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alue-added promotion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29초

인천북항 목재배후단지 부가가치물류 활성화방안 (A Study on Promotion of Value Added Logistics(VAL) Activities of Lumber Hinterland in Incheon Northport)

  • 정태원;한종길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5권10호
    • /
    • pp.847-853
    • /
    • 2011
  • 본 연구는 수입된 목재를 가공하여 내수로 전환하는 활동뿐만 아니라 인천항에서의 부가가치 활동을 통해 완제품, 반제품의 형태로 타국가로의 재수출이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세부방안을 살펴보면 인천북항을 활용하는 수입다변화 모델, 통합가공센터 팰릿시설 조성 모델, 목재 공동물류센터 모델, 수출형 Pre-Cut 자재개발모델 그리고 수출가공형 부가가치 창출모델을 제시하였다.

부가가치 제공 유형별 판매촉진과 유통업체 불확실성이 제품 가치 평가에 미치는 영향 - 사은품(Freebie) 제공 판매촉진을 중심으로 - (The Effect of Value-added Promotion and Retailer Uncertainty on Customers' Perceived Value of the Product)

  • 김향미;이소영;김재욱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6권1호
    • /
    • pp.117-140
    • /
    • 2011
  • 마케팅 연구에서 판매촉진은 지난 수십 년간 지속적으로 연구되어 온 분야중의 하나이다. 판매촉진은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를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크게 2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첫째, 소비자에게 비용을 줄여주는 방법인 가격인하 판매촉진과 둘째, 소비자에게 혜택을 제공하여 전체적인 지각된 가치를 높여주는 부가가치 제공 판매촉진 방법이 그것이다. 그 동안의 판매촉진의 연구를 살펴보면 주로 가격할인 판매촉진을 중심으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부가가치 제공 판매촉진 방법에 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부가가치 제공 판매촉진 활동의 효과 평가, 적절한 부가가치 판매촉진 방법,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판매촉진 자체에 초점을 맞춘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본 연구는 부가가치적 판매촉진이 판매촉진 제품의 가치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부가가치 판매촉진에 관심을 갖게 된 이유는 부가가치 판매촉진은 상황적인 요인에 의해 그 것이 혜택으로 지각될 수도 있지만 반드시 그렇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상황적 요인으로 사은품 제시 방법과 유통업체의 불확실성 수준이라는 2가지 요인이 판매촉진 제품의 가치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보기위해 실험과 준실험을 이용한 2가지 연구를 실시하였다. 먼저 실험은 2(사은품 제시방법; 통합제시 vs. 분리제시) *2(유통업체의 불확실성 수준(높음 vs. 낮음) *3(평가대상; 전체제품(본 제품+사은품), 본 제품, 사은품)로 집단 간 실험설계를 하였다. 그 결과 사은품을 통합 제시하는 경우가 분리 제시하는 경우에 비해 제품 가치 평가를 더 높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통업체 불확실성 수준이 높은 경우가 낮은 경우에 비해 전체 제품 가치 평가를 더 낮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두 요인의 상호작용을 살펴본 결과, 전체적으로 살펴보았을 때 상호작용은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보다 상세한 결과를 알아보기 위해 각각의 평가 대상별로 알아본 결과, 본 제품 평가에 있어서 유통업체 불확실성이 높은 경우에 통합 제시하는 경우가 분리제시 하는 경우에 비해 제품 가치를 더 낮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준실험인 연구 2는 연구 1의 결과를 재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 시장에서 행해지고 있는 제품과 최근에 이용한 유통업체에 대해 평가하게 하였다. 그 결과 연구 1에서처럼 유통업체 불확실성이 높은 경우 제품 가치 평가를 더 낮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구 1에서 살펴보지 않았던 구매의도를 조사하였다. 부가가치 판매촉진 이전의 유보가격과 부가가치 판매촉진 자극물을 본 이후의 유보가격의 차이를 이용하여 2개의 집단으로 나눈 후, 구매의도를 비교한 결과 두 집단 간 구매의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유통업체 불확실성이 높은 경우, 사은품을 제공하는 것이 소비자에게 단순히 혜택으로 지각되는 것이 아니라 상술지각이 활성화되어 오히려 제품 평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며 구매를 망설이게 한다고 볼 수 있다.

  • PDF

한.중간 부가가치물류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 산동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Promotion of Value Added Logistics(VAL) Activities between Korea and China)

  • 이정민;이충배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85-406
    • /
    • 2009
  • 한중 국교가 수립된 이래 한국과 중국간의 무역규모는 매년 급속도로 증대되고 있다. 두 국가간 경제 및 물류협력은 경제관계의 발전뿐만 아니라 부가가치 물류의 활성화를 위해서 중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양국가간 운송 및 관세절차 등에 있어 물류네트워크와 관리에 장애적 요소가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중국의 산동성간의 부가가치 물류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양 지역간 무역구조와 물류네트워크의 분석을 통해 부가가치 물류비즈니스 모델을 제안하였다. 아웃바운드 비즈니스 모델은 우리나라 물류기업의 중국으로의 진출방안으로 현재 영세할 뿐만 아니라 경험이 적은 관계로 정책적 지원을 통해 위험요소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의 수립이 요구된다. 인바운드 비즈니스 모델로는 중국의 저렴한 비용에 의해 생산된 제품을 한국으로 수입하여 품질 및 브랜드 가치를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항만 및 공항배후단지의 개발 및 중국 기업과의 협력체제가 중요하다. 결론적으로 양국간 부가가치 물류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양국가간 무역 및 물류분야의 협력체제 구축이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 PDF

CBSD 활성화를 위한 확장된 부가가치 중개 개념 (The Value-Added Brokerage Concept for Steering the CBSD Environments)

  • 심우곤;백인섭;이정태;류기열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8D권6호
    • /
    • pp.681-690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컴포넌트에 기반한 소프트웨어 개발(CBSD) 환경의 전반적인 활성화 개념을 제시한다. 컴포넌트 기술에 대한 연구가 컴포넌트를 시스템 구축에 효율적으로 적용하려는 쪽으로 집중되어, 컴포넌트 시장의 활성화 방안이나 컴포넌트 자체의 개발 방식 등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한 상태이다. 우선 CBSD 활성화로의 장애요소를 진단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중개개념 고려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그러나 단순한 사전적 의미로의 중개개념으로는 CBSD 활성화를 도모할 수 없으므로 중개개념에 부가적인 서비스를 추가한 “부가가치 중개 개념”이 요구된다. 부가가치 중개 개념에는 크게 1) 도메인 아키텍쳐 지향의 컴포넌트 생산 촉진, 2) 지능형 컴포넌트 검색 서비스, 3) 화이트 박스 서비스의 세 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도메인 아키텍쳐 지향의 컴포넌트 생산 촉진은, 균형 잡힌 컴포넌트 생산과 아키텍쳐 중심의 대단위 재사용을 꾀할 수 있다. 지능형 컴포넌트 검색 서비스는, 컴포넌트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1:1 거래의 한계를 해결해주고 마지막으로 화이트 박스 서비스는 컴포넌트 도입의 가장 큰 걸림돌인 유지보수 문제를 보장해준다. 특히 이 개념은 국내 컴포넌트 개발의 특수 상황에 적용하여 큰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한국형 스마트 전력량계 부가서비스 적용방안 연구 (A Study of an Application Scheme for Smart Meter and Value Added Services Based on Korean Environment)

  • 김석곤;이한별;이영주;최용성
    • 전기학회논문지P
    • /
    • 제59권1호
    • /
    • pp.106-111
    • /
    • 2010
  • Electronic watt hour meters(WHM) for high pressure running in domestic were installed to the digital type meter and ones for low pressure are expected to complete within several years. Domestic power metering technology is being beyond a simple framework with an electronic type and is rapidly evolving to intelligent smart metering systems in conjunction with promotion of a national smart grid project. Major policy outlook of the world's major power company regarding Intelligent metering is the application of the fare structure diversification and is the improvement of level of service to customers. In addition, electric power companies should focus on the cost reduction and the improvement of management efficiency through an efficient operation of distribution facility. In this paper, we are about to make an observation of the additional services technology development trend of the overseas smart meter and to have a view of value-added services(VAS) system of smart meter suitable for the domestic environment based on the technology development of VAS utilizing electronic watt hour meter performed by recent research projects.

부산지역 해운.항만업체 총조사와 e-Logistics 인프라 구축에 관한 연구 (A Survey on the Shipping and Port Logistics Industry in Busan, and Establishment of Its e-Logistics Infrastructure)

  • 노흥승;이재원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67-182
    • /
    • 2001
  • The government of Busan Metropolitan City conducted the "Survey on Shipping and Port Logistics Companies in Busan" between May and December, 2000. This was the first comprehensive survey of Busan Port conducted from the perspective of regional & industrial economics. The objective of the survey was to find out the level of influence of the shipping and port logistics industry on the regional economy of Busan, and to obtain base data for use in establishing an actual promotion program. The survey acquired information about human and physical resources, management conditions and consciousness of the industry, In addition, the study analyzed the survey data.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a method of creating added value in support of the marketing activities of the companies, and indicated methods of achieving systematic and sustainable promotion. The government of Busan City shall develop an e-Logistics infrastructure which can deliver a synopsis and intelligent information to people and companies in the industry by the end of this year. The information system would be of great help for people who may not be familiar with Busan's port and shipping industry, particularly international shipping companies. This will result in an Increase of trade and exchange in the shipping and port logistics industry, resulting in the generation of increased added value within the near future.

  • PDF

동북아 부가가치 석유물류 비즈니스 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usiness Model for Value Added Petroleum Logistics in Northeast Asia)

  • 박지웅;이충배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49-172
    • /
    • 2023
  • 한·중·일을 포함하는 동북아지역은 1990년대 이후 급속한 경제성장과 더불어 역내외 석유물류가 증대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이러한 대외적인 환경하에서 2000년대 중반 이후 동북아 석유물류허브화 정책을 추진해 왔다. 동북아 물류허브화를 위해서는 부가가치 석유물류의 비즈니스 활성화를 위한 비즈니스 모델의 구축과 촉진이 중요하다. 동북아 지역에서 우리나라 석유물류 비즈니스 모델을 분석함으로써 석유물류 활성화에 대한 정책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전체 23개 탱키지 업체를 대상으로 면담조사에 의한 사례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면담조사한 대부분의 유류저장탱크터미널업체들은 블랜딩, 소분화, 집적화와 같은 부가가치 석유물류를 실시하고 있다. 둘째, 부가가치 석유물류의 발생은 주변국들간 수급의 불균형에 의해 발생하고 있는데 특히 일본, 오세아니아, 미국, 남미 등을 연결하는 소분화와 블랜딩 수요가 높다. 셋째, 부가가치 물류수요에 대응한 인프라, 제도 및 규제 등에 대한 개선을 통해 부가가치 석유물류의 활성화를 촉진해야 할 것이며 이는 우리나라의 동북아 오일허브 정책에 크게 기여하게 될 것이다.

금형산업의 중장기 발전 전략 (Mid-long Strategy for Dies and Molds Industry in Korea)

  • 허영무;강정진;신광호;이영훈
    • 한국소성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성가공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409-418
    • /
    • 2003
  • The dies & molds are a very economical production tool and a high value-added product because of its mass production capability compared to other production methods. Due to the very stiff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the industries meet many obstacles. At this moment, measured the status, the international trends and try to find the vision and strategy to promotion of the industry. In Korea, large portion of dies and molds are still low value-added and make large number of tools. In order to advance this industry to the high-tech area and gain competitiveness in the golbal marketplaces, effective means of resource investment and strategy should be properly provided.

  • PDF

한국의 미래산업 연구의 현황과 과제 (An Analysis of Studios on the Future Leading Industries in Korea)

  • 민완기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231-244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analysis is to clarify the direction and nature of the future leading industries in Korea. Existing studies were analyzed in depth and their implications are as follows. Existing studies have not given a careful consideration for the structural adjustment of Korean economy and the atmosphere for the growth of prospective leading industries. In relation to the structural adjustment, the accomplishment of high value-added in existing industries and the promotion for high-tech industries as well as service industries should be the future direction of the future leading industries. In order to create atmosphere for the growth, it is crucial to achieve a social consensus about the nature of the prospective leading industries and is necessary to continue a concrete research on the related industries.

  • PDF

한국 패션기업의 세계화 추세 연구 (Globalization Trends of Korean Fashion Enterprises)

  • 손미영;이은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7권11호
    • /
    • pp.1219-1228
    • /
    • 2003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find out what the general globalization trends of Korean fashion enterprises are, and what the factors required the Korean fashion enterprises to improve the global competitiveness under the globalized circumstances ar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survey by questionnaire on Korean leading fashion enterprises and the Directory of Companies Branching out abroad in 2000/2001(Korea Trade-Investment Promotion Agency, 2000).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Korean fashion enterprises expanded evenly worldwide in the sales and distribution functions while relying heavily on Asian countries for manufacturing functions; Secondly, the globalization of Korean leading fashion enterprises was progressed, but still remains at the stage of the sales of manufacturing capability or the sales of low costs products rather than at the stage of manufacturing products of high added-value or the sales of design or marketing capability. Thirdly, the factors for the global competitiveness of the Korean fashion enterprises are related to capability of low cost, quick response, product development, marketing, internationalization and high value ad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