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ariable-Size Block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21초

H.264의 가변 블록 크기 움직임 추정 및 공간 예측 부호화 생략에 의한 고속 모드 결정법 (Fast mode decision by skipping variable block-based motion estimation and spatial predictive coding in H.264)

  • 한기훈;이영렬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0권5호
    • /
    • pp.417-425
    • /
    • 2003
  • ITU-T(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sector)와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에 의해서 최근 표준화가 완성된 H.264는 가변 블록 크기 움직임 추정, 복수참조영상, 1/4화소 움직임 예측/보상, 4×4 정수 DCT(Integer Discrete Cosine Transform), 율-왜곡 최적화(Rate-Distortion Optimization) 등의 새로운 부호화 기술로 H.263, MPEG-4 등 기존 비디오 표준에 비해 더 좋은 부호화 효율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새로운 부호화 기술들은 H.264 의 전반적인 복잡도를 심화시키는 주된 요인이기도 하다. 따라서, H.254 의 실제 응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기술에 대한 고속 알고리즘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율-왜곡 최적화를 통한 부호화 모드 결정시 부호화기의 복잡도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가변 블록 크기 움직임 추정 및 공간예측 부호화를 효율적으로 생략하여 부호화 모드 결정을 빠르게 수행하는 고속 모드 결정법을 제안한다. 실험결과, 제안된 방법은 부호화 효율의 손실이 거의 없으면서도 계산법을 약 4배 향상시킨다.

비트패턴 기반 움직임 추정을 위한 고속의 가변 블록 정합 알고리즘 (Fast Variable-size Block Matching Algorithm for Motion Estimation Based on Bit-patterns)

  • Kwon, Heak-Bong;Song, Young-Jun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11-18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비트패턴을 기반으로 한 고속의 가변 블록 움직임 예측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블록내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8bit 화소값을 0과 1의 비트패턴으로 변환한 후 블록의 움직임 예측을 수행한다. 비트변환을 통한 영상의 단순화는 움직임 추정의 계산적 부담을 감소시켜 빠른 탐색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블록 내의 움직임 정도를 미리 판별하여 이를 기반으로 한 적응적 탐색이 불필요한 탐색을 제거하고 움직임이 큰 블록에서는 정합(matching) 과정을 심화시켜 보다 빠르고 정확한 움직임 예측을 수행한다. 본 제안된 방식을 가지고 실험한 결과, 한 프레임(frame)당 적은 수의 블록으로 고정된 크기의 블록을 가진 전역탐색 블록 정합 알고리즘(full search block matching algorithm; FS-BMA)보다 예측 에러를 적게 발생시켜 평균적으로 0.5dB 정도의 PSNR 개선을 가져왔다.

  • PDF

스마트 안테나를 위한 블록 LMS 기반 적응형 빔형성 알고리즘 (Block LMS-Based Adaptive Beamforming Algorithm for Smart Antenna)

  • 오정근;김성훈;유관호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3년도 학술회의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B
    • /
    • pp.689-692
    • /
    • 2003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daptive beamforming algorithm for array antenna. The proposed beamforming algorithm, based on Block LMS (Block - Least Mean Squares) algorithm, has a variable step size from coefficient update. This method shows some advantages that the convergence speed is fast and the calculation time can reduced using a block LMS algorithm from frequency domain. As the adaptive parameter approaches a stationary state, it could reduce the number of filter coefficient update with the help of various step size. In this paper we compared the efficiency of the proposed algorithm with a standard LMS algorithm which is a representative method of adaptive beamforming.

  • PDF

대형 멀티미디어 파일의 익명성 지원을 위한 수정 GNUnet (GNUnet improvement for anonymity supporting in large multimedia file)

  • 이윤진;이명훈;조인준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71-79
    • /
    • 2006
  • GNUnet은 파일의 익명성 지원을 위해 파일을 1KB블록크기로 분리하는 인코딩 방법을 채택하였고, 인코딩된 블록을 비구조적인 분산기법을 통해 피어들에게 분산시키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인코딩 및 블록 분산 방안은 약 600$\sim$700MB의 대용량 멀티미디어 파일을 처리할 경우 첫째, 추가적으로 R블럭과 I블럭을 과도하게 요구하게 되어 약 4%의 저장공간을 낭비하는 문제를 지니고 있다. 둘째, 비구조적 브로드캐스팅 분산방법 때문에 네트워크 부하가 과도한 단점을 내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하여 인코딩 블록의 크기를 가변적으로 결정하는 방법과 구조적 위상을 통해 블록을 분산시키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제안 인코딩 방법은 추가 블록 생성을 1%이내로 최소화하였고, 분리된 블록의 분산을 위해 지정된 피어로 질의를 보내는 구조적 위상을 채택하여 블록 요청에서 발생하는 네트워크 부하를 감소시켰다.

  • PDF

Enhanced Prediction Algorithm for Near-lossless Image Compression with Low Complexity and Low Latency

  • Son, Ji Deok;Song, Byung Cheol
    • IEIE Transactions on Smart Processing and Computing
    • /
    • 제5권2호
    • /
    • pp.143-151
    • /
    • 2016
  • This paper presents new prediction methods to improve compression performance of the so-called near-lossless RGB-domain image coder, which is designed to effectively decrease the memory bandwidth of a system-on-chip (SoC) for image processing. First, variable block size (VBS)-based intra prediction is employed to eliminate spatial redundancy for the green (G) component of an input image on a pixel-line basis. Second, inter-color prediction (ICP) using spectral correlation is performed to predict the R and B components from the previously reconstructed G-component imag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improves coding efficiency by up to 30% compared with an existing algorithm for natural images, and improves coding efficiency with low computational cost by about 50% for computer graphics (CG) images.

H.264/AVC를 위해 inter mode에 적용된 향상된 고속 모드 결정 알고리즘 (Advanced Fast Mode Decision Algorithm Applied to Inter Mode for H.264/AVC)

  • 양상봉;조상복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심포지엄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20-22
    • /
    • 2007
  • The H.264/AVC standard developed by the joint Video Team (JVT) provides better coding efficiency than previous standards. The new emerging H.264/AVC employs variable block size motion estimation using multiple reference frame with 1/4-pel MV(Motion Vector) accuracy. These techniques are a important feature to accomplish higher coding efficiency. However, these techniques are increased overall computational complexity. To overcome this problem, this paper proposes advanced fast mode decision suited for variable block size by classifying inter mode based on Rate Distortion Optimization(RDO) technique. Proposed algorithm is going to use to implement H/W structure for fast mode decision.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s that the proposed algorithm provides significant reduction computational complexity without any noticeable coding loss and additional computation. Entire computational complexity is decreased about 30%.

  • PDF

가변 블록 크기와 블록 매칭 알고리즘의 조합에 의한 내용기반 화상 검색 (The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by Using Variable Block Size and Block Matching Algorithm)

  • 강현인;백광열
    • 전자공학회논문지S
    • /
    • 제35S권8호
    • /
    • pp.47-54
    • /
    • 1998
  • 여러 가지 응용 분야에서 대용량 영상 데이터 베이스가 폭넓게 사용 되면서 전체 데이터베이스를 효율적이고 빠르게 검색하는 것이 절실하다. 가변 블록 크기와 블록 매칭 알고리즘에 의한 내용기반 화상의 검색을 위한 새로운 방법을 보인다. 제안한 방법에는 영상의 색상이나 공간 배치와 같은 가시적인 단서를 찾아서 영상의 특색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원하는 유사도에 함당한 검색 횟수에 자동으로 수렴되어 빠른 검색이 이루어진다. 구현된 방식은 약 150개의 영상 데이터 베이스로서 시험했다. 시험 결과 임의 지정한 검색효율 0.65에서 J & V 알고리즘 대비 1.9배 그리고 지정한 고정 블록 크기에 대비하여 1.83배 빠른 검색 시간을 달성함을 보인다.

  • PDF

3차원 웨이블릿 기반의 스케일러블 비디오 부호화를 위한 효과적인 움직임 예측 및 보상 방법 (Efficient motion estimation and compensation methods for scalable video coding using 3D wavelet transform)

  • 김종호;이준재;정제창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3년도 신호처리소사이어티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33-436
    • /
    • 2003
  • In this paper, the efficient motion estimation and compensation method for 3 dimensional wavelet transform is proposed. Recently, since the compression performance and scalable functionality are provided by wavelet transform, many researches have been carried out for applying to the video compression. For the temporal filtering, motion estimation and compensation techniques are used, but the unconnected pixels, which are produced by motion compensation result into the degradation of coding performance and quality of the picture. For the efficient motion compensated temporal filtering by reducing the number of these unconnected pixels, we propose the variable block size motion estimation and compensation method. Also we propose a method that determines the block size using rate-distortion optimization technique according to the local characteristics of the frame.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e improved performances than the MPEG-4 scalable coding methods and the 3 dimensional wavelet coding methods using fixed block size motion estimation and compensation.

  • PDF

영상 인식을 위한 2차원 자동 변형 템플릿 매칭 (Two-dimensional Automatic Transformation Template Matching for Image Recognition)

  • 한영모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1-6
    • /
    • 2019
  • 영상 인식을 위한 한 방법으로 템플릿 매칭이 있다. 기존의 템플릿 매칭에서는 주어진 매칭 영상 내에서 템플릿의 2차원 이동 변위를 바꿔가면서 블록 매칭 알고리즘(BMA)을 수행한다. 이 블록 매칭 알고리즘 수행 중에 템플릿의 크기와 모양은 바뀌지 않는다. 그리고 각각의 2차원 이동변위에 해당하는 블록에서 유사성 척도(similarity measure)로 계산된 매칭 에러 값을 비교하여 대상 체의 위치를 결정한다. 2차원 이동변위만 고려하기 때문에 템플릿과 매칭 영상에서 대상 체의 크기와 방향이 일치하지 않으면 성공률이 떨어진다. 반면 본 논문의 경우는 템플릿의 2차원 방향과 크기를 조정하는 변수를 새로이 추가하고 각각의 2차원 이동 변위에 해당하는 블록에서 이 변수의 최적 값이 자동으로 계산된다. 이렇게 계산된 최적 값을 사용하여, 각 블록에 최적인 템플릿으로 자동 변형된다. 그리고 자동 변형된 템플릿을 기준으로 각 블록의 매칭 에러 값이 계산된다. 이렇게 방향과 크기 차이가 보정된 각 블록의 매칭 에러 값들을 비교하여 대상 체의 위치를 결정한다. 따라서 방향과 크기 차이에 대해 좀 더 안정적인 결과 값을 얻을 수 있다. 사용의 편의를 위해서, 알고리즘을 템플릿 영상 외에 추가의 정보, 예를 들면, 거리정보를 필요로 하지 않는 닫힌 형태로 설계하는 데 주력한다.

위성망에서 가변블록 인터리빙 기법을 이용한 ATM 셀 전송 성능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enhanced ATM cell transmission in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using variable-size block interleaving)

  • 김은경;김낙명
    • 전자공학회논문지S
    • /
    • 제35S권5호
    • /
    • pp.1-10
    • /
    • 1998
  • Satellite communication is getting more important in the coming 21st century because of its wide areas sevice capability, ease of access, and fast channel establishment. As such,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s will be the basis of the global communication system in cooperation with the ground ATM networks. In this paper, we consider an efficient transmission methodology of ATM cells over the satellite communication channel. We first analyze possible bottlenecks and performance deterioration factors in the case, and then propose an enhanced cell trasmission mechanism. In order to use satellite channel for ATM cell transmission, the application of complicated channel coding is inevitable. However, the forwared error control such as convolutional encoding brings forth burst errors, which calls for the application of some kind of interleaving mechanism to randomize the burst errors at the receiver. Another aspect which should b econsidered in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is the inherent transmission delay, which can be very considered in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is te inherent transmission delay, which can be very critical to the delay-sensitive ATM traffic. Therefore, we propose that the processing delay at the block interleaving stage should be controlled propose a variable-size block interleaving mechanism which utilizes the predicted transmission delay for each traffic in the queues of the transmitter. According to the computer simulation, the proposed mechanism could improve the overall performance by drastically reducing the ATM cell drop rate owing to the excessive transmission dela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