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nture Entrepreneurs

검색결과 131건 처리시간 0.022초

학술적 기업가의 벤처기업 창업활동 지원 모델 (The Role of Academic Entrepreneurs and the Venture Business Supporting Model)

  • 김재명
    • 산학경영연구
    • /
    • 제13권
    • /
    • pp.223-246
    • /
    • 2000
  • 본 연구는 학술적 기업가의 역할을 중심으로 학술적 기업가의 벤치기업 창업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산 학 관 협력모델의 구성을 탐색하였다. 벤처기업 창업 인프라 제공 주체는 정부, 대학, 벤처캐피탈기관 등이 대표적이며, 그 가운데 대학, 특히 학술적 기업가들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다. 이와 같은 학술적 기업가의 성공적 창업은 기초환경요인의 유효성 여부에 크게 좌우된다. 대학은 학술적 기업가들의 창업동기와 제약 요인을 바탕으로 정책, 절차, 그리고 보조금 지원 등 공식적 지원프로그램을 통해 경제개발에 기여할 수 있는 연구를 수행하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기술이전시스템 추측, 협동 교육시스템 도입, 벤처기업 창업보육시스템 구축, 그리고 학술적 기업가 활동 지원문화 조성프로그램 등을 마련해야한다. 이에 본 연구는 학술적 기업가의 창업동기를 바탕으로 창업활동을 하나의 과정으로 간주하고 창업지원 주체별 역할에 근거하여 학술적 기업가의 창업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산 학 관 협력 모델을 탐색하였다.

  • PDF

기업가정신 및 벤처경영에 관한 교육과정개발 (Educational Program Development for Entrepreneurship and Venture Management)

  • 배종태
    • 기술경영경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기술경영경제학회 1998년도 제13회 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91-115
    • /
    • 1998
  • Inspire of increasing importance of entrepreneurs for successful new venture creation, structured educational programs for entrepreneur development are very limited in Korea. Based on the survey of existing academic programs and interviews with entrepreneurs, this study presents a new education system for entrepreneurial management and new venture creation. Specifically, seven venture educational programs are suggested. As degree programs, ⅰ) new venture interdisciplinary program and ⅱ) venture MBA program are presented. Also, ⅲ) advanced venture management program, ⅳ) venture capitalist training program, and ⅴ) potential entrepreneur training program are suggested as non-degree programs. In addition, special and supporting programs such as ⅵ) technological entrepreneurship seminar and vii) new venture forum are explained. Finally, some examples of typical entrepreneurial management courses are presented and policy implications are suggested.

  • PDF

벤처기업가의 정치적 기술과 사회적 네트워크의 하위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모형 (A Structural relationship model in consideration of subordinate factors between venture entrepreneurs' political skill and social network)

  • 정대용;김춘광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718-727
    • /
    • 2011
  • 본 연구는 중소 벤처기업들의 태생적 약점을 극복하게 해 주는 것으로 알려진 사회적 네트워크와 그 원천인 정치적 기술 간의 관계구조를 실증 고찰한 연구이다. 211명의 벤처기업가 응답을 근거로 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첫째 네트워킹 능력은 사회적 네트워크의 약한 유대(${\beta}$=.527, C.R.=3.626), 강한 유대(${\beta}$=.594, C.R.=3.969), 네트워크 중심성(${\beta}$=.418, C.R.=4.884)에 모두 유의하고 강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사회적 통찰력 역시 약한 유대(${\beta}$=.192, C.R.=1.701), 강한 유대 (${\beta}$=.269, C.R.=2.509) 그리고 네트워크 중심성(${\beta}$=.228, p=2.283)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인관계 영향력은 강한 유대(${\beta}$=-.264, C.R.=-1.862)와 네트워크 중심성(${\beta}$=-.394, C.R.=-2.914)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부호의 방향이 (-)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외형적 진실성은 사회적 네트워크의 하부요인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사회적 네트워크와 사회적 역량의 관계를 실증 분석했다는 점 외에 중소 벤처기업 기업가들에게 그들의 태생적 한계 극복을 위한 실제적인 정보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사회적 역량의 구체적 실체인 정치적 기술 개념을 제안하고 실증분석 함으로써, 기업가적 역량 구축에 관심을 둔 향후 연구들의 이론적 토대를 제공했다는 점에 큰 의의가 있다.

정보통신 예비창업자를 위한 Web 기반 우위기술 도출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The Research of Web Based superior Technology Classification system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venture entrepreneur.)

  • 정민하;최문기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00년도 춘계정기학술대회 e-Business를 위한 지능형 정보기술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 /
    • pp.175-184
    • /
    • 2000
  • Recently Venture business in the area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dustry is booming. Though Technology classification chart helps the potential entrepreneur through Survey paper and Internet Web Page, its service does not meet the customer demand. Hence Technology Classification system, which is proposed in this paper, will solve this problem by using virtual network among venture, technology experts and potential entrepreneurs. This system supports potential entrepreneurs' decision making for choice of venture business items by using dual client technology, and provides better services than existing systems by linking expert client and customer client, .

  • PDF

From an Entrepreneur to a Sustainopreneur: Extracting Facts about Sustainopreneurship

  • Majid, Sara;Yaqun, Yi
    • Asian Journal of Business Environment
    • /
    • 제6권2호
    • /
    • pp.23-25
    • /
    • 2016
  • Purpose - Entrepreneurship has started to emerge. There are huge technology startups from the past few decades. Current scenario demands entrepreneurship and there is an immense need to start green ventures where Eco-Entrepreneurs, Sustainable Entrepreneurs/ Sustainopreneurs strive together to make world a better place. But the latest Five-Year Plan is green, at least in theory regarding developing countries. The paper explores what factors turn entrepreneurs into Sustainopreneur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Research design is followed by the interviews from fifteen sustainopreneurs and entrepreneurs who are actively involved in green businesses. The interviews have been analyzed by categorization method to find out factors which turned them to be sustainable entrepreneurs. Results - The results have shown the factors which helps in leading entrepreneurs to become Sustainopreneurs. These factors are present in the entrepreneurs which lead them to start a venture for a cause. Conclusions - The proposed findings are helpful in further study of Sustainopreneurship and the fact that there should be some steps taken by policy makers, and sustainopreneurs to promote eco-businesses.

성공적인 벤처기업의 특성 분석: 사례연구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ccessful Venture Firms: Case Study)

  • 송위진;신태영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권3호
    • /
    • pp.351-363
    • /
    • 1998
  • This case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factors which make venture firms successful. It analysedthree high-performance venture firms originated from the government-financed rese arch institute, the company and the university on the viewpoint of 'dynamic capability' theory. In this case study, technology integration capability and administrative innovation capability were identified as success factors of the three venture firms. The study also presented the role of the incubating organizations. Although incubating organizations supported technological and managerial resource-building of the entrepreneurs, there was not active interactive-learning between venture firms and incubating organizations after spin-off.

  • PDF

기업가의 창업 실패 경험과 재교육이 재창업에 미치는 영향: 창업 동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Entrepreneurs' Failure Experience and Re-education on Subsequent Venture: Moderating Effect of Entrepreneurial Motivation)

  • 김나미;이종선;김동수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2호
    • /
    • pp.33-45
    • /
    • 2020
  • 사회적으로 창업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지만 사실 창업은 실패할 가능성이 높게 내포되어 있는 위험한 도전이기도 하다. 창업 연구에 있어 실패는 필연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부분이지만, 기본적으로 실패를 회피하고 싶고 선호하지 않는 경향 때문에 상대적으로 폭넓게 연구되어 오지 못했다. 실패는 기업가에게 있어 고통스럽고 큰 비용을 수반하는 경험이지만 긍정적으로 연결시킬 수만 있다면 성공으로 나아가기 위한 하나의 관문이자 촉매제로 작용할 수 있는 값진 경험이기도 하다. 창업 실패를 경험한 기업가에게 사회적 차원의 도움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며 최근 재창업 지원제도의 일환으로 재창업 교육 등을 통해 재기하고자 하는 창업가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패를 경험한 기업가에 주목하여, 실패 경험을 통한 학습과 사회적 지원책으로의 재창업 교육이 재창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더불어 기업가의 개인적 요인으로 기업가의 행동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는 창업 동기에 주목하여, 실패 경험이 재창업에 미치는 영향 및 교육이 재창업에 미치는 영향에 기업가의 창업 동기가 어떠한 효과를 주는지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재기중소기업개발원의 실패 후 재창업을 계획한 연속 창업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이전 창업 경험으로부터 학습효과가 큰 기업가일수록 재창업 할 확률이 높았으며 재창업 교육으로부터 학습효과가 큰 기업가일수록 재창업할 확률 역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창업의 외재적 동기가 클수록 이러한 이전 경험과 재창업 교육의 학습효과가 재창업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가의 실패 귀인 지향성이 재창업에 미치는 영향: 기업가적 자기 효능감과 회복 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Serial Entrepreneurs' Failure Attribution on Subsequent Venture: Moderating Effect of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Resilience)

  • 이종선;김나미
    • 벤처창업연구
    • /
    • 제14권3호
    • /
    • pp.13-26
    • /
    • 2019
  • 사회경제적 부가가치 산출 및 파급효과가 높은 창업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창업이 가져오는 긍정적인 측면에 집중하여 적극적으로 권장되고 있지만, 실패에 대한 두려움은 창업을 주저하게 만드는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불확실성과 위험성이 높은 창업이 가지는 근본적인 특성상 창업가는 실패를 경험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실패하게 되더라도, 창업을 통해 습득했던 기업인의 경험과 지식은 재창업 시 중요한 원천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결코 사장되어서는 안 될 사회적 자산이 될 수 있다. 특히 재창업 시 동일한 산업에 재도전하는 것은 이전 창업 경험을 통한 학습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이렇듯 실패 후 재창업은 창업 관련 연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주제임에도 이와 관련한 체계적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창업가가 실패에 대해 귀인하는 경향성에 주목하여 이것이 재창업 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이 과정에서 기업가적 자기효능감과 회복 탄력성이 미치는 조절 효과를 함께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재기중소기업개발원을 통하여 실패 후 창업을 시도한 연속 창업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창업 실패의 원인을 내부적으로 귀인하는 경향이 높을수록 재창업 시 기존에 창업한 바 있는 동일한 산업을 그대로 유지하려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실패 내부 귀인 경향이 재창업 시 동일 산업 유지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은 기업가적 자기 효능감이 높을 때와 회복 탄력성이 높을 경우에 그 효과가 강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벤처기업 창업자의 성공요인 분석을 통한 창업교육에 대한 시사점 탐색 (A Study on the Success Factors of Venture Entrepreneurs and Entrepreneurship Education)

  • 이용희;박수홍
    • 벤처창업연구
    • /
    • 제9권6호
    • /
    • pp.231-244
    • /
    • 2014
  • 국내의 경기불황과 기업의 구조조정, 명예퇴직, 청년들의 취업난 등으로 인하여 창업시장의 경쟁이 치열해 졌으며, 이러한 경기불황은 창업을 생계유지를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 부추기는 실정이다. 그러나 아무런 준비 없이 뛰어든 창업은 부도라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성공적인 창업이 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지식과 기술이 필요하다. 창업자의 역량은 선천적인 것이 아니라 후천적으로 얻어지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성공한 벤처기업 창업자들의 성공요인을 분석하여 창업교육의 일환으로써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벤처기업 창업자의 성공요인은 창업자의 특성을 통해서 총18개의 항목으로 도출하였으며, 창업자에게 요구되어지는 역량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다음의 여섯 가지로 제시했다. 첫째, 창업자의 성취욕구적 특성과 목표지향적 특성은 창업교육의 요소로 활용가능하다. 둘째, 성취욕구적 특성은 창업 준비단계의 교육적 요소이며, 목표지향적 특성은 창업 후에 기업을 경영하기 위한 교육적 요소이다. 셋째, 창업자의 경험을 통한 학습은 매우 중요하므로 실무체험은 반드시 필요하다. 넷째, 창업교육은 젊은 층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다섯째, 창업역량을 측정하여 예비창업자의 부족한 역량을 개발할 수 있는 교육적 지원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창업교육자는 창업경험이 있는 사람이 현실적용 가능성을 고려하여 경험과 노하우를 전수해야한다.

  • PDF

근거이론에 기반한 청년 벤처 창업 활성화 방안 연구 (Revitalizing the Young Venture Entrepreneurship through Grounded Theory)

  • 김나랑;홍순구;이현미
    • 벤처창업연구
    • /
    • 제9권3호
    • /
    • pp.33-45
    • /
    • 2014
  • 정부가 실업문제 해결을 위해 청년 벤처 창업정책을 강력히 추진하고 있으나 청년 창업률은 높지 않다. 이러한 이유는 정부 주도의 단편적인 정책이 추진되어 창업자들이 겪고 있는 애로점을 해결해 주지 못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청년 벤처 창업 활성화를 위해 청년 벤처 창업가들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고 이를 근거이론으로 분석하여 패러다임 모형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대부분의 청년 벤처 활성화 정책이 폐쇄적인 참여 구조, 다양한 부처의 복잡한 정책, 단기 자금 지원, 획일적인 교육 및 지원, 창업후 후속 지원 정책의 부족, 과도한 행정 업무 요구, 성과에 집착한 단편적인 지원이 많아 창업자들에게 실효성 있는 정책이 되지 못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창업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효과적인 정책입안과 추진을 위하여 Co-creation 기반 IT 플랫폼을 통한 창업 활성화 정책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 되었다. 이를 활용하면 창업과 관련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적극적 참여로 창업관련 정보와 지원정책이 효과적으로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