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rification

검색결과 11,811건 처리시간 0.035초

서명자동검정을 위한 개인별 특징 세트 선택 (Customised feature set selection for automatic signature verification)

  • 배영래;조동욱;김지영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1642-1653
    • /
    • 1996
  • This paper covers feature extraction for automatic handwritten signature verification. Several major feature selection techniques are investigated from a practical perspective to realise an optimal signature verification system, and customised feature set selection based on set-on-set distance measurement is presented. The experimental results have proved the proposed methods to be efficient, offering considerably improved verification performance compared to conventional methods. Also, they dramatically reduce the processing complexity in the verification system.

  • PDF

센싱 데이터 수집 시스템을 위한 통합검증 프로세스 설계 (Design of Integrated Verification Process for Sending Data Gathering System)

  • 김유두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05-306
    • /
    • 2021
  • 다양한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는 시스템은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그 기능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는 절차를 설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환경에서 개발된 시스템의 통합 검증 프로세스를 설계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는 시스템을 검증하는 절차에 대해 설계한다.

  • PDF

SPIN을 이용한 EJB 적합성 검증 (A Verification Method for EJB Architecture)

  • 주운기;김중배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135-138
    • /
    • 2003
  • This paper considers a verification problem on EJB(Enterprise JavaBeans). We select SPIN as a automatic verification tool and consider an instance management specification of CMP(Container Managed-Persistence) entity bean. By showing the verification procedure, we can conclude that SPH can be used to verify EJB systems.

  • PDF

정형 검증 도구를 이용한 보안 소프트웨어 개발 방안 (A Security Software Development Methodology Using Formal Verification Tools)

  • 장승주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2권2호
    • /
    • pp.141-148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정형 검증 도구를 이용한 보안 소프트웨어의 보안성을 검증하고 검증된 결과를 이용하여 안전한 보안 소프트웨어 개발 방안을 살펴본다. 정형 검증 기법에 따라 사용되어질 수 있는 각 정형 검증 도구들을 살펴보고 그 특성을 파악하여 보안 소프트웨어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보장하는 적합한 도구들을 알아보고, 보안 소프트웨어 개발 방안을 제시한다. Z 언어를 이용하는 도구인 Z/EVES는 Z명세에 대한 분석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보안 소프트웨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대표적인 정형 검증 도구이다. 본 논문에서는 보안 소프트웨어 검증을 위하여 C 언어로 작성된 보안 소프트웨어를 Z명세 언어로 변환하고 이것을 Z/EVES도구를 이용한다.

철도종합안전기술개발사업의 성과물 검증 프로세스 구축 (Construction of verification process for the railway total safety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

  • 윤혁진;한순우;김상암;최경진;조연옥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87-1192
    • /
    • 2007
  • Recently, many organizations such as, including government, railroad operational, railroad facilities managemental and research authorities have made a lot of efforts to identify and prevent hazards from leading to accidents and solve them all over the railroad industry. Railroad total safety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 conducted as one of national R&D projects has established business formation structure based on system engineering as an effort to define and give a solution to facing problems in the field of railroad. This paper is building procedures to verify the outcomes derived from this project. The verification process is the one for verifying the outcome produced in the final stage of the project or during the project. It makes sure that the system is satisfying the system requirements through verification of the outcomes produced after conducting the project for verification. We've made verification plan for technically reasonable verification using verification process developed through this research, and established master verification plan in the level of 15 detailed projects for interim and final outcomes produced.

  • PDF

철도 소프트웨어 개발 및 검증을 위한 지침 (The guideline for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railway software)

  • 이영준;최종균;차경호;천세우;이장수;권기춘;정의진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659-664
    • /
    • 2008
  • The Railroad Safety Act's regulation reads as follows. "The Minister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may qualify and authorize the product to guarantee performance and safety of parts, machine, and device used in Railway fields." Another regulation reads as follows."“The guidelines about targets, standards, and procedures of Quality and Authority in first provision are decided as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Decree." The software used in rail cars and facilities is considered as a railway product. Therefore, it is qualified and authorized for acquiring the safety of rail cars and facilities. The software businesses shall again a Quality and Authority for applying a software to the rail cars and facilities. This paper regulates some guidelines that are needed to develop a software. The procedures that a software developer performs are divided by plan, requirement, design, implementation, and maintenance. The procedures that a software verification person performs are classified by verification plan, requirement verification, design verification, implementation verification, testing verification, maintenance verification, and safety activity. The entire processes and detailed activities to develope and verify a software are described as new guidelines.

  • PDF

배전 선로 부하예측 모델의 신뢰성 평가를 위한 비교 검증 시스템 (Development of Comparative Verification System for Reliability Evaluation of Distribution Line Load Prediction Model)

  • Lee, Haesung;Lee, Byung-Sung;Moon, Sang-Keun;Kim, Junhyuk;Lee, Hyeseon
    • KEPCO Journal on Electric Power and Energy
    • /
    • 제7권1호
    • /
    • pp.115-123
    • /
    • 2021
  • Through machine learning-based load predic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excessive power generation or unnecessary economic investment by estimating the appropriate amount of facility investment in consideration of the load that will increase in the future or providing basic data for policy establishment to distribute the maximum load. However, in order to secure the reliability of the developed load prediction model in the field, the performance comparison verification between the distribution line load prediction models must be preceded, but a comparative performance verification system between the distribution line load prediction models has not yet been established. As a result, it is not possible to accurately determine the performance excellence of the load prediction model because it is not possible to easily determine the likelihood between the load prediction models. In this paper, we developed a reliability verification system for load prediction models including a method of comparing and verifying the performance reliability between machine learning-based load prediction models that were not previously considered, verification process, and verification result visualization methods. Through the developed load prediction model reliability verification system, the objectivity of the load prediction model performance verification can be improved, and the field application utilization of an excellent load prediction model can be increased.

국가연구개발프로젝트의 성과물 검증 프로세스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 the Product Verification Process for the National R&D Project)

  • 최요철;이재천;조연옥;김상암;윤혁진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2권3호
    • /
    • pp.382-387
    • /
    • 2009
  • 일반적으로 고객의 요구사항을 시스템이나 서비스로 구현하는 과정에서 구현된 시스템이나 서비스들이 요구사항을 만족하여 개발 되었는지를 검증하게 된다. 그러나 철도분야의 안전체계나 안전기준을 개발하는 국가연구개발프로젝트의 경우 일반적인 검증 프로세스를 활용하여 이러한 성과물을 검증하는데 많은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연구개발프로젝트를 통해서 산출되는 안전체계, 안전기준, 프로세스 등의 성과물에 대한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검증 프로세스를 제시하였으며, 성과물 검증 프로세스의 결과물을 전산 관리할 수 있는 방안 또한 제시하였다.

계층화된 테스트벤치를 이용한 검증 환경 구현 (Implementation of a Verification Environment using Layered Testbench)

  • 오영진;송기용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145-149
    • /
    • 2011
  • 최근 시스템의 규모가 커지고 복잡해지면서, 시스템 수준에서의 기능 검증방법론이 중요해지고 있다. 기능블록의 검증을 위해서는 주로 BFM(bus functional model)이 사용되며, 기능 검증에 대한 부담이 증가할수록 올바른 검증환경 구성의 중요성은 더욱 증가한다. SystemVerilog는 Verilog HDL의 확장으로 하드웨어 설계언어의 특징과 검증언어의 특징을 동시에 갖는다. 동일한 언어로 설계기술, 기능 시뮬레이션 그리고 검증을 진행할 수 있다는 것은 시스템개발에서 큰 이점을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SystemVerilog를 이용하여 AMBA 버스와 기능블록으로 구성된 DUT를 설계하고, 계층적 테스트벤치를 이용한 검증환경에서 DUT의 가능을 검증한다. 기능 블록은 Adaptive FIR 필터와 Booth's 곱셈기를 사용한다. 이를 통하여 검증환경이 DUT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의 부분적인 변경을 통하여 다른 하드웨어의 기능을 검증하는데 재사용되는 이점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한다.

통합시험환경 모델 검증 자동화 설계 (Design of Automatic Model Verification for System Integration Laboratory)

  • 양승구;조연제;조경용;류창명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361-366
    • /
    • 2019
  • 항공전자시스템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개별 구성품의 기능 및 연동 검증을 위한 통합시험환경(SIL; system integration laboratory)을 구성한다. 이러한 SIL의 구성품 개별 검증 및 시스템 통합 시 각 탑재장비의 기능 및 연동을 모의하는 SIL 모델을 개발하여 이용한다. SIL 모델은 실 장비와 연동되기 전 연동통제문서(ICD; interface control document)에 정의된 모든 데이터에 대해 선 검증되어야하며 ICD 변경 혹은 기능 변경 발생 시에도 재 검증되어야한다. 하지만 SIL모델의 검증의 수동 수행 시 개별 SIL모델의 검증에도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이러한 시간상의 문제로 ICD 변경이나 일부 기능 변경 시에는 SIL 모델의 영향성을 판단하여 선택적 회귀시험이 이루어지곤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SIL 모델의 검증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하여 회귀시험 수행 시 모든 시험항목의 검증이 가능하도록 SIL 모델 검증 자동화 방안을 설계하고 설계에 따른 SIL 모델 검증 자동화도구를 개발하여 SIL 모델 검증자동화 설계의 유용성을 검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