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rmiculite

검색결과 403건 처리시간 0.021초

폐 MDF 퇴비화 사용을 위한 생분해 환경 특성에 관한 연구 (I) (Characteristics of Biodegradation under Composting and Vermiculite Condition)

  • 최철;류지창;양승민;이창구;이석언;강석구
    • 펄프종이기술
    • /
    • 제48권1호
    • /
    • pp.127-133
    • /
    • 2016
  • This study is performed that furniture and interior materials of MDF's (Medium Density Fiberboard) biodegradation properties, and the goal of this study is investigation of possibility of waste-MDF's composting after landfilling. To investigate biodegrada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according to KS M ISO 14855-1, and there were two different soil conditions including a compost condition and an activated vermiculite condition as artificial soil. This experiment was tested for 40 days. The measurement of carbon-dioxide generation was processed every 24 hour in 1-2 week, and every 48 hour after 3 week. In the same days, MDF showed 24.4% of biodegradation in compost condition, and 6.2% in activated vermiculite. Also, the reference material of TLC (thin-layer chromatography) grade cellulose showed 26.4%, 11.4% in compost and activated vermiculite respectively. The dilution plate method was performed for biological analysis in the study. This experiment was used for investigation of inoculum's (Bacillus licheniformis) activity. As the result of bioassay, compost has more other germs include inoculum than activated vermiculite in the first week. Especially in the 2nd week, the reference material under the compost condition showed the most germ's activity, and also the biodegradation was the highest. Consequentially, compost condition was able to reduce a performing period of biodegradation testing than activated vermiculite. However, activated vermiculite could be stabilizing errors between repetition.

보수성물질이 목초의 출아 및 초기생육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Water Holding Matter on Emergence and Early Growth of Forage Grasses)

  • 윤세형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53-157
    • /
    • 1991
  • The present study eluciciated the effect of water holding matter on emergence and survival of forage grasses in seedling and early growth stage. Vermiculite was used as u7ater holding matter.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2 treatments, soil only and soil with 3% vermiculite.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Most of character related to emergence and early growth were improved clearly by adding vermiculite. Specially, root growth was increased when vermiculite was added in soil. Survival percent at drought stress condition was also improved by adding vermiculite. Rut the amount of water keeping by verm~culite was not much.

  • PDF

W/B 및 버미큘라이트 첨가량에 따른 산화마그네슘 경화체의 역학적 특성 (Mechanical Properties of Magnesium Oxide Matrix Accroding to W/B Ratio and Adding Ratio of Vermiculite)

  • 임현웅;권오한;이상수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6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41-142
    • /
    • 2016
  • This study was examine the possibil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to adsorption and decrease of caused interior Radon using performance superior cation-exchange to take advantage of the building. Radon absorption type Matrix using the magnesium oxide and vermiculite was experiment to product that vermiculite added Vermiculite to 10% of magnesium oxide and magnesium chloride was fixed to 25%. W/B was carried out in 45, 50, 55, 60 (wt,%).

  • PDF

Experimental and numerical analysis of new bricks made up of polymer modified-cement using expanded vermiculite

  • Koksal, Fuat;del Coz Diaz, Juan J.;Gencel, Osman;Alvarez Rabanal, Felipe P.
    • Computers and Concrete
    • /
    • 제12권3호
    • /
    • pp.319-335
    • /
    • 2013
  • In this paper, the properties of the cement mortar modified with styrene acrylic ester copolymer were investigated. Expanded vermiculite as lightweight aggregate was used for making the polymer modified mortar test specimens. To study the effect of polymer-cement ratio and vermiculite-cement ratio on various properties, specimens were prepared by varying the polymer-cement and vermiculite-cement ratios. Tests of physical properties such as density, water absorption, thermal conductivity, three-point flexure and compressive tests were made on the specimens. Furthermore, a coupled thermal-structural finite element model of an entire corner wall was modelled in order to study the best material configuration. The wall is composed by a total of 132 bricks of $120{\times}242{\times}54$ size, joined by means of a contact-bonded model. The use of advanced numerical methods allows us to obtain the optimum material properties. Finally, comparisons of polymer-cement and vermiculite-cement ratios on physical properties are given and the most important conclusions are exposed.

Soil conditions during cultivation affect the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 of rosemary

  • Seo, Ji Won;Kim, Soo Kyung;Yoo, Ji Hye;Kim, Myong Jo;Seong, Eun Soo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5권2호
    • /
    • pp.89-92
    • /
    • 2022
  •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soil conditions on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aerial and underground parts of rosemary were assessed to determine the most effective soil conditions for cultivation.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the highest (51.58±2.93 ㎍/mL) when cultivated in the mixture of gardening soil and vermiculite using DPPH assay. The antioxidant activity of underground parts the highest (127.48±12.38 ㎍/mL) when cultivated in the mixture of soil, vermiculite, and perlite. ABTS assay showed that the antioxidant activity of aerial parts was 230.34±57.93 ㎍·mL-1 when cultivated in the mixture of gardening soil and vermiculite and that of underground parts was 320.98±16.04 ㎍·mL-1 when cultivated in the mixture of gardening soil, vermiculite, and perlite. The total phenolic content of aerial parts was the highest (155.25±2.96 mg GAE/g) when cultivated in the mixture of gardening soil. The total flavonoid content of aerial parts was the highest (67.32±5.27 mg QE/g) when cultivated in the mixture of gardening soil. Therefore, the mixture of gardening soil, vermiculite, and perlite is superior to gardening soil alone for cultivation of rosemary to increase its antioxidant activity as well as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

貯藏溫度와 充塡材料가 마의 貯藏과 品質에 미치는 影響 (Effect of Storage Temperature and Keeping Materials on Storability and Quality of Chinese Yam)

  • 김영광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58-63
    • /
    • 1997
  • 최근 한방(韓方)의 생약제(生藥劑) 또는 생식용(生食用)으로서 마의 소비량은 급격히 증대되고 있어 년중(年中) 출하(出荷)를 위한 안정적인 저장방법이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본 시험은 마의 저장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저장온도와 충전재(充塡材)에 따른 저장 또는 상품성과 관련된 형질의 변화를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고 같다. 1. 충전재(充塡材)에 따른 건전개체율은 상온저장과 저온저장 모두 vermiculite를 이용할 경우 가장 높았고 상온저장에서는 흙, 저온저장에서는 PE film을 이용할 경우 가장 낮았다. 한편 중량감소율은 상온과 저온저장 모두 타충진재(他充塡材)에 비하여 PE film과 vermiculite를 이용할 경우 가장 낮았다. 2. 충전재과(充塡材科)에 따른 저장 후 상품성(商品性)과 관련된 명도(明度)와 수분함량(水分含量)은 저온저장에 비하여 상온저장에서 낮았으며, 충전재(充塡材)는 저온저장에서 PE film을 이용할 경우 명도 및 색도 a값이 높고 색도 b값이 낮은 반면, vermiculite를 이용할 경우 PE film과는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 3. 충전재료별 저장 후 상품수량은 건전개체율 또는 수분함량과 정(正)의 상관(相關)을 보인 반면, 부패정도가 $30\sim60%$, 60% 이상인 것, 중량감소율 또는 색도 b값과 부(負)의 상관(相關)으로 분석되었다.

  • PDF

경골목구조 벽체의 내화성능확보를 위한 질석보드 개발 (Development of Vermiculite Board to Secure th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of Light-Frame Wood Structural Wall)

  • 유석형;정창헌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1호
    • /
    • pp.40-45
    • /
    • 2018
  • 무기재로서 질석은 친환경적인 특성과 내화, 단열, 흡음 뿐 만 아니라 결로방지, 탈취 및 미관 등이 우수하므로 건축마감재로서 활용될 경우 효용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질석을 주원료로 하여 미네랄 루즈울(Mineral Loose Wool) 또는 미네랄 파우더(Mineral Powder)를 혼입한 건축용 마감보드를 개발하고 불연시험과 단열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결과 두 개의 질석보드 모두 불연재로서 성능을 확보하였으며 열전도율 0.086 및 $0.092W/m{\cdot}K$로 나타났다. 또한 개발된 두 개의 질석보드를 경골목구조 내화벽체 표준상세(KS F 1611-1)의 마감재로 적용하여 내화시험을 수행하였다. 내화시험결과 VB-L 시험체가 VB-P시험체 보다 내화성능이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두 개의 질석보드 모두 두께 30 mm로도 내화성능 2시간 확보가 충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옻나무 근삽시 삽상배지의 효과 (Effects of Cutting Media in Root Cuttings of Lacquer Tree (Rhus verniciflua Stokes))

  • 두홍수;권태호;양문식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41-246
    • /
    • 2001
  • 옻나무 근삽에 의한 묘목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7종류의 삽상배지를 공시하여 신초발생율과 묘소질을 조사하였다 삽상배지는 PV(peatmoss vermiculite = 1 : 1)와 PVS(peat moss : vermiculite : sand = 1 : 1 : 2) 처리구에서 3주 후부터 신초가 발생되었고, 삽 식 10주 후의 신초발생율은 PVSC(peatmoss : vermiculite : sand : clay loam = 1 : 1 : 2 : 2)배지에서 80%로써 가장 높았다. 삽수당 신초형성수는 PH와 PVC 삽상배지가 2.2개로써 가장 많았고 HSC 삽상배지 는 1.3∼1.5개로써 가장 적었으나 통계적인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Peatmoss, vermiculite, sand 및 clay loam을 각각 1:1:2:2 (v/v/v/v)로 혼합한 PVSC 삽상배지가 옻나무 근삽의 삽상배지로 이용하기에 양호하였으며, 수장, 분지수, 엽수, 경직경 및 엽면적 등의 묘소질 역시 양호하여 본포에 이식하기에 적당하였다.

  • PDF

회색혈암(灰色頁岩)에서 유래(由來)된 토양점토(土壤粘土) 광물(鑛物)의 특성(特性) (Clay Mineralogy of the Soils Derived from Gray Shale)

  • 엄명호;정필균;엄기태;임형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9
    • /
    • 1993
  • 경북(慶北) 일부(一部) 지역(地域)에 분포(分布)되어 있는 회색혈암(灰色頁岩)의 잔적층모재(殘積層母材), 붕적층모재(崩積層母材) 및 충적층모재에서 유래(由來)되고 지형적(地形的)으로 연쇄성(連鎖性)이 있는 토양(土壤)(대구통(大邱統), 시예통(詩禮統), 반호통(盤湖統), 비곡통(秘谷統))을 대상(對象)으로 토양점토광물(土壤粘土鑛物)에 대한 광물학적(鑛物學的) 특성(特性)과 생성과정(生成過程)을 구명(究明)하기 위해 모래, 미사(微砂), 점토(粘土)의 화학조성(化學組成), 광물(鑛物)의 분리동정(分離同定) 및 특성변화(特性變化)를 조사(調査)함과 아울러 수산화간층광물(水酸化間層鑛物)(Hydroxy-interlayered Mineral)의 해명(解明)과 특(特)히 점토광물(粘土鑛物)의 정량(定量)을 시도(試圖)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점토광물(粘土鑛物)의 분포(分布)는 표고별(標高別) 모재(母材)의 형태(形態)에 따라 상이(相異)하였으며 주요(主要) 광물(鑛物)은 illite, Vermiculite, Kaolin 광물(鑛物), 그리고 수산화간층광물(水酸化間層鑛物)이며, 부광물(副鑛物)로 혼재(混在)하는 광물(鑛物)은 illite와 Chlorite 또는 Vermiculite의 혼층광물(混層鑛物)과 chlorite였음. 2. 잔적층모재토양(殘積層母材土壤)의 점토광물(粘土鑛物) 분포(分布)에서 시예통(詩禮統)은 Kaolin광물(鑛物) 조성(組成)이 높은 반면 상부(上部)에 위치(位置)하고 토양발달(土壤發達)이 상대적(相對的)으로 낮은 대구통(大邱統)에서는 illite, Vermiculite 및 수산화간층광물(水酸化間層鑛物)의 2:1형(型) 점토광물(粘土鑛物) 분포(分布)가 높았음. 3. 붕적층(崩積層)과 충적층모재 토양(土壤)에서는 illite와 혼층광물(混層鑛物)의 조성(組成)이 높았으며 수산화간층광물(水酸化間層鑛物)의 조성(組成)은 잔적층모재(殘積層母材) 토양(土壤)에 비해 낮았다. 4. 토양점토광물(土壤粘土鑛物)의 생성과정(生成課程)은 대구통(大邱統) ; illite ${\rightarrow}$ vermlculite ${\rightarrow}$ 수산화간층광물(水酸化間層鑛物), 시예통(詩禮統); Vermiculite ${\rightarrow}$ Kaolin 광물(鑛物), 반호통(盤湖統)과 비곡통(秘谷統) ; illite ${\rightarrow}$ illite/Vermiculite 또는 chlorite 혼층광물(混層鑛物) ${\rightarrow}$ Vermiculite의 풍화단계(風化段階)가 우세(優勢)하게 진행(進行)되는 것으로 추정(推定)되었다. 5. 점토광물(粘土鑛物)의 정량분석(定量分析) 결과(結果), vermiculite함량(含量)은 반호통(盤湖統)과 비곡통(秘谷統)(12%), Kaolin광물(鑛物)은 시예통(詩禮統)(18%), 그리고 수산화간층광물(水酸化間層鑛物)은 대구통(大邱統)(22%)에서 높았다.

  • PDF

바텀애쉬를 이용한 흡음 내장재 개발에 관한 연구 (Study on characteristics of board prepared by microwave drying process of coal bottom ash and vermiculite)

  • 전현철;김극태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35-14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국내 화력발전소에서 발생되는 바텀애쉬를 이용하여 질석 성형물을 제작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흡음 건자재 제조를 위한 흡음성, 최고 휨파괴하중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이러한 바텀애쉬와 질석의 성형물 제조를 위하여, 마이크로웨이브 건조방식의 공정를 사용하였다. 또한, 바텀애쉬의 볼밀링작업을 통하여 얻어진 $65{\mu}m$ 정도의 크기의 균일한 분말이 사용되었다. 5, 10 wt%의 바텀애쉬와 질석의 성형물을 제조하여, 최고 휨파괴하중 특성이 분석 되었다. 이러한 실험 결과들은 바텀애쉬의 재활용 기술에 필요한 기초적인 데이터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