 각도가 최소가 되도록 식립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횡방.향하중을 받는 그물식 뿌리말뚝의 최적 타설경사각 (The Optimum Installation Angle of Reticulated Root Piles under Lateral Loads)

  • 이승현;김명모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3권4호
    • /
    • pp.55-66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그물식 뿌리말뚝의 타설경사각과 횡방향저항력 사이의 관계를 비교분석하고자 여러가지의 타설경사각을 갖는 모형 그물식 뿌리말뚝을 제작하여 모형지반에 설치한 다음 횡방 향재하시험을 하였다. 모형 뿌리말뚝의 배치는 12개의 말뚝을 6개씩 2개의 크고 작은 동심원에 접하도록 하였는데 각각의 시험에 사용한 모형말뚝은 $0^{\circ}\;, 5^{\circ}\;, 10^{\circ}\;, 15^{\circ}\;, 20^{\circ}\;, 25^{\circ}$의 타설경사각을 갖 는 직경 5m의 강봉에 모래를 입힌 것이다. 횡방향하중을 받는 뿌리말뚝에 있어서 실험을 통해 얻은 하중변위곡선으로 판단해 볼 때 1mm정도의 횡방향변위에서는 타설경사각이 커질수록 횡방향저항력도 커지지만 최적 타설경사 각은 횡방향변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며 6mm의 횡방향변위에서는 $17.5^{\circ}$. 타설경 사각 $0^{\circ}$횡방향저항력에 대한 최적 타설경사각에서의 횡방향저항력의 비는 횡방향변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므로 횡방향변위가 커질수록 말뚝을 경사지게 배치함으로써 얻는 저항력 증대효과는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 PDF

역단층성 변위에 의한 Coulomb stress transfer (Coulomb stress transfer due to reverse faulting displacement field)

  • 고민석;장찬동;이준복;심택모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8년도 공동학술대회
    • /
    • pp.149-154
    • /
    • 2008
  • 소규모 역단층성 변위에 의한 단층주변부의 Coulomb stress의 변화를 모델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단층의 기하학적 형태와 응력자료는 경주시에 위치한 제4기 단층인 읍천단층의 조건을 적용하였다. Coulomb stress 모델링에서 단층면을 따라 역단층성 소규모 변위(10cm)를 가정할 경우 단층의 가장자리 주변(주향방향 양끝과 경사방향)에서 Coulomb stress의 변화가 상대적으로 높게(>2 bar) 나타났고 단층의 상하부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단층의 수직적인 단면에서는 단층의 직하부와 단층 주향의 수직방향에 "T" 자 형태의 낮은 음의 값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주 단층의 역단층성 변위에 의해 나타나는 여진의 전파경로 양상을 보여준다.

  • PDF

철근의 위치에 따른 이형철근과 순환굵은골재 콘크리트의 부착특성 (Bond between Reinforcing Bars and Recycled Coarse Aggregate Concrete with respect to Reinforcement Location)

  • 윤현도;이민정;장용헌;배기선;유영찬;김긍환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제20권1호
    • /
    • pp.1093-109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철근의 배근방향(수직, 수평) 및 위치(상단근, 하단근)를 주요 실험변수로 하여 이형철근과 순환굵은골재와의 부착거동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실험결과를 종합해 보면, 수평 시험체의 상부철근 시험체의 경우 하부철근 시험체 보다 부착강도가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밑면으로부터 225mm 위치에 배근된 수평 상단철근 시험체는 CEB-FIP 규준식을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굵은골재의 편중현상 및 콘크리트의 블리딩 등의 영향으로 인하여 상부철근의 하부에 다수의 공극이 발생되어 부착면적이 작아진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시험체에서는 콘크리트와 이형철근의 기계적 맞물림에 의한 지압력이 충분히 발현되지 않은 것으로 관측되었다.

  • PDF

수직관내 미포화수의 강제대류 천이비등에 대한 역학적 모델 (A Mechanistic Model for Forced Convective Transition Boiling of Subcooled Water in Vertical Tubes)

  • Lee, Kwang-Won;Baik, Se-Jun;Han, Sang-Good;Joo, Kyung-Oin;Yang, Jae-Young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7권4호
    • /
    • pp.503-517
    • /
    • 1995
  • 강제대류 천이비등 열유속을 보다 실제 적으로 예측하기 위한 역학적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 모델은 가열된 벽면 근처를 어떤 기포기둥(Vapor Blanket)이 통과할 때 일어나는 다단계 비등과정 즉, 임계 기포기둥의 형성, 기포기둥밑의 미소액막(Macrolayer)의 기화 및 고갈, 그리고 얇은 기체막에서 일어나는 불안정한 막비등과정에 기초하였다. 핵비등이탈점 (DNB )과 막비등이탈점 (DFB)사이의 천이비등 곡선상의 열유속은 임계 기포기둥이 주어진 벽면을 통과할 동안 상기한 각 비등과정의 지속 시간비(Time Fraction)를 각 비등열유속에 곱한 후 그것을 합하여 정량화하였다. 이 모델의 예측치를 현재까지 발표된 문헌들에 나타난 실험치와 비교한 결과, 본 모델은 저건도 및 10 bar 근처의 고압조건의 실험치를 잘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Evaluation of two interforaminal implants and implant-assisted removable dentures on stress distribution: an in vitro study

  • Bilhan, Selda Arat;Geckili, Onur;Cilingir, Altug;Bozdag, Ergun;Bilhan, Haka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45권4호
    • /
    • pp.199-206
    • /
    • 2019
  • Objectives: In mandibular edentulism, the treatment option with a two-interforaminal implant-retained bridge and a removable partial denture is rarely evaluated in literature. The aim of this in vitro study was to evaluate the stress distribution of this treatment option by comparing it with traditional treatment options with interforaminal implants in the edentulous mandible. Materials and Methods: Two interforaminal implants were placed in a formalin-fixed cadaver mandible, and overdentures with three different types of attachments were fabricated: (1) two ball attachments and an overdenture, (2) a Dolder bar and an overdenture, and (3) screw-retained two-implant inter-canine porcelain fused to a metal bridge and an implant-assisted removable denture (IARD) with precision attachments. Three biting conditions were generated for each denture type, and the strains were documented under vertical loading of 100 N. Results: The calculated strain values from measured strains in all measurement sites and loading conditions for the screw-retained two-implant intercanine porcelain fused to a metal bridge and a cast framework partial denture with precision attachments situation were lower than in the other scenarios (P<0.05). Conclusion: Within the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it can be concluded that an IARD may be a reasonable and valuable alternative to ball attachments or a bar in two interforaminal implants, especially when the patients prefer to be able to show their teeth even when they take out their removable dentures.

지하수 과다유입 조건하에서의 터널굴착 (Tunneling in Severe Groundwater Inflow Condition)

  • 이용남;김대영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7권2호
    • /
    • pp.67-76
    • /
    • 2006
  • 본 논문은 수직 절리가 잘 발달된 지하수위가 높은 화산암질 지반에서 직경 3.3m의 도수터널 굴착을 하는 수력발전소 건설공사 내용이다. 취수시설은 발전소로부터 20.3km 상류에 위치하고 있으며, 20km의 도수터널과 연결되어 있고 440m의 낙차고를 갖는 펜스탁이 발전소와 연결되어 있다. 현장의 지질 조건은 전형적인 칼데라 호수인 토바호에 의해 지반 침식과 수직방향의 인장균열이 발달하였으며 이로 인해 지반의 초기응력이 이완되었다. 높은 지하수위(최대 수두 200m)를 가진 잘 발달된 수직 절리를 터널이 관통하면서 막대한 양의 지하수가 터널내로 유입되었다. 터널 굴착은 개방형 쉴드 TBM과 버럭반출에는 철로와 기관차를 사용하였다. 터널 내로의 유입수가 터널 바닥면에서 70cm 높이에 다다르고 이는 터널 직경(3.9m)의 17%에 해당하였다. 생산성을 향상하기 위해서 TBM과 버럭반출 차량과 같은 몇 가지의 개선과 수중펌프를 증설하는 방안을 사용하였다. 굴착 중에 만난 지반 조건이 설계보다 상당히 불량하여 RC라이닝에서 지하수 유입, 암반조건, 수압 등에 따라 PC 세그먼트 라이닝 또는 PC 세그먼트 라이닝과 현장타설 RC 라이닝, RC 라이닝, 그리고 강재 라이닝이 적용되었다. 이 PC 세그먼트 라이닝의 도입과 TBM과 다른 장비의 개조 및 개선을 통해서 심각한 지하수 조건 하에서 터널 굴착 공사를 성공적으로 완료하였다.

  • PDF

국내산 리기다소나무를 이용한 목재 모형 사방댐의 강도 성능 평가 I (Strength Properties of Wooden Model Erosion Control Dams Using Domestic Pinus rigida Miller I)

  • 김상우;박준철;이동흡;손동원;홍순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6권6호
    • /
    • pp.77-87
    • /
    • 2008
  • 국내산 주요 침엽수 소경목의 활용 방안으로 리기다소나무를 이용한 목재 모형 사방댐을 제작하여 강도 성능을 평가하였다. 목재 모형 사방댐은 직경 90 mm의 CUAZ-2 (Copper Azole) 처리한 리기다소나무 방부 원주목을 사용하여 3 Type으로 접합부를 달리하여 제작하였다. 각 Type별 사방댐은 횡목 5층 종목 4층 총 9층의 높이 790 mm로 제작 하였으며 수평 재하 시험과 충격 시험을 통한 강도 성능 평가와 화상처리를 통한 구조물의 변형을 검토 하였다. 직경 90 mm의 원주목을 사용한 목재 모형 사방댐의 수평 재하 시험 결과 직결나사를 사용한 경우 쇄석의 유무는 강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변형은 23% 감소하였다. 전선볼트를 사용한 일체형 사방댐의 경우 쇄석을 채운 경우 1.5배 강도가 증가하고 변형은 감소하였다. 직결나사에 고리가 달린 전선볼트로 보강한 경우 4.8배 강도가 증가하였다. 직경 90 mm 목재 모형 사방댐의 충격 시험 결과 쇄석을 채우지 않은 직결나사 사방댐은 1회 충격에 구조물 전체가 파괴되었으며 전선볼트를 사용한 사방댐은 1회 충격시 779 kgf의 충격이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횡목에서 파괴되었다. 2회 충격시 기초부가 파괴되며 545 kgf로 반력이 감소하였고 3회 충격시 기초부 전체가 파괴되며 263 kgf로 반력이 감소하였다.

상용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과 차량 시스템 주파수 분석을 통한 브레이크 저더의 실험적 고찰 (An Experimental Study on Brake Judder via the Frequency Analysis of the Brake System and Vehicle System of a Commercial Vehicle)

  • 문일동;김종대;오재윤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1권12호
    • /
    • pp.1131-1138
    • /
    • 2007
  • This paper studies experimentally on the building-up process for the amplitude of a commercial truck vibration induced by brake judder. A front axle drum equipped with a drum brake system is utilized for this experiment. A brake dynamo test, a real vehicle ride test and a real vehicle braking test are performed for the analysis of brake judder. The brake dynamo test measures judder by applying brake chamber pressures of 1, 2 and 3 bar at initial brake pad temperatures of $100^{\circ}C$ and $150^{\circ}C$. In order to assess the vertical acceleration at the front axle, the real vehicle ride test on a straight test road with velocities of 20, 40, 60 and 80 km/h is performed. The real vehicle braking test is carried out at the deceleration rate of 0.2g from a velocity of 90km/h for evaluating the vertical, lateral and longitudinal accelerations both at the front axle and at the cab floor under the driver's seat. The magnitudes and frequencies of the measured peak accelerations from the brake dynamo test, the real vehicle ride test and the real vehicle braking test are comparatively analyzed. This paper shows that the vibration produced by brake judder is built up due to the brake system's peak acceleration frequency being close to the vehicle ride mode's frequen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