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ductivity of Major Varieties of Cucumber in Retarding Culture under Hydroponic Condition

주요 오이품종들의 억제작형 양액재배 수량성 비교

  • Lim Jung-Mook (Division of Plant Production Sciences,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Sunchon Nat'l Univ.) ;
  • Kwon Byung-Sun (Division of Plant Production Sciences,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Sunchon Nat'l Univ.) ;
  • Shin Dong-Young (Division of Plant Production Sciences,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Sunchon Nat'l Univ.) ;
  • Hyun Kyu-Hwan (Division of Plant Production Sciences,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Sunchon Nat'l Univ.) ;
  • Kim Hak-Jin (Division of Plant Production Sciences,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Sunchon Nat'l Univ.) ;
  • Chung Soon-Ju (Faculty of Applied Plant Science, College of Agriculture, Chonnam Nat'l Univ.) ;
  • Lee Beom-Seon (Faculty of Applied Plant Science, College of Agriculture, Chonnam Nat'l Univ.) ;
  • Lim June-Taeg (Division of Plant Production Sciences,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Sunchon Nat'l Univ.)
  • 임정묵 (순천대학교 농업생명과대학 식물생산과학부) ;
  • 권병선 (순천대학교 농업생명과대학 식물생산과학부) ;
  • 신동영 (순천대학교 농업생명과대학 식물생산과학부) ;
  • 현규환 (순천대학교 농업생명과대학 식물생산과학부) ;
  • 김학진 (순천대학교 농업생명과대학 식물생산과학부) ;
  • 정순주 (전남대학교 농과대학 응용식물학부) ;
  • 이범선 (전남대학교 농과대학 응용식물학부) ;
  • 임준택 (순천대학교 농업생명과대학 식물생산과학부)
  • Published : 2006.04.0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lect proper varieties of cucumber by comparing growth and yield in retarding cultivation under hydroponic culture. Number of leaves appeared to be the highest Chungjangoi and the lowest in Heukjinjuoi. Heukjinjuoi showed higher vegetative growth rate. Heukjinjuoi showed the highest number of female flowers while Chungjangoi the lowest. The ratio of female flower was the highest in Heukjinjuoi and the lowest in Chungjangoi. Abortion of female flower appeared to be the highest in Heukjinjuoi and the lowest with 0% in Chungjangoi.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yield between treatments of removal and not-removal of lateral buds.

본 연구는 여러 오이 품종들의 억제작형에서의 생장과 수량을 조사하여 이 작형에서 적합한 품종을 선발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엽수에 있어서 청장계 오이가 가장 많았고 흑진주계 오이에서 가장 적어 영양생장으로는 청장계 오이가 가장 좋았다. 암꽃수에 있어서 흑진주계 오이가 가장 많았고 청장계 오이가 가장 적었다. 암꽃비율에서도 흑진주계 오이가 가장 높았으며 청장계 오이가 가장 낮았다. 퇴화 암꽃비율에서는 흑진주계 오이가 가장 높았으며 청장계 오이는 0%로 거의 퇴화를 보이지 않았다. 측지제거처리와 측지무제거 처리간 수량은 유이한 차이가 없었다. 수량에 있어서 흑진주계 오이가 가장 높았고 청장계 오이가 가장 낮아 억제작형재배에서 가장 적합한 품종은 흑진주계 오이인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金浜耕基. 1989. キユウリの曲ガリ果に關する諸問題(1)曲 ガリガ發生する栽培條件. 農業および園藝64(1): 47-52
  2. Nicklow, C. W. and P. A. Minges. 1963. Plant growing factors influencing the field performance of the fireball tomato variety. Proc. Amer. Soc. Hort. Sci. 81: 443-450
  3. 日本施設園藝協會. 1996. 最新養液栽培の手引き. 誠文堂新光社. pp. 26
  4. 農山漁村文化協會. 1989. 農業技術大系野菜編12 共通技術 . 先端技術. 農山漁村文化協會. pp. 99-103
  5. 오일수, 배종향. 1995. 양액재배론. 선진문화사. pp. 154
  6. 서범석,정순주,양원모,강종구. 1995. 과채류 양액재배기술. 호남온실작물연구소 pp. 152-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