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ariation plant

검색결과 1,826건 처리시간 0.034초

삽수(揷穗)의 클론, 모수령(母樹齡), 채취부위(採取部位) 및 발근촉진제(發根促進劑)가 낙엽송(落葉松)(Larix leptolepis S. et Z. Gordon)의 삽목발근(揷木發根)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Clones, Ortet Age, Crown Position, and Rooting Substance upon the Rooting of Cuttings of Japanese Larch (Larix leptolepis S. et Z. Gordon))

  • 정덕영;이경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3권2호
    • /
    • pp.205-210
    • /
    • 1994
  • 본 연구는 채종원에서 개화결실이 부진한 낙엽송 (Larix leptolepis S. et Z. Gordon)의 삽목증식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삽수의 모수령, 채취부위, 클론 및 발근촉진제가 삽목 발근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저 실시하였다. 2, 8, 16, 30년생 모수에서 7월 하순경 당년에 생장한 삽수를 채취한 후, 발근촉진제인 IBA(Indole Butyric Acid)를 1000, 2000. 5000ppm의 세가지 농도로 5초간 처리하였다. 삽수는 peatmoss, vermiculite, perlite를 1 : 1 : 1 로 배합하여 조제된 온실내 삽목상에 삽목한 후 3개월이 경과된 10월 하순에 발근여부를 조사하였다. 발근촉진제 무처리의 경우 발근율은 2년생에서 52%, 8년생에서 48%, 16년생에서 36%, 30년생에서 20%인 반면, IBA 1000ppm 처리시 가장 높은 발근율을 얻었는데 2년생 80%, 8년생 71%, 16년생 52%, 30년생 25%로 발근율이 향상되었으며, 부정근의 수와 주근의 길이가 모수령이 낮을수록 증가하였으며, IBA 처리로도 증가하였다. 시기별 생존율은 삽목후 15-45일 사이에 현저히 감소한 반면, 그 후에는 생존율이 거의 감소하지 않았으며, IBA 처리로 생존율이 향상되었다. 모수의 클론별 발근율 조사는 8년생 모수를 사용하였는데, IBA 1000ppm 처리시 강원 49호에서 40%로 저조한 반면, 충남 6, 7호와 전북 1, 9호는 67%로 가장 커서 클론간에 발근율이 차이가 있었다. 삽수의 채취부위에 따른 위치효과는 수관 상부에서 채취한 삽수가 IBA 처리시 발근율이 평균 53%로 가장 낮았으며, 수관 하부가 56%, 수관 중부는 60%의 순으로 발근율이 증가되었다.

  • PDF

흐름과 파에 의한 해저지반내 간극수압의 발생과 액상화에 관한 해석적인 연구 (An Analytical Study on Generation of Pore-Water Pressures Induced by Flow and Waves in Seabed, and Resulting Liquefaction)

  • 이광호;김동욱;김도삼;배기성;전종혁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7권5호
    • /
    • pp.324-338
    • /
    • 2015
  • 진행파 혹은 임의 반사율을 갖는 부분중복파 혹은 완전중복파-흐름-해저지반의 상호작용에 관한 해석해가 Lee et al.(2014; 2015a; 2015b; 2015c; 2015d) 및 Yamamoto et al.(1978)과 같은 다수의 연구자들에 의해 유도되었으며, 그들은 진동간극수압과 잔류간극수압을 별개로 취급하여 각 파동에 의한 지반응답을 논의하였다. 그러나, 실제 현장이나 실험에서 해저지반내 간극수압은 진동성분과 잔류성분이 별개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고 그의 합 (전간극수압)으로 주어지기 때문에 전간극수압의 관점에서 반드시 검토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진동간극수압과 잔류간극수압뿐만 아니라 전간극수압의 측면에서 파동조건, 지반조건 및 흐름조건의 변화에 따른 지반응답의 변동특성을 논의하였으며, 더불어 이에 따른 액상화의 연직깊이에서 특성변화를 검토하였다. 이로부터 진행파와 순방향의 흐름의 공존장에서는 흐름속도가 증가할수록 무차원진동간극수압이 증가하고, 무차원잔류간극수압은 감소하여 결과적으로 무차원전간극수압이 작아지며, 무차원액상화 깊이도 감소하는 등의 지반응답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벼 담수표면직파재배 질소시비 기준에 따른 줄기 특성과 도복과의 관계 (Culm Characteristics of Rice Plant Related to Lodging Resistance under Different Nitrogen Levels in Direct Seeding on Flooded Paddy Surface)

  • 송동석;김진호;이성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308-317
    • /
    • 1996
  • 벼 담수직파재배에서 질소시비 수준에 따른 도복 발생에 관여하는 줄기의 물리적 성질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포장도복 정도가 다른 5 품종을 공시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입모률은 66.7~71.2%의 분포를 보였으며, 입모수는 m$^2$ 당 103~110개로 적정한 분포를 보였다. 2. 포장도복 정도는 질소시비수준 5kg/10a구에서 평균 2.2, 10kg/10a구에서 평균 3.0, 15kg /10a구에서 평균 5.5를 보여, 질소시비량의 증가에 따라 포장도복정도가 심하였다. 품종간 차이가 뚜렷하여 청명과 동진벼가 1.5~5.5를 보였으며, 대청, 팔공 및 화성벼는 2.0~7.2를 보였다. 3. 간장은 질소시비량 15kg /10a에서 6~9cm 정도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도복발생 벼가 무도복 벼에 비해 5~8cm 정도 길었으며, 도복발생 벼와 무도복 벼의 경우 제 3절간은 각각 19.2, 11.4cm, 제 4절간은 각각9.3, 7.5cm, 제 5절간은 3.9, 3.2cm의 차이를 보였다. 4. 지상부 모멘트가 작을수록, 줄기의 좌절시 모멘트가 클수록 도복발생이 억제되었다. 5. 근중과 간기중과는 r =0.732 로 고도의 유의성을 보였고, 단면계수 값과 점 모멘트간에는 f=-0.989 로 고도의 부의 유의성을 보였다.

  • PDF

수도 품종변천에 따른 유용형질의 특성변이에 관한 연구 (Studies on Agronomical Characteristics of Rice Varieties Recommended during 1910-1980 in Korea)

  • 홍성호;이은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2-40
    • /
    • 1983
  • 우리나라 수도 품종의 시대적 변천에 따른 그들 품종의 생육형질 및 수량구성형질들의 변이를 조사비교하여 앞으로 품종육성 및 재배기술 발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연대별 주요품종을 5개씩 25개 품종을 공시하여 5대 품종군, 즉 ${circled1}$1907년대의 재래품종들을 GI군, ${circled2}$ 1920년대의 도입품종들을 GII군 ${circled3}$ 1930년대에 육성 보급된 품종들을 GIII군, ${circled4}$ 1950년대에 육성 보급된 품종들을 GIV군, ${circled5}$ 1971년 통일품종 육성이후에 육성된 품종들을 GV군으로 구분하여 이앙시기를 5월 15일, 5월 30일, 6월 14일 및 6월 29일의 4회로 하여 시험조사 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PDF

국내 수수 종자의 용해도별 단백질 함량 변이 (Variation of Fractionated Protein Content by Solubility in Korean Local Sorghum Seed)

  • 박세준;박준영;황수민;서명철;김태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9권3호
    • /
    • pp.245-251
    • /
    • 2014
  • 우리나라 수수 유전자원 20품종에 대한 종자 단백질의 정량적 및 정성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수수 종자의 수용성 단백질의 분획은 'Osborne 방법'의 변형된 방법으로서 알부민, 글로불린, 프롤라민 및 글루텔린을 순차적으로 분리하여 정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수 종자의 저장단백질인 프롤라민 단백질의 조성을 1차 전기영동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1. 총 단백질 함량 대비 분획단백질의 함량은 알부민 단백질은 6.2%, 글로불린 단백질은 0.9%, 프롤라민 단백질은 57.9% 및 글루텔린 단백질은 35.1%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2. 품종별 비교에서 프롤라민 단백질의 함량이 높은 품종은 흰수수, 흰찰수수, 황금찰수수 및 대풍수수로 결정되었다. 3. ${\alpha}$-kafirin의 함량이 높은 품종은 흰수수, 금산찰수수, 흰찰수수 및 장목수수로 나타났다. 4. 흰수수와 흰찰수수가 고 프롤라민 및 고 ${\alpha}$-kafirin 품종임을 제시하였다.

활성탄을 이용한 낙동강 상수원수의 수처리 효과 (Efficiency of Activated Carbon Treatment Processing on Raw Water Purification for Nakdong River)

  • 임영성;강관호;이홍재;서동철;허종수;손보균;조주식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08-215
    • /
    • 2002
  • 상수원수를 보다 효과적으로 처리함으로서 양질의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낙동강 상수원수를 대상으로 활성탄처리에 의한 공탑체류시간 및 활성탄 여층 깊이에 따른 수처리 효율과 생물활성탄으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탑체류시간(EBCT)에 따른 수처리 효율은 EBCT가 증가 할수록 증가되었으나 운전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활성탄 흡착능력은 감소되어 처리효율도 서서히 감소하였다 활성탄 여층 깊이에 따른 pH 변화는 활성탄 층 깊이에 따라 거의 없었으며, DO는 활성탄 층 깊이가 깊을수록 서서히 감소하였다. $KMnO_4$ 소비량, UV254 흡광물질, DOC 및 THMFP 처리효율은 활성탄 표층으로부터 하부로 내려갈수록 증가하였으며, 운전시간이 경과할수록 활성탄 상층부에 형성되어 있던 흡착대가 하부로 이동하였다. DOC의 상당 부분이 활성탄여과지에 서식하는 미생물 작용에 의해 분해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전개시 126일 후의 BAC에서 활성탄 표층으로 부터 깊이 20 cm부근에 미생물이 $1.1\times10^7\;cell/cm^3$ 이상 존재하는 것으로 관찰되어 생물활성탄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었다.

CMAQ-pollen 모델을 이용한 참나무 꽃가루 확산 고해상도 수치모의 및 검증 (A High-resolution Numerical Simulation and Evaluation of Oak Pollen Dispersion Using the CMAQ-pollen Model)

  • 오인보;김규랑;방진희;임윤규;조창범;오재원;김양호;황미경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31-44
    • /
    • 2017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ccuracy and variability of the oak pollen concentrations over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SMR) simulated by the Community Multiscale Air Quality (CMAQ)-based pollen dispersion model, which is the CMAQ-pollen model integrated with the improved oak pollen emission model(PEM-oak). The PEM-oak model developed is based on hourly emission flux parameterization that includes the effects of plant-specific release, meteorological adjustment, and diurnal variations of oak pollen concentrations. A 33 day-run for oak pollen simulation was conducted by the CMAQ-pollen model with a 3 km spatial resolution for the SMR during the 2014 spring pollen season. Modeled concentrations were evaluated against the hourly measurements at three Burkard sampling sites. Temporal variations of oak concentrations were largely well represented by the model, but the quantitative difference between simulations and measurement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some periods. The model results also showed that large variations in oak pollen concentrations existed in time and space and high concentrations in the SMR we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regional transport under strong wind condition. This study showed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the CMAQ-pollen modeling system to simulate oak pollen concentration in the SMR. Our results could be helpful in providing information on allergenic pollen exposure. Further efforts are needed to further understand the oak pollen release characteristics such as interannual variation of the oak pollen productivity and its spatio-temporal flowering timing.

신미종(辛味種) 고추의 성숙(成熟)에 따른 생리화학적(生理化學的) 변화(變化)에 관(關)한 연구(硏究) - [제6보(第六報)] 성장(成長)과 주요성분(主要成分)의 함량(含量)에 미치는 Cation 영향(影響) - (Physio-Chemical Studies on the Maturity of Hot Pepper Fruits - Part VI. Effects of Cation on Growth and Important Components -)

  • 이성우;김광수;김순동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8권4호
    • /
    • pp.234-238
    • /
    • 1975
  • 고추의 성장(成長)과 주요(主要) 성분(成分)의 함량(含量)에 미치는 cation의 영향을 조사(調査)코저 배양액내(培養液內)의 $K^+,\;Ca^{++},\;Mg^+$의 조성(組成)을 달리하여 재배(栽培) 실험(實驗)을 행(行)하고, 이 결과(結果)를 systemic variation Method 중(中) binary interaction방정식(方程式)에 적용(適用)시켜 이상(理想) 조건(條件)을 추구(追求)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성장(成長) 이상(理想) 조건(條件) 중(中) 초장(草長)은 CKa group에서 $57%\;K^++43%\;Ca^{++}$, KMg group에서 $58.5%\;K^++41.5%\;Mg^+$가 최적조건(最適條件) 이었으며, 마디수에서는 $59.0%K^++41%Ca^{++},\;60%\;K^++40%\;Mg$이었다. 2. 수확량(收穫量)을 최대(最大)로 하기 위한 이상조건(理想條件)은 $60%K^++40%Ca^{++},\;62%K^++38%\;Mg^{++}$이었으며 완숙과(完熟果)에 대(對)하여서는 $57.0%\;K^++43.0%\;Ca^{++},\;63.0%K^++37.0%\;Mg^{++}$이었다. 3. 각(各) 처리별(處理別) free sugar와 capsaicin의 함량(含量)은 유의성이 없었다. 4. 각(各) 처리별(處理別) nitrogen level은 거의 일정치(一定値)를 유지하였으나 Fe/Mn의 값은 $2{\sim}3$을 유지하였다.

  • PDF

신미종(辛味種) 고추의 성숙(成熟)에 따른 생리화학적(生理化學的) 변화(變化)에 관(關)한 연구(硏究) - [제5보(第五報)] 성장(成長)과 주요성분(主要成分)의 함량(含量)에 미치는 Anion의 영향(影響) - (Physio-Chemical Studies on the Maturity of Hot Pepper Fruits - V. Effects of Anion on Growth and major Components -)

  • 이성우;김광수;김순동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8권4호
    • /
    • pp.228-233
    • /
    • 1975
  • 고추의 성장(成長)과 주요성분(主要成分)의 함량(含量)에 미치는 anion의 영항을 조사(調査)코져 배양액내(培養液內)의 N, S, P의 조성(組成)을 달리하여 재배(栽培) 실험(實驗)을 행하고 이 결과(結果)를 systematic variation method 중(中) binary iateraction방정식(方程式)에 적응시켜 이상조건(理想條件)을 추구(追求)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성장(成長) 이상(理想) 조건(條件) 중(中) 초장(草長)은 NS group에서 $75%\;NO_3^-+25%\;SO_4$, NP group에서는 $68.5%\;NO_3^-+31.5%\;PO_4^{--}$가 최적(最適) 조건(條件)이었으며 마디수에서는 $71.0%\;NO_3^-+29.0%\;SO_4$, $75.0%\;NO_3^-+25.0%\;PO_4^{---}$이였다. 2. 수확량(收穫量)은 최대(最大)로 하기 위한 이상(理想) 조건(條件)은 $77.5%\;No_3^-+22.5%\;SO_4$, $72.5%\;NO_3^-+27.5%\;PO_4$였으며, 이 중완숙과(中完熟果)에 대(對)하여서는 $77.0%\;NO_3^-+23.0%\;SO_4$, $73.5%\;NO_3^-+26.5%\;PO_4$이었다. 3. 각(各) 처리(處理) 별(別) free sugar와 capsaicin의 함량(含量)은 유의성이 없었다.

  • PDF

RADARSAT과 Landsat TM자료를 이용한 벼 생육모니터링 (Monitoring of Rice Growth by RADARSAT and Landsat TM data)

  • 홍석영;임상규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9-15
    • /
    • 2000
  • 날씨ㆍ밤낮에 관계없이 자료를 취득할 수 있는 RADARSAT(C-밴드; 5.3GHz, HH 편광)의 후방산란계수와 태양광에 대한 반사값으로 데이터가 얻어지는 Landsat TM의 자료값(DN; Digital Numbers)을 이용하여 벼 생육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벼 생육기간 동안 RADARSAT 3시기의 자료를 취득하여 보정 과정을 통하여 지표면의 특성이 잘 나타나는 후방산란계수 (backscatter coefcient)를 산출하였다. 연구지역에서 초장, 엽면적지수, 생체중, 건물중 등 벼의 생육변수를 조사하여 산출된 후방산란계수를 비교하였으며, Landsat TM은 논지역의 6시기 자료값을 산출하여 벼 생육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벼의 생육초기 담수상태일 때 논의 후방산란계수 범위는 -22dB--20dB이었고, 벼의 영양생장이 최대에 달했을 때 논의 후방산란계수는 -9dB--8dB 범위로 생육단계별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고 생육변수, 초장, 엽면적지수, 생체중, 건물 중 변화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TM 밴드 1, 2, 3의 자료값은 생육후기로 갈수록 낮아졌다가 등숙기에 다시 높아졌고, TM 밴드 4의 자료값은 생육후기로 갈수록 높아졌다가 등숙기에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TM밴드 5와 7의 자료값은 생육기간 동안 계속 증가하여 건물중의 변화추세와 유사하였다. 시계열 RADARSAT과 Landsat TM자료를 이용한 벼 생육모리터링은 전망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