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Veblen Effect according to Residence Estate: Focused on Conspicuous Consumption

주거용부동산의 거주유형에 따른 베블런효과에 관한 연구: 과시소비성향을 중심으로

  • Jang, Seo Yoon (Graduate School of Venture at Hoseo University) ;
  • Ha, Kyu Soo (Graduate School of Venture at Hoseo University)
  • 장서윤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
  • 하규수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 Received : 2015.10.20
  • Accepted : 2015.11.12
  • Published : 2015.12.31

Abstract

Recently, middle and low social class entered in the upper class for the specific reasons and joined reference group in order to present demonstration effect. This phenomenon was assumed the consumer's desire for housing estate not from the leisure class. The superiority which feels belong to reference group, that was able to purchase high price product and the competence which can afford a high price goods are effective in housing estate. The study had been researched for Veblen effect according to residence estate. The partial least squares path modeling was used for Veblen effect affected by various psychological attributes, housing patterns and demographics for analysis. As a result, the conspicuous consumption from tenants was higher than residents, the social face sensitivity affected positively for self esteem and housing pattern, therefore, it caused conspicuous consumption. Moreover, we found conspicuous consumption had been increased followed by more spacious housing and higher income.

최근 부유층 주거지에 특정 목적에 의한 중 저소득층이 진입, 준거집단에 합류하며 과시효과를 누리고 싶어 한다. 이 현상으로 주거용부동산에 대해 유한계급층이 아닌 일반 소비자들의 과시효과에 대한 욕구를 유추할 수 있다. 과시소비를 함으로써 고가의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준거집단에 속한다는 우월함과 고가를 지불할 수 있는 능력을 통해 부를 전시하는 효과를 얻는다고 볼 때 자신의 사회경제적 능력을 보이기 위한 과시적 소비성향은 주거용부동산에도 영향을 미치리라고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주거부동산의 거주유형에 따른 베블런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양한 심리적 특성, 주거특성, 인구사회학적 특성이 베블런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PLS 경로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차가거주자가 자가거주자에 비해 과시소비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체면민감성은 자아존중감과 주거유형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이는 과시소비성향으로 이어진다. 또한 거주면적이 크고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과시소비성향이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