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getative growth

검색결과 590건 처리시간 0.04초

클레마티스 수삽번식 향상을 위한 삽수길이 및 NAA 농도 (Effective Cutting Length and NAA Concentration for Water Cutting Propagation in Clematis)

  • 길미정;유봉식;권영순;최성열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88-292
    • /
    • 2014
  • 클레마티스의 경삽에 의한 삽목번식이 잘 되지 않는 7-8월의 영양번식방법으로 수삽의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수삽시 적정한 삽수길이 및 발근제 처리효과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클레마티스 '호노라'의 1마디 삽수와 2마디 삽수를 NAA $0.1mg{\cdot}L^{-1}$에 처리하였다. NAA $0.1mg{\cdot}L^{-1}$ 처리구는 삽수길이에 관계없이 100% 발근되었지만, 무처리구는 1마디, 2마디 삽수 각각 약 30%와 19%로 발근율이 현저히 낮았다. 뿌리수, 뿌리길이도 NAA $0.1mg{\cdot}L^{-1}$ 처리구가 우수하였고, 그 효과는 1마디 삽수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호노라' 수삽의 결과를 바탕으로 2013년 클레마티스 '파이루'의 1마디 삽수를 이용하여 NAA(0, 0.1, 0.5, $1.0mg{\cdot}L^{-1}$) 처리농도에 따른 발근율을 비교 하였다. 발근소요일수는 약 70-74일로 약 10주가 소요되었고 농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발근율은 NAA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높았으며, NAA $1.0mg{\cdot}L^{-1}$ 처리시 약 90% 발근되었다. 전반적인 뿌리의 생육은 NAA $0.5mg{\cdot}L^{-1}$ 이상의 농도에서 향상되었다. 하지만 '파이루'는 NAA를 처리하지 않아도 76%이상 발근되는 것으로 보아 '호노라'보다 수삽에 의한 번식이 용이한 품종으로 생각된다.

주요 오이품종들의 억제작형 양액재배 수량성 비교 (Productivity of Major Varieties of Cucumber in Retarding Culture under Hydroponic Condition)

  • 임정묵;권병선;신동영;현규환;김학진;정순주;이범선;임준택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23-226
    • /
    • 2006
  • 본 연구는 여러 오이 품종들의 억제작형에서의 생장과 수량을 조사하여 이 작형에서 적합한 품종을 선발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엽수에 있어서 청장계 오이가 가장 많았고 흑진주계 오이에서 가장 적어 영양생장으로는 청장계 오이가 가장 좋았다. 암꽃수에 있어서 흑진주계 오이가 가장 많았고 청장계 오이가 가장 적었다. 암꽃비율에서도 흑진주계 오이가 가장 높았으며 청장계 오이가 가장 낮았다. 퇴화 암꽃비율에서는 흑진주계 오이가 가장 높았으며 청장계 오이는 0%로 거의 퇴화를 보이지 않았다. 측지제거처리와 측지무제거 처리간 수량은 유이한 차이가 없었다. 수량에 있어서 흑진주계 오이가 가장 높았고 청장계 오이가 가장 낮아 억제작형재배에서 가장 적합한 품종은 흑진주계 오이인 것으로 나타났다.

Roc10, a Rice HD-Zip transcription factor gene, modulates lignin biosynthesis for drought tolerance

  • Bang, Seung Woon;Lee, Dong-Keun;Jung, Harin;Chung, Pil Joong;Kim, Youn Shic;Choi, Yang Do;Suh, Joo-Won;Kim, Ju-Ko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159-159
    • /
    • 2017
  • Drought, a common environmental constraint, induces a range of physiological, biochemical and molecular changes in plants, and can cause severe reductions in crop yield. Consequently, understanding the molecular mechanisms of drought tolerance is an important step towards crop biotechnology. Here, we report that the rice (Oryza sativa) homeodomain-leucine zipper class IV transcription factor gene, ${\underline{R}ice}$ ${\underline{o}utermost}$ ${\underline{c}ell-specific}$ gene 10 (Roc10), enhances drought tolerance and grain yield by increasing lignin accumulation in ground tissues. Overexpression of Roc10 in rice significantly increased drought tolerance at the vegetative stages of growth and promoted both more effective photosynthesis and a reduction in water loss rate, compared with non-transgenic controls or RNAi transgenic plants. Importantly, Roc10 overexpressing plants had a higher drought tolerance at the reproductive stage of growth and a higher grain yield compared with the controls under field-drought conditions. Roc10 is mainly expressed in outer cell layers including the epidermis and the vasculature of the shoots, which coincides with areas of cell wall lignification. Roc10 overexpression elevated the expression levels of lignin biosynthetic genes in shoots, with a concomitant increase in the accumulation of lignin, while the overexpression and RNAi lines showed opposite patterns of lignin accumulation. We identified downstream target genes of Roc10 by performing RNA-seq and chromatin immunoprecipitation (ChIP)-seq analyses of shoot tissues. Roc10 was found to directly bind to the promoter of PEROXIDASEN/PEROXIDASE38, a key gene in lignin biosynthesis. Together, our findings suggest that Roc10 confers drought stress tolerance by promoting lignin biosynthesis in ground tissues.

  • PDF

Tillage practices and fertilization effects on growth and nitrogen efficiency in soybean

  • Roy, Swapan Kumar;Jung, Hyun-Jin;Yoo, Jang-Hwan;Kwon, Soo Jeong;Yang, Jong-Ho;Kim, Sook-Jin;Chung, Keun-Yook;Kim, Hong-Sig;Woo, Sun-Hee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356-356
    • /
    • 2017
  • A field experiment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tillage systems and fertilizer management on yield and nutrient uptake in Soybean. The plant height, fresh weight and dry weight of conventional tillage were much higher those observed for no-tillag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lant height were observed under tillage practices combined with fertilizer treatment. However, the greatest plant height (128.47 cm) was observed in conventional tillage with chemical fertilizer, and the lowest (45.4 cm) was observed in the no-tillage with green manure treatment. The highest fresh weight (172.4 g) and dry weight (44.1 g) were observed from the no-tillage chemical treatment in the late flowering stage of soybean. The plant concentration of nitrate was higher (2.29%) in no-tillage with green manure than it was with chemical fertilization. However, nitrogen increased steadily in all treatments, and the highest quantity of total nitrogen (476.7 Kg/ha) was observed in no-tillage with green manure. The N content in the soil decreased gradually just after the vegetative stage. Tillage practices and additional fertilizer application had an adverse effect on the uptake of N, P and K in soybean seeds. The nitrogen concentration in seeds was found to be increased in the no-tillage with green manure treatment. The uptake of more nitrogen induced a better yield. Thus, the no-tillage with green manure treatment had the greatest yield, although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among foliar-applications and additional fertilization. Additionally, the phosphorus and potassium concentrations in seeds remained the same between the conventional tillage and no-tillage treatments.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indicate that no-tillage strategies with fertilizers may influence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mineral uptake in soybean.

  • PDF

Enhancement of flood stress tolerance for upland-adapted cereal crops by the close mixed-planting with rice

  • Iijima, Morio;Awala, Simon K;Hirooka, Yoshihiro;Yamane, Koji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44-44
    • /
    • 2017
  • Recently, the occurrences of extreme flooding and drought, often in the same areas, have increased due to climate change. We tested the hypothesis that wetland species could help upland species under flood conditions; that is, the roots of wetland crops may supply $O_2$ to the roots of upland crops by a series of experiments conducted in both humid Japan and semi-arid Namibia (See Iijima et al, 2016 and Awala et al, 2016). Firstly, flooding tolerance of upland-adapted staple crops-pearl millet (Pennisetum glaucum) and sorghum (Sorghum bicolor) mix-cropped with rice (Oryza spp.) was investigated in glasshouse and laboratory experiments in Japan. We found a phenomenon that strengthens the flood tolerance of upland crops when two species-one wetland and one drought tolerant-were grown using the mixed cropping technique that results in close tangling of their root systems, hereinafter referred to "close mixed-planting". This technique improved the photosynthetic and transpiration rates of the upland crops subjected to flood stress ($O_2$-deficient nutrient culture). Oxygen transfer was suggested between the two plants mix-cultured in water, implying its contribution to the phenomenon that improved the physiological status of upland crops under the simulated flood stress. Secondly, we further tested whether this phenomenon would be expressed under field flood conditions. The effects of close mixed-planting of pearl millet and sorghum with rice on their survival, growth and grain yields were evaluated under controlled field flooding in semi-arid Namibia during 2014/2015-2015/2016. Single-stand and mixed plant treatments were subjected to 11-22 day flood stress at the vegetative growth stage. Close Mixed-planting increased seedling survival rates in both pearl millet and sorghum. Grain yields of pearl millet and sorghum were reduced by flooding, in both the single-stand and mixed plant treatments, relative to the non-flooded upland yields, but the reduction was lower in the mixed plant treatments. In contrast, flooding increased rice yields. Both pearl millet-rice and sorghum-rice mixtures demonstrated higher land equivalent ratios, indicating a mixed planting advantage under flood condition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ix-planting pearl millet or sorghum with rice could alleviate flood stress on dryland cereals. The results also suggest that with this cropping technique, rice could compensate for the dryland cereal yield losses due to field flooding. Mixed cropping of wet and dryland crops is a new concept to overcome flood stress under variable environmental conditions.

  • PDF

Changes of soil water content and soybean (Glycine max L.) response to groundwater levels using lysimeter

  • Lee, Sanghun;Jung, Ki-Yuol;Chun, Hyen-Chung;Choi, Young-Dae;Kang, Hang-Wo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299-299
    • /
    • 2017
  • Due to the climate changes in Korea, the numbers of both torrential rain events and drought periods have increased in frequency. Water management practice against water shortage and flooding is one of the key interesting for field crop cultivation, and groundwater often serves as an important and safe source of water to crops.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groundwater table levels on soil water content and soybean development under two different textured soil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lysimeter located in Miryang, Korea. Two types of soils (sandy-loam and silty-loam) were used with three groundwater table levels (0.2, 0.4, 0.6m). Mean soil water content during the soybean growth period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groundwater table levels. With the continuous groundwater level at 0.2m from the soil surface, soil water content was not statistically changed between vegetative and reproductive stage, but the 0.4 and 0.6m groundwater table leve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Lower chlorophyll content in soybean leaves was found in shallow water table treatment in earlier part of the growing season, but the chlorophyll contents were non-significant among water table treatments. Groundwater table level treatments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on plant available nitrogen content in surface soil. The highest N contents were observed in 0.6m groundwater table level. It is probably due to the nitrogen loss by denitrification as the result of high soil water content. The length and dry weight of primary root was influenced by groundwater level and thus the highest length and dry weight of root were observed in 0.6m water table level. This result showed that soybean root growth did not extend below the groundwater level and increased with the depth of groundwater table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management of groundwater level can influence on soil characteristics, especially on soil water content, and it is an important practice of to reduce yield loss caused by the water stress during the crop growing season.

  • PDF

잡곡-피복작물 작부체계에서 잡초 발생과 작물 생장 (Effects of Winter Cover Crop-Minor Cereal Cropping System on Weed Occurrences and Crop Growth)

  • 강명훈;전승호;이세훈;윤성탁;황재복;김석현;심상인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43-251
    • /
    • 2010
  • 피복작물을 이용한 잡초 방제효과와 녹비효과를 비교 분석하여 효과적인 피복작물-잡곡 작부체계를 알아보기 위한 호밀과 자운영을 이용하여 포장시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피복작물의 잡초 방제효과는 잡초의 발아억제와 생육저해로 잡곡 초기생장에 있어 잡초발생시기를 늦추었다. 그러나 잡초 방제기간이 자운영은 30일 내외, 호밀은 40일 내외로 자운영보다 호밀의 잡초방제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무처리구와 자운영 피복구는 잡곡의 출수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호밀의 피복구에서는 7일 정도 지연되었다. 피복작물에 대한 기장의 초장은 30%, 건물중은 70% 이상의 피해를 받았고, 조의 초장은 25%, 건물중은 60% 이상의 피해를 보였다. 그러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조, 기장, 수수 모두 많은 회복을 보였으며, 특히 수수에서는 초장은 거의 회복되었으며, 건물중도 56% 까지 회복하였다.

LED를 이용한 장일 처리가 프리지아(Freesia hybrida) '이본느'의 생육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ay-length Extension Treatment Using LED on Growth and Flowering of Freesia hybrid 'Yvonne')

  • 이진재;황지혜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6호
    • /
    • pp.794-802
    • /
    • 2014
  • 본 연구는 프리지아 '이본느'를 가지고 매일 오후 5시에서 8시까지 150일 동안 LED(청색, 녹색, 적색, 청색:녹색:적색 혼합)광과 백열등, 메탈할라이드등으로 보광을 함으로써, 꽃눈분화 이후부터 개화가 완전히 종료될 때까지 광질에 따른 장일처리가 프리지아의 생육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엽분열기부터 화뢰형성기까지 초장은 광원별 장일처리에 의해 큰 변화는 없었고 엽수는 메탈할라이드등 처리에서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화뢰 발달기 때 엽 내 엽록소 함량은 메탈할라이드등에서 가장 높았다. LED 청색광과 녹색광에서 개화기가 빨랐는데 특히 녹색광 처리에서 가장 빨라 무처리와 메탈할라이드등에 비해 6-8일 정도 단축되었다. 포장 내 개화기간은 LED 적색광에서 가장 짧아 일시 수확에는 효과적이었다. 메탈할라이드 등에서 절화중, 소화의 길이와 폭 등 절화특성이 우수하였다. 구근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LED 적색광에서는 구폭과 구중이, 백열등 처리에서는 구고와 구중이 감소하였고, 구근 내 전분함량은 모든 시험구 사이에 특별한 차이가 없었다. 결과적으로 개화촉진은 LED 녹색등에서 효과적이었고 개화품질은 메탈할라이드등 처리에서 우수하였다.

지표면 멀칭재료가 지온과 사과나무 묘목의 수체생육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Materials for Surface Mulching on Soil Temperature and Vegetative Growth of Apple Nursery Trees)

  • 사공동훈;이수진;한수곤;윤태명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9
    • /
    • 2011
  • 본 실험은 멀칭용 P.E 필름 종류에 따른 지온변화가 사과 우량 측지묘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투명 P.E. 필름, 흑색 P.E. 필름 피복구와 대조구로 무피복구를 두고 대목 직경이 9.1~11.0mm인 M.9 대목을 재식하였다. 대목 재식 3주 후에 사과 '시나노 스위트' 품종을 절접하였으며, 6월 중순에는 재식 당년 측지발생을 유도하기 위하여 묘목에 BA를 살포하였다. 생육기인 4월 중순부터 11월 초순까지의 대조구의 지온은 기온보다 약 $0.7^{\circ}C$ 정도 높았고, 피복구의 지온은 대조구보다 약 $1{\sim}5^{\circ}C$ 정도 높았다. P.E. 필름 종류별 지온은 투명 P.E. 필름 피복구가 흑색 P.E. 필름 피복구보다 약 $2{\sim}3^{\circ}C$ 정도 높았다. 기상요소에 따른 지온의 일교차는 흑색 P.E. 필름 피복구가 시험구중 가장 낮았다. 사과 묘목의 생장과 측지 발달에 있어서는 피복구가 무피복구보다 생장이 양호하였다. 우량 측지묘 획득률은 흑색 P.E. 필름피복구가 가장 높았는데, 그 이유는 생육초기 지온이 대조구보다 높게 유지되면서 여름철에 지온이 $35^{\circ}C$를 넘은 적이 투명 P.E. 필름 피복구보다 많지 않았기 때문으로 추정되었다.

옥수수 한발 내성에 관한 연구 현황 (Research Status for Drought Tolerance in Maize)

  • 김경희;문준철;김재윤;김효철;신승호;송기태;이병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0권4호
    • /
    • pp.401-411
    • /
    • 2015
  • 한발은 환경 스트레스에 미치는 자연재해로서, 장기간에 걸쳐 강수량 및 수분공급이 저하되면 수분이 결핍되어 작물이 정상적인 생리활동을 할 수 없고, 생육 또한 불량하여 수량감소에 큰 영향을 미친다. 모든 작물들이 한발의 영향을 크게 받지만 어느 생육 단계에서 한발 스트레스를 받느냐에 따라서 피해가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옥수수는 한발 스트레스를 받으면 유묘기 형성, 영양 생장, 뿌리 발달, 광합성, 개화기, ASI, 종실 형성, 수량 등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특히 영양생장에서 생식생장으로 전환되는 단계에 한발 스트헤스를 받으면 수꽃 및 화분 방출이 늦어지고, 출사기 및 옥수수 수염 발생도 늦어져 ASI가 증가하여 수정이 불가능 하거나 수정이 되더라도 배 발생 억제 및 방해를 받아 수량 감소의 큰 원인이 된다. 이러한 한발에 대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 1980년대부터 최근까지 마커와 표현형이 연관된 유전체를 바탕으로 다량의 분자적 데이터 분석을 통한 옥수수 한발 내성 품종 선별 및 육종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수량 등 다양한 유전자들이 관여하고 환경 스트레스에 영향을 받는 양적형질 QTL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으며, genomics 분야에서 신기술인 MAS를 이용하여 목표유전자 이입 및 선발을 통해 또 다른 육종 선발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유전자 조작기술을 이용한 한발 내성 특징을 가진 옥수수를 개발하여 제품으로 생산 및 판매되고 있다. 과거 전통적인 육종 방법은 자식계통의 표현형 분석과 특별 조합을 통한 계통으로부터 데이터를 분석하여 품종을 육성하였으나, 현재는 모든 작물의 유전체 전체를 이용한 데이터 베이스와 분자 마커 기술을 한발 내성 육종에 활용하여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분자적 육종 기술의 발달은 우수한 연구 결과를 도출 및 확보할 수 있으며, 옥수수 한발 내성 신품종 개발에 있어서 새로운 육종 기술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