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alue distinction

검색결과 169건 처리시간 0.021초

고정상태에서 신체 형태변화에 따른 떨림 판별의 예측시스템 연구 (A Study on Anticipation System of Shudder Distinction by the Physical Shape Alteration in Static Condition)

  • 김정래;최재실;황규성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115-120
    • /
    • 2017
  • 생체의 움직임을 판별을 예측하는 기술은 흐름판별율과 스트림판별율로 변화의 형태를 구성하여 진행한다. 떨림의 움직이는 형태는 판별율의 조건에 따라 움직임의 유동시스템으로 구성한다. 흐름판별율은 생체 내 물질에서 특별한 부위의 신호를 대상으로 생체의 움직임을 정의하고 그 주변에 형태에 따라 흐름을 판별하여 떨림을 비교하여 신호값으로 선정한다. 스트림판별율은 스트림상태의 기준값을 설정하고 측정된 값과 비교하여 신호값으로 선정한다. 대상조건에 따라 판별은 특정부위의 상-아래-주변-중앙을 대상으로 최대치와 최소치 및 평균값으로 변수를 측정하였다. 떨림의 변화에 따라 상 $(-0.817){\pm}0.15$, 주변 $(-2.53){\pm}(-0.11)$, 아래 $(-0.29){\pm}0.03$, 중앙 $(-0.09){\pm}(-0.01)$ 의 최대치-최소치-평균값이 나타났다. 형태의 변화에 따른 현상을 통하여 생체의 움직임의 범위가 어떠한 형태의 유동현상을 갖고 있는지 예측할 수 있고, 특정부위의 상-아래-주변-중앙의 움직임으로 데이터를 구성하면 앞으로 특정부위의 여러 변화를 주었을 때 신체의 다양한 변화를 판별하는 예측기술이 진행될 것으로 판단된다.

초등학교 수학에서 비의 값과 비율 개념의 구별에 대한 논의 (A Discussion on the Distinction between 'The Value of Ratio' and 'The Rate'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 장혜원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4권4호
    • /
    • pp.633-642
    • /
    • 2002
  • This paper focuses on the concepts of a value of ratio and a rate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Although the concept of a value of ratio can be distinguished meaningfully from that of a rate by phenomenological analyses, this distinction is impossible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Two concepts tend to be treated as identical, therefore they need to be classified by the other methods. By analyzing the series of mathematics textbooks from the first curriculum to the present 7th curriculum, this paper investigated how two concepts have been transposed into the products of school mathematics. In addition, we discussed how the difference of two concepts in the changing process of definitions have been presented clearly to the students. As a result, this paper concluded that the difference of two concepts has not been developed clearly for elementary students in general, except the textbook by the 7th curriculum. The definitions of two concepts were described obscurely so that the students may confuse the concept of a value of ratio with that of a rate. The role of a value of ratio needs to be reconsidered when it is applied to set proportional expressions.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not adhering to the terminology ‘value of ratio’ to present the ratio as a quotient or the rate as a fractional representation in school mathematics.

  • PDF

SVM을 이용한 고속철도 궤도틀림 식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dentification of Track Irregularity of High Speed Railway Track Using an SVM)

  • 김기동;황순현
    • 산업기술연구
    • /
    • 제33권A호
    • /
    • pp.31-39
    • /
    • 2013
  • There are two methods to make a distinction of deterioration of high-speed railway track. One is that an administrator checks for each attribute value of track induction data represented in graph and determines whether maintenance is needed or not. The other is that an administrator checks for monthly trend of attribute value of the corresponding section and determines whether maintenance is needed or not. But these methods have a weak point that it takes longer times to make decisions as the amount of track induction data increases. As a field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 method that a computer makes a distinction of deterioration of high-speed railway track automatically is based on machine learning. Types of machine learning algorism are classified into four type: supervised learning, unsupervised learning, semi-supervised learning, and reinforcement learning. This research uses supervised learning that analogizes a separating function form training data. The method suggested in this research uses SVM classifier which is a main type of supervised learning and shows higher efficiency binary classification problem. and it grasps th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of data and makes a distinction of deterioration of high-speed railway track.

  • PDF

산업별 특허가치평가 요인의 차이에 대한 연구 (Weight Differences of Patent Valuation Factors by Industries)

  • 박성택;이승준;김영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9권3호
    • /
    • pp.105-116
    • /
    • 2011
  • 기술혁신은 국가의 경제 성장과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선진국들은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식집약적 산업과 첨단기술기반 산업에 대한 육성 및 투자에 관심을 집중하고 있다. 특히 첨단기술기반 산업의 경우는 한국의 대표적인 산업으로서 정부에서 적극적으로 지원을 하고 있다. 이러한 첨단기술기반 산업에서는 특허가 기업의 중요한 경쟁우위 요소가 될 수 있는데 현재 이와 관련된 국내에서의 실증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논문은 특허가치평가시 평가 요인들이 IT 및 BT 산업별로 차이중요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연구의 목적으로 하고 있다. 봄 연구에서는 비교 분석을 위해 특허가치평가기관의 평가 모형과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요인들 중에서 중요 요인을 도출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AHP 기법을 활용하여 IT와 BT 산업별로 특허가치평가 중요 요인들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특허가치평가 중요 요인들이 산업별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뉴스크립트 평가체계 구축에 관한 사례 연구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사료관을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Constructing Appraisal System of Manuscripts: Focusing on Korea Democracy Foundation Archives)

  • 김명훈;현종철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45-63
    • /
    • 2008
  • 본고에서는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사료관 소장 사료를 토대로, 매뉴스크립트 평가체계 구축 사례를 제시하였다. 민주화운동 사료 평가체계는 가치 선별 논리를 지향하면서도, 가치의 경중에 따른 관리조치 차별화를 통해 사료관리에 소요되는 인적 물적 자원의 활용성을 최적화시킨다는 전략을 구현하였다. 그동안 중복본 위주의 폐기대상을 골라내는 소극적 선별 논리를 넘어 사료의 가치를 기반으로 차별화된 관리 프로세스를 설계하였다는 점에서, 원질서가 부재한 방대한 양의 기록물 처리에 당면하여 한정된 자원 활용상의 효용성을 추구하는 매뉴스크립트 기관들에 좋은 선례를 제공해준다.

영화의 선호도 유창성에 영향을 미치는 영화의 처리 유창성 요인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Factors of film's Processing Fluency Inducing Film's Preference Fluency)

  • 최낙환;임아영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3권4호
    • /
    • pp.29-54
    • /
    • 2012
  • 본 연구는 영화 관람과정에서 이루어지는 관객의 정보처리 용이성과 선호도 유창성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영화에 대한 정보처리의 유창성 정도가 영화의 선호도 결정 용이성에 영향을 주다고 가정하고, 선행연구를 토대로 영화의 처리 유창성을 물리적 특성의 식별 용이성인 영화의 지각적 유창성과 표적에 대한 의미 처리 용이성을 의미하는 개념적 유창성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영화를 구성하는 표현 요소들을 지각적 유창성요인과 개념적 유창성요인으로 구분하여 이들의 영향 관계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영화의 개념적 유창성과 지각적 유창성은 모두 영화의 선호도 유창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리 표현의 식별성과 배우의 역할 표현 식별성은 영화의 지각적 유창성에 영향을 주지만, 영상 표현의 식별성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탐색되었다. 마지막으로, 대사 표현의 적합성과 스토리 구성력은 영화의 개념적 유창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탐색되었다.

  • PDF

자동 고장 판별 및 거리 측정 기능을 갖는 휴대용 케이블 고장 검출 장치 개발 (Development of Portable Cable Fault Detection System with Automatic Fault Distinction and Distance Measurement)

  • 김재진;전정채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5권10호
    • /
    • pp.1774-1779
    • /
    • 2016
  • This paper proposes a portable cable fault detection system with automatic fault distinction and distance measurement using time-frequency correlation and reference signal elimination method and automatic fault classification algorithm in order to have more accurate fault determination and location detection than conventional time domain refelectometry (TDR) system despite increased signal attenuation due to the long distance to cable fault location. The performance of the developed system method was validated via an experiment in the test field constructed for the standardized performance test of power cable fault location equipments. The performance evaluation showed that accuracy of the developed system is less than 1.34%. Also, an error of automatic fault type and location by detection of phase and peak value through elimination of the reference signal and normalization of correlation coefficient and automatic fault classification algorithm not occurred.

Vision 검사의 정확도 향상을 위한 영역 분할 히스토그램 지정 기법 (Area Separation Histogram Specification Method for Accuracy Improvement of Vision Inspection)

  • 박세혁;허경무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6년 학술대회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431-433
    • /
    • 2006
  • The goal of this paper is improvement of vision inspection accuracy by using histogram specification operation. The histogram is composed of horizontal axis of image intensity value and vertical axis of pixel number in image. In appearance vision inspection, the histogram of reference image and input image are different because of minutely lighting distinction. The minutely lighting distinction is main reason of vision inspection error in many cases. Therefore we made an effort for elevation of vision inspection accuracy by making the identical histogram of reference image and input image. As a result of this area separation histogram specification algorithm, we could increase the exactness of vision inspection and prevent system error from physical and spirit condition of human. Also this system has been developed only using PC, CCD Camera and Visual C++ for universal workplace.

  • PDF

기사데이터베이스의 분류항목과 데이터표시형식에 관한 비교분석 (Analysis on classification item and data display format of newspaper article database)

  • 한상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3권
    • /
    • pp.329-362
    • /
    • 1995
  • Newspaper Article Information is an important source of information on social phenomenon with historical value. The development of computer and technology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enables the construction of Newspaper Article Database by CTS and service through computer communication. It made it possible for the peoples to utilize the Newspaper Article Information easily.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utilize the currently prevailing system. There are differences in classification system of Newspaper Article Database and the Data Display Format. This survey aims to review the characteristics of Newspaper Article Database and current domestic computer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By comparing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Retrieval Menu and Data Display Format, I intended to suggest the standardized way of utilization which enables the users utilize them more easily and conveniently. The results of this survey is as follows : 1. More sub-divided distinction of classification item is required. 2. Separate classification item should be established for the distinction of article form which is very difficult to classify the subject. 3. Data Display Format should be equi n.0, pped with standardized format and signal which enables the users recognize it easily.

  • PDF

도덕 판단에서 나타나는 도덕-인습 구분에 대한 논쟁과 함의 (A critical review and implications of the moral-conventional distinction in moral judgment)

  • 설선혜;이승민
    • 인지과학
    • /
    • 제29권2호
    • /
    • pp.137-160
    • /
    • 2018
  • 본 논문은 도덕 판단에서 나타나는 도덕-인습 구분에 관한 최근의 논쟁들을 개관하고 그 함의를 검토하고자 한다. 전통적인 도덕 판단에 대한 연구들은 규범 위반에 대한 판단에서 타인의 규범 위반 행위에 대한 평가와 함께 위반한 규범의 도덕-인습 차원에서의 분류를 함께 고려해왔다. Kohlberg와 Piaget의 인지 발달 이론을 발전시킨 Turiel(1983)은 도덕 원칙이 인습과 명확하게 구별된다고 보고 도덕-인습 구분의 기준을 제시하였다. 도덕은 보살핌과 정의의 영역에 특수하며, 보편성/객관성을 지닌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은 전통적인 도덕 심리학에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져 왔으나 최근 들어 지속적인 도전을 받아왔다. 본 논문에서는 도덕-인습 구분 기준에 대한 비판을 도덕 감정 이론(moral sentimentalism)과 도덕 지역주의(moral parochialism), 도덕 다원주의(moral pluralism)로 구분하여 살펴본다. 도덕 감정 이론은 도덕 판단에서 정서의 역할을 강조하며 도덕과 인습이 정서-비정서 차원의 연속선상에 혼재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 도덕 지역주의는 인류학과 비교문화 심리학의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규범 위반 행위가 집단의 유지와 집단 내 개인의 존속에 의미가 있는 경우에만 규범 위반에 대한 부정적 평가와 처벌 의사가 강하게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도덕 위반에 대한 판단도 인습에 대한 판단만큼이나 상대적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 도덕 다원주의에서는 문화와 개인차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도덕적 직관이 존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보살핌과 정의의 차원만 도덕에 해당한다는 가정에 의문을 제기한다. 이러한 새로운 관점들은 기존의 합리주의적 도덕 발달 이론에서 가정하였던 도덕-인습의 구분이 사람들이 실제로 규범 위반을 판단하는 양상을 적절하게 반영하지 않을 수도 있음을 시사하며 체계적인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