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blen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초

A Treatise on the Cross-Cultural Analysis of Indian Consumers' Conspicuous Consumption of Veblen Products

  • Potluri, Rajasekhara Mouly;Ansari, Rizwana;Challa, Siva Kumar;Puttam, Lavanya
    • 산경연구논집
    • /
    • 제5권3호
    • /
    • pp.35-43
    • /
    • 2014
  • Purpose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easons behind the conspicuous consumption of Veblen products, viz. fashion designer wear, diamond and gold jewellery, and high-end cars, to examine how conspicuous consumption varies between Aryan and Dravidian cultur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researchers meticulously review the relevant literature, administered a well-structured questionnaire, and conducted personal interviews on various influential factors relating to the consumption of Veblen products. The convenience sampling technique was used to gather data, with a total sample of 200, equally selected from eight cities of both North and South India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ANOVA and Z-Proportion tests. Results - Indian consumers' conspicuous consumption significantly varies among the Veblen products selected for the study, between the Aryan and Dravidian cultures. Regarding conspicuous consumption of branded accessories, 65 percent of Aryan culture Indians responded positively as against only 45 percent of the Dravidian culture Indians. Conclusions - This ingenious study proffers valuable insights about the conspicuous buying behavior of affluent class consumers in India, which are lucrative for both the corporate sector and academia.

베블런효과와 밴드왜건효과가 미용실 선택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Veblen Effect and Bandwagon Effect on the Choice Behavior of Hair Salon)

  • 최재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0호
    • /
    • pp.559-570
    • /
    • 2017
  • 이 연구는 베블런효과와 밴드왜건효과가 미용실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20세 이상의 여성 1,00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표본추출은 연구결과의 일반화를 위하여 비례층화표본추출방법을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19.0을 가지고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두 개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1은 베블런효과는 미용실 선택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2는 밴드왜건효과는 미용실 선택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분석결과 베블런효과와 밴드왜건효과는 미용실을 선택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베블런효과는 미용실을 선택하는데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과 밴드왜건효과는 미용실을 선택하는데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부분적으로 채택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는 미용실 이용자의 대부분은 그들의 친구, 지인 또는 함께 교류하는 사람과 미용실을 이용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주거용부동산의 거주유형에 따른 베블런효과에 관한 연구: 과시소비성향을 중심으로 (A Study on Veblen Effect according to Residence Estate: Focused on Conspicuous Consumption)

  • 장서윤;하규수
    • 벤처창업연구
    • /
    • 제10권6호
    • /
    • pp.107-119
    • /
    • 2015
  • 최근 부유층 주거지에 특정 목적에 의한 중 저소득층이 진입, 준거집단에 합류하며 과시효과를 누리고 싶어 한다. 이 현상으로 주거용부동산에 대해 유한계급층이 아닌 일반 소비자들의 과시효과에 대한 욕구를 유추할 수 있다. 과시소비를 함으로써 고가의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준거집단에 속한다는 우월함과 고가를 지불할 수 있는 능력을 통해 부를 전시하는 효과를 얻는다고 볼 때 자신의 사회경제적 능력을 보이기 위한 과시적 소비성향은 주거용부동산에도 영향을 미치리라고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주거부동산의 거주유형에 따른 베블런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양한 심리적 특성, 주거특성, 인구사회학적 특성이 베블런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PLS 경로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차가거주자가 자가거주자에 비해 과시소비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체면민감성은 자아존중감과 주거유형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이는 과시소비성향으로 이어진다. 또한 거주면적이 크고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과시소비성향이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현대 패션에 나타난 과시적 소비 특성 (A Study on the Conspicuous Consumption Characteristic Expressed in the Modern Fashion)

  • 이지현;양숙희
    • 복식문화연구
    • /
    • 제18권1호
    • /
    • pp.177-189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conspicuous consumption characteristic expressed in the modern fashion. The conspicuous consumptions are classified with 2 parts as follows as: 1. The motive of conspicuous consumption, 2. The effect of conspicuous consumption. And the motive of conspicuous consumption is 1) conspicuous consumption, 2) conformity consumption, 3) compensatory consumption. The effect of conspicuous consumption is 1) veblen effect, 2) bandwagon effect, 3) snob effect. The veblen effect is caused either by the belief that higher price means higher quality, or by the desire for conspicuous consumption to be seen as buying an expensive, prestige item. The bandwagon effect is people tend to follow the crowd without examining the merits of a particular thing. The snob effect refers to the desire to own unusual, expensive or unique goods. The conspicuous consumption has produced conflicting results of the homogeneous imitation and the different scarcity. Consequently conspicuous consumption characteristic expressed in the modern fashion refers to the conformable imitation and the different scarcity. The conformable imitation is pursuit of first lady look and imitation. The different scarcity refers to the desire to own exclusive or unique goods. The unique value is pursuit of limited edition and art mode.

Oswald Veblen이 미국수학계에 미친 영향과 한국에서의 의미 (Contribution of Oswald Veblen to AMS and its meaning in Korea)

  • 이상구;함윤미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7-52
    • /
    • 2009
  • 미국 수학계는 하버드대학이 근대수학 교과과정을 도입 한 후 280여년(1640년)이 지나고, 미국수학회(AMS;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창립 후 30년(1890년 뉴욕수학회, 1894년 미국수학회)이 지난 1920년대에도 아직 열악한 연구 여건을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수학계에 국가연구위원회(National Research Council, NRC)를 통하여 수학분야에 최초로 박사후연구원을 지원하는 제도를 만들고, 기금을 조성하여 프린스턴대학에 당시 세계 최고수준의 수학과 건물인 파인 홀(Fine Hall)을 건축했으며, 1932년 새로 생긴 프린스턴 고등연구소(IAS)에 A. 아인스타인(Einstein), 폰 노이만(von Neumann)등을 초빙하고, Math Review 창간에 결정적인 기여를 하며 미국에서도 수학자가 순수수학 연구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미국 초창기 수학자 O. 베블런(Osward Veblen)에 대하여 분석한다. 20세기 초반 대부분의 시간을 식민지 상태에서 보낸 한국은 20세기 후반에 회원들의 적극적인 학술활동에 힘입어 2008년 현재 국제수학연맹(IMU)의 5그룹(투표 수를 뜻함) 중에 4 그룹에 속하게 되었다. 더구나 2014년 국제수학자대회(ICM)를 서울에서 유치하게 되었다. 한국이 21세기를 한국 수학의 빠른 발전기로 만들 가능성은 어디에서 찾을 수 있을까? 이에 대한 긍정적인 답을 수학 후진국이었던 미국이 1876년 J. 실베스터를 초빙하여 연구 수준의 수학교육을 최초로 시작한 후 궁극적으로 시카고대학의 E. H. 무어(Moore)가 미국수학회장으로 리더쉽을 발휘한 1900년부터 단 100여년 만에 세계 수학 정상에 자리한 미국수학과 미국수학회의 예를 검증하여 찾아보고자 한다. E. H. 무어가 배출한 인재와 제시한 비전은 E. H. 무어의 제자, L. E. 딕슨(Dickson), O. 베블런, R. L. 무어와 G. D. 버코프(Birkhoff)를 통하여 미국에 구현되었다. 그 중 O. 베블런은 'Princeton algebraic topology' 그룹을 리드하며 미국수학 전반에 세계적인 연구여건을 조성한 탁월한 행정능력가 이었다. G. D. 버코프의 역할은 수학에 대한 학술적 기여의 비중이 컸다. 이들은 20세기 중반 미국이 세계 수학연구의 주류에 진입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9],[10],[21]). 수학자 베블런은 당대 미국 최고수준의 학술적 경지에 도달하였고 1923년 미국수학회장을 역임하였으며 자신이 미국수학계에 제시한 비전과 통찰력을 실제로 구현한 수학자, 리더, 그리고 창조적인 행정가였다. 본 논문은 수학자 베블런이 미국수학계에 끼친 전반적인 영향을 연구하고, 이를 통하여 미국 수학에 실질적인 경쟁력을 부여하며 미국을 세계 수학의 주류에 진입시킨 초창기 미국 수학계 리더의 역할에 대하여 생각해 본다. 본 연구는 근대수학 교과과정 도입 110여년, 2007년 대한수학회 창립 60년을 맞으며 최근 20년간 커다란 발전을 이루어 양적인 면에서는 2007년 세계 12위로 평가된 한국의 다음 단계로의 발전에 대한 논지를 제공하고, 실제로 한국이 세계 수학의 주류로 진입하는데 필요한 구체적인 할 일(Action plan)이 무엇인지를 보여준다. 이는 빠른 변화가 진행되고 있는 국내 과학기술계의 흐름에서 수동적인 추종이 아니라 수학계 스스로 연구-교육-봉사에 균형 잡힌 비전을 제시하고 추구하는 긍정적인 모델을 제시한다.

  • PDF

문화사회학적 시각에서 본 한국사회에서의 명품의 인상관리적 효과 (Image Management and Luxury Goods in Korean Society: A Cultural Sociological Perspective)

  • 최샛별;진기남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672-678
    • /
    • 2006
  • This study examines the implications of fashion in self-expression or image management among college students in Korea. Socio-demographic factors are considered in addressing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hy Korean college students seek luxury goods; how they recognize the effects of using luxury goods on their image management; whether or not they have purchased counterfeit luxury goods; and why they buy counterfeit goods. In order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shion and social class, the study examines various sociological theories including Erving Goffman's dramaturgical approach. The data were drawn from 1419 students from 10 universities nationwide in 2005. Chi-square analyses yields outcomes as follows: Using luxury goods works as a class symbol that gives the users the image of higher socio-economic background; use of counterfeit luxury goods and its symbolic effects in image management do not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socio-economic background.

FRIEDMAN-WEIERMANN STYLE INDEPENDENCE RESULTS BEYOND PEANO ARITHMETIC

  • Lee, Gyesik
    • 대한수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383-402
    • /
    • 2014
  • We expose a pattern for establishing Friedman-Weiermann style independence results according to which there are thresholds of provability of some parameterized variants of well-partial-ordering. For this purpose, we investigate an ordinal notation system for ${\vartheta}{\Omega}^{\omega}$, the small Veblen ordinal, which is the proof-theoretic ordinal of the theory $({\prod}{\frac{1}{2}}-BI)_0$. We also show that it sometimes suffices to prove the independence w.r.t. PA in order to obtain the same kind of independence results w.r.t. a stronger theory such as $({\prod}{\frac{1}{2}}-BI)_0$.

20세기 초 미국수학계의 혁명적변화의 바탕 (Ground of the revolutionary change in early 20C American Mathematics)

  • 이상구;황석근;천기상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27-146
    • /
    • 2007
  • 미국수학사에서 가장 중요한 시기로 여겨지는 1890년에서 1950년 사이의 미국수학계의 발전과정을 당시의 미국수학 연구에 있어서 혁신적 발전의 계기를 제공한 시카고 대학의 초대 수학과장 E.H. Moore 의 역할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19세기말 아직 낙후되었던 미국 수학계는 시카고 대학의 핵심 학과였던 수학과는 총장의 비전을 같이 할 우수교수를 확보하고, 새로운 제도 하에서 선발된 우수 대학원 학생들을 탐구지향 교수법으로 지도하며 미국 수학연구의 초장기에 우수한 인재를 공급하기 시작한다. 이를 통하여 미국은 인재양성과 새로운 연구 분야 및 연구방법의 개척에 성공하고, 1950년 국제수학자대회(ICM)를 미국에서 개최하며, 당당히 세계수학의 주류에 진입한다. 본 원고는 위의 발전과정이 현재 한국에 주는 의미를 분석한다.

  • PDF

20세기 패션에 나타난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연구(II)-반미학(Anti-Aesthetics), 열린 패션(Open-Fashion)을 중심으로- (A Study on Modernism and Postmodernism depicted on the 20th Century of Fashion-Focused on Anti-Aesthetics and Open Fashion-)

  • 김민자
    • 복식
    • /
    • 제38권
    • /
    • pp.369-392
    • /
    • 1998
  • In order to identify and describe the central core of fashion desire, the concept of“anti-aesthetics”and“open fashion”were analyzed based on the discourses of postmodernism dis-cussed in the field of sociology, culture, art and philosophy. In this paper, first, the new perspectives of fashion related to modernism and postmodernism were proposed, open concept, anti-aesthet-ics which is ephemerality but eternal ideology. Key principles of postmodernism as anti-aess-thetics mean the philosophy of nihilism proposed by Nietzsche indeterminency, the endd of original art(the death of art), the sublimity provided by Lyotard, and the pluralism to release human from the closed way of thinking, value, ideology. Second, the old and classical definition of fashion,“the differentiation of class”proposed by Veblen and Simmel has been changed into the“differentiation of taste”in postmodern condition. Third, the dichotomous system, that is, ration vs emotion, soul vs body, male vs female, culture vs nature, and so on has been deconstructed and disolved in the postmodern fashion phenomenon using the technique of anti-formalism, such as pastich, parody, bricolage an kitsch for the expression of sublimity and freedom of human.

  • PDF

Visual Perception Experiment Study on the Brand Effect - Comparison of Domestic and Imported Car Brand -

  • Im, Hajin;Kim, Chiyoung;Kim, Soojung;Yu, Sooyeon;Kwon, Mahnwoo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146-154
    • /
    • 2021
  • Conspicuous consumption is often investigated in Korea and consumers purchase a product to publicly display economic power or social status. The existing studies argue that brand loyalty and luxury brand preferences escalate conspicuous consumption, and it is important to identify different visual perception to understand irrational consumers' behavior. Car emblem as brands' visual identity represents the brand's image, mission and message. Irrational consumers thus are expected have different visual perception to the emblem or logo. To understand the impact of irrational consumer behavior on visual perception, this study explored how brand loyalty and luxury brand preferences impact on the visual perception of car emblems between Korean domestic brand and imported brand. This study used eye tracking technology to measure the respondents' attention on an emblem of the cars. Eye tracking tools analyze fixations and measure the attention on a specific area of interests (AOI). This study explored the maintaining time and frequency on AOI, as well as explored the size of pupil to identify the respondents' attention on the AOI. In this experiment, the logos of domestic cars (i.e., Hyundai and Kia) and foreign cars (i.e., Mercedes-Benz and BMW) were swapped to see how irrational consumer behavior impact on visual perception of car embl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