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hicular Ad-hoc Networks

검색결과 140건 처리시간 0.027초

VCCN에서 Content Store 교체 알고리즘의 성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erformance of Content Store Replacement Algorithms over Vehicular CCN)

  • 최종인;강승석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1호
    • /
    • pp.495-500
    • /
    • 2020
  • 자동차를 기반으로 하는 애드 혹 네트워크 중 하나인 Vehicular Ad Hoc Network(VANET)은 자율 주행차와 커넥티드 카 등의 기술 개발과 더불어 많은 연구가 진행 중인 주제 중 하나이다. VANET을 구현하는 경우 기존의 TCP/IP를 이용한 연구도 진행하고 있지만, Content Centric Networking (CCN)을 이용한 VANET over CCN (VCCN) 관련 연구도 다양한 장점으로 인해 높은 실현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본 논문은 CCN 노드들이 관리하는 전송관련 정보 테이블 중에서 Content Store(CS)에 할당된 공간이 모두 사용되어 새로운 항목을 추가할 경우 기존의 일부 항목을 교체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다양한 교체 알고리즘의 성능을 평가하고 특정 네트워크 상황에서의 전송특성을 분석하였다. 모의실험 결과, LRU 교체 알고리즘의 성능이 다른 세 가지 교체 알고리즘 보다 우수하였다. 또한 CS 의 크기가 작더라도 전송 성능이 일정 수준을 유지하였으며, CS의 크기가 클수록 전송 성능은 그에 비례하여 상승하였다. 네트워크가 혼잡한 경우 또는 전송 노드 사이의 거리가 먼 경우 데이터 전송 성능도 감소하였다.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OFDM-Based Vehicular Systems through Diversity Coding

  • Arrobo, Gabriel E.;Gitlin, Richard D.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15권2호
    • /
    • pp.132-141
    • /
    • 2013
  • In this paper, we present diversity 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DC-OFDM), an approach to maximize the probability of successful reception and increase the reliability of OFDM-based systems through diversity coding. We focus on the application of DC-OFDM to vehicular networks based on IEEE 802.11p technology and analyze the performance improvement using this new technology. It is shown that DC-OFDM significantly improves the performance of vehicular ad hoc networks in terms of throughput and the expected number of correctly received symbols.

교통 기관 애드혹 네트워크 와 Proximity기반 서비스의 통합 (Integration of Proximity-based Services with Vehicular Ad-hoc Networks)

  • 엘하지 막타 디옵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26-129
    • /
    • 2015
  • 최근 단말간 직접 통신이 가능한 단말대단말 통신 기술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따라서 단말대단말 기술이 셀룰러 통신 시스템 및 차량 통신 시스템에 접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Evolved Packet Core Network 기반 단말 탐색 시뮬레이터 개발에 대해서 살펴보고, Proximity기반 서비스의 차량간 애드혹 네트워크로의 적용 가능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개발된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성능 분석을 통해서 유저들이 비슷한 위치에 모여 있는 환경, 즉대중교통과 비슷한 환경에서 LTE 네트워크의 트래픽이 Wi-Fi통해 단말대단말 통신으로 효율적으로 오프로딩될 수 있고 교통 관련 정보 멀티캐스팅에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

  • PDF

Modeling Geographical Anycasting Routing in Vehicular Networks

  • Amirshahi, Alireza;Romoozi, Morteza;Raayatpanah, Mohammad Ali;Asghari, Seyyed Amir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4권4호
    • /
    • pp.1624-1647
    • /
    • 2020
  • Vehicular network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subjects for researchers in recent years. Anycast routing protocols have many applications in vehicular ad hoc networks. The aim of an anycast protocol is sending packets to at least one of the receivers among candidate receivers. Studies done on anycast protocols over vehicular networks, however, have capability of implementation on some applications; they are partial, and application specific. No need to say that the lack of a comprehensive study, having a strong analytical background, is felt. Mathematical modeling in vehicular networks is difficult because the topology of these networks is dynamic. In this paper,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vehicular networks can be modeled based on time-expanded networks. The focus of this article is on geographical anycast. Three different scenarios were proposed including sending geographic anycast packet to exactly-one-destination, to at-least-one-destination, and to K-anycast destination, which can cover important applications of geographical anycast routing protocols. As the proposed model is of MILP type, a decentralized heuristic algorithm was presented. The evaluation process of this study includes the production of numerical results by Branch and Bound algorithm in general algebraic modeling system (GAMS) software and simulation of the proposed protocol in OMNET++ simulator. The comprehension of the result of proposed protocol and model shows that the applicability of this proposed protocol and its reactive conformity with the presented models based on presented metrics.

Improved Paired Cluster-Based Routing Protocol in Vehicular Ad-Hoc Networks

  • Kim, Wu Woa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7권2호
    • /
    • pp.22-32
    • /
    • 2018
  • In VANET, frequent movement of nodes causes dynamic changes of the network topology. Therefore the routing protocol, which is stable to effectively respond the changes of the network topology, is required. Moreover, the existing cluster-based routing protocol, that is the hybrid approach, has routing delay due to the frequent re-electing of the cluster header. In addition, the routing table of CBRP has only one hop distant neighbor nodes. PCBRP (Paired CBRP), proposed in this paper, ties two clusters in one pair of clusters to make longer radius. Then the pair of the cluster headers manages and operates corresponding member nodes. In the current CBRP, when the cluster header leaves the cluster the delay, due to the re-electing a header, should be occurred. However, in PCBRP, another cluster header of the paired cluster takes the role instead of the left cluster header. This means that this method reduces the routing delay. Concurrently, PCBRP reduces the delay when routing nodes in the paired cluster internally. Therefore PCBRP shows improved total delay of the network and improved performance due to the reduced routing overhead.

차량 망에서 긴급 메시지 전파를 위한 LV-CAST 알고리즘 (An LV-CAST algorithm for emergency message dissemination in vehicular networks)

  • 배인한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4권6호
    • /
    • pp.1297-1307
    • /
    • 2013
  • 차량 망을 위해 개발된 다수의 멀티-홉 응용들은 근접한 이웃 차량들을 발견하거나 어떤 지리적 지역 내에 위치하는 다른 차량들에게 유용한 트래픽 정보를 전파하기 위한 수단으로 방송을 사용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방송 메커니즘은 지나치게 많은 패킷 방송에 기인하여 링크 계층에서 높은 수준의 경쟁과 충돌이 발생하는 방송 폭풍 문제를 유발시킬 수도 있다. 방송 폭풍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 논문에서는 안전 관련 긴급 메시지를 전파하는 RPB-MACn 기반 차량 방송 알고리즘인 LV-CAST (the Last Vehicle-based broad CAST)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LV-CAST에서는 긴급 메시지를 전송하는 차량으로부터 그 긴급 메시지를 수신한 노드의 바로 뒤따라오는 노드까지 1홉 연장거리를 계산하여 전송범위 내의 마지막 노드를 식별하고, 그 마지막 차량만이 긴급 메시지를 재방송하도록 한다. 제안하는 LV-CAST의 성능을 모의실험으로 평가하고 다른 메시지 전파 알고리즘들과 비교한다.

Artificial neural network for safety information dissemination in vehicle-to-internet networks

  • Ramesh B. Koti;Mahabaleshwar S. Kakkasageri;Rajani S. Pujar
    • ETRI Journal
    • /
    • 제45권6호
    • /
    • pp.1065-1078
    • /
    • 2023
  • In vehicular networks, diverse safety information can be shared among vehicles through internet connections. In vehicle-to-internet communications, vehicles on the road are wirelessly connected to different cloud networks, thereby accelerating safety information exchange. Onboard sensors acquire traffic-related information, and reliable intermediate nodes and network services, such as navigational facilities, allow to transmit safety information to distant target vehicles and stations. Using vehicle-to-network communications, we minimize delays and achieve high accuracy through consistent connectivity links. Our proposed approach uses intermediate nodes with two-hop separation to forward information. Target vehicle detection and routing of safety information are performed using machine learning algorithms. Compared with existing vehicle-to-internet solutions, our approach provides substantial improvements by reducing latency, packet drop, and overhead.

이종의 차량 모바일 네트워크에서 퍼지 로직을 이용한 최적의 핸드오프 기법 (Optimized Handoff Scheme with Fuzzy logic in Heterogeneous Vehicular Mobile Networks)

  • 노영삼;정종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1권1호
    • /
    • pp.35-46
    • /
    • 2012
  •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발에 의해 한 지역에서 3G 네트워크와 WLAN, 무선 광대역 네트워크와 같은 여러 무선 네트워크 접속 기술들이 사용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기술의 발달로 사용자는 저속 또는 고속으로 이동하는 환경과 AP(Access Point)간 거리 변화에 따른 다양한 환경에서 차량용 모바일 네트워크 환경을 경험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환경 변화에 따른 네트워크 성능 문제를 다루고 있다. 전송 시간이나 전송 비용을 최소화하는데 중점을 두고, 퍼지 로직을 적용해 주변환경 요소에 따른 성능 평가를 한다. 먼저 WLAN과 고정 거리간 AP를 가지는 3G 네트워크로 구성된 환경과 WLAN과 무작위 거리에 있는 AP(Access Points)를 가지는 3G 네트워크로 구성된 환경, 그리고 위 두 환경에서 차량용 Ad hoc 네트워크를 사용한 환경에서의 성능을 분석한다. 이는 V2I(Vehicle to Infrastructure) / V2V(Vehicle to Vehicle) 환경을 가정한 상황이다. 퍼지 로직을 적용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차량의 이동 속도와 APs간의 거리에 따른 차량용 네트워크의 최적화 방향이 되는 환경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을 적용하였을 경우, V2I와 V2V환경에서 네트워크 성능은 각각 21%/ 13%가 향상되는 결과를 보였다.

VANETs을 위한 가중치 기반 침입탐지 방법의 설계 및 평가 (Design and Evaluation of a Weighted Intrusion Detection Method for VANETs)

  • 오선진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181-188
    • /
    • 2011
  • 무선 네트워크와 모바일 컴퓨팅 응용의 급속한 보급과 더불어, 최근 네트워크 보안의 배경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이동성이 높은 차량 노드들로 네트워크 위상을 유지하는 차량 애드 혹 네트워크(Vehicular Ad Hoc Networks: VANETs)는 일반적으로 불안정한 통신 링크를 갖는 자기 조직화 P2P 망으로, 고정된 인프라 구조나 중앙 통제 라우팅 장비 없이 자동으로 망을 구성하고, 시간에 따라 고속으로 이동하며 망에 결합하거나 이탈하는 개방 망이므로 중앙 집중 제어 없이 누구나 접속이 허용되기 때문에 네트워크상에 해로운 비정상 행위 노드들에 대한 침입에 매우 취약하다. 본 논문에서는 VANETs에서의 노드들의 활동에 대한 비정상 행위를 효율적으로 식별하여 침입을 탐지할 수 있는 러프집합을 이용한 가중치 기반 침입탐지 방법을 제안하고, 그 성능을 모의실험을 통해 임계 허용 오차 ${\epsilon}$에 대한 비정상 행위로 인한 침입 탐지율과 거짓 경고율로 평가한다.

VANET에서 안전한 위치인지 서비스를 위한 보안 프로토콜 (A Secure Protocol for Location-Aware Services in VANETs)

  • 서철;박영호;이경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2권11호
    • /
    • pp.495-502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VANET 환경에서 핵심요소 기술로 각광받고 있는 위치인지 서비스의 안전성 및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한 익명 인증 및 위치정보 보증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안전한 VANET 환경 구축을 위해 기 제안되었던 익명 인증 기술들과 차별화된 기술로써 위치정보를 암호학적 기법과 결합시켜 암호 기술의 기능과 특정 위치에 대한 연관성을 부여하고 이러한 관계를 암호학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위치정보에 대한 보증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운전자 및 차량에 대한 프라이버시 보호를 제공할 수 있는 위치인지 서명키와 이를 이용한 위치인지 서명 기술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 프로토콜은 VANET에서 차량들에 대한 통신 및 계산상 오버헤드를 경감시키기 위한 해쉬 체인에 기반한 효율적인 상태 검증 절차를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제안 프로토콜의 효율성 및 유효성을 검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