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alue Based Adoption Model

검색결과 122건 처리시간 0.025초

건설사업관리자의 BIM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Factors Affecting the BIM Acceptance of Construction Managers)

  • 정용채;진상윤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11-23
    • /
    • 2015
  • CM과 BIM은 건축물 전 생애주기 동안 발생되는 정보를 통해 각 분아별 협업체계 구축 및 업체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해주는 유사점이 있으며 BIM은 CM의 업무수행과 서비스의 가치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정보관리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CM에서 BIM 도입과 활용은 아직도 매우 제한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BIM 도입에 대한 CMr의 의도를 분석하고 CMr관점에서 효과적인 BIM 사용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TAM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1) CMr는 현재 BIM을 통해 자신의 인지도 향상, 경쟁력 및 역량 강화와 같은 이미지 향상 보다는 현재 자신의 업무에서 BIM이 적용되는 것이 사회적으로 요구되고 있는지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 2) BIM을 연계할 수 있는 업무를 도출하여 BIM을 활용할수 있는 업무프로세스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3) CMr가 BIM의 수용과 인식에 대해서는 궁극적으로는 받아들이지만 실제적인 업무에서 BIM 사용과 시도는 주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CM관점에서 BIM 활용 전략 수립 방향을 제시하였다.

OPTIMIZATION OF DIETS WITH EQUAL QUALTITY OF PROTEIN DERIVED FROM FOOD LEGUME AND CEREAL FOR HARD WORKING RURAL POOR USING PROGRAMMING APPOACH

  • Kulkarni, S.D.;Bhole, N.G.;Sawarkar, S.K.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1993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Conference for Agricultural Machinery and Process Engineering
    • /
    • pp.637-647
    • /
    • 1993
  • Over 40 per cent Indian population needs to be attended for nutritional improvement. Traditional nutritious food resources though abundantly available but presently less used, if incorporated in the diets, can yield low-cost nutritionally balanced diets. The linear programming (LP)model was used for optimization of food resources to satisfy protein -energy requirements of hard working rural poor. Soybean-a highly nutritious food legume-available at reasonably low price was included along with chick -pea and pigeon -pea for comparison .The three cereals predominantly used in Indian diets -rice, wheat and sorghum -and three typical leafy vegetables namely, spinach , drumstick leaves and rajagira (Amaranths paniculantus) leaves were used for optimization . The contribution of food legume was restricted to supply only 50 per cent of daily protein requirement for maximum protein value. The quantities of other food stuffs namely , milk , sugar , tubers etc. were restricted to nati nal per capita availability. the nutrition satisfaction levels in per cent RDA by the model are 149-250 for protein , 51-106 for fat, 134-362 for iron an d143-1158 for Vitamin-A. Quantities of food legumes, cereals and leafy vegetables ranged from 289-601, 3000-3700 and 360-1200 g/day respectively for a reference family of five hard working rural poor. Daily food resources cost ranged from US$ 0.6 to 1.0 for the family. Amongst food legumes, soybean based diet combinations provide maximum nutritional benefits at minimum cost indicating its suitability for wider adoption by hard working poor.

  • PDF

차량공유 서비스에 대한 지각된 가치와 이용의향에 관한 연구 : 서울시 나눔카 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A Study of Perceived Value and Intention to Use for Car Sharing Service : Based on User Experiences Serviced by Seoul Car Sharing)

  • 박건철;송인국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109-118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차량공유(Car sharing)서비스에 대한 이용자들의 서비스 수용과정을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공유경제의 사회적 확산과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공유경제 정책수립의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공유경제의 세계적 관심과 확산 속에 국내에서도 유무형의 유휴자원을 공유하는 다양한 서비스 모델들이 출시되고 있다. 특히, 차량공유서비스의 경우 도심을 중심으로 한 대안적 교통체계에 대한 높은 수요와 더불어 서울을 포함한 여러 지자체에서 민-관협력 사업이 추진되며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가 "공유도시 서울"정책의 일환으로 지난 2013년부터 추진 중인 차량공유 서비스 '나눔카'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차량공유서비스 수용과정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통해 향후 서비스 개선 및 확산에 대한 산업적 시사점 뿐 아니라, 수요자 중심 정책 수립을 위한 시사점을 탐구하고자 한다. 서울시에 거주하는 나눔카 이용경험자들 중 주이용 연령대인 20대 이용자 281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들 이용자가 차량공유서비스에 대해 인지하는 가치와 이용의향의 관계를 구조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차량공유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비용'적 측면과 '효용'적 측면 모두 차량공유서비스에 대해 소비자가 지각하는 가치 형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울러 이런 선행 요인들은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를 매개로 서비스 이용결정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차량공유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의 지각된 가치를 형성하는데 있어, 서비스 사용과정에서의 기술적 사용 용이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됨에 따라 사용자 중심의 직관적 UI와 전통적 렌탈서비스와는 차별화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플랫폼 전략이 서비스 성공을 위한 중요한 전략이라고 사료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차량공유서비스 뿐 아니라 전반적인 공유경제 모델이 사회로 확산되고 활성화 되는데 수요자 관점의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서비스 유형에 따른 카카오뱅크 이용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ffecting factors of Kakao Bank usage in terms of service types)

  • 전병호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187-195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doption of Kakao Bank in terms of benefits (functional, social, experiential, economic benefits) and differentiated services (customization and service diversity) considering service types. Benefits are personal value consumers attach to the product or service attributes and, therefore, more important than attributes of service itself when using Kakao Bank in the internet based environment. Data was collected using an online and offline survey of 131 Kakao Bank users and analyzed the data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using SmartPLS show that functional benefit, experiential benefit, and customization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user's satisfaction, but economic benefits, social benefit, and service variety are not. Customer's satisfaction are also showed significantly to be related to the all types of Kakao Bank usage(balance check, transfer, and other services). This study has the significance in that it examines the user's satisfaction and usage of Kakao Bank in terms of benefits and differentiated services while other studies analyzed banking services focusing on the attributes of banking channel itself.

Exploring Barriers Affecting e-Health Service Continuance Intention in India: From the Innovation Resistance Theory Stance

  • Arghya Ray;Pradip Kumar Bala;Yogesh K. Dwivedi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32권4호
    • /
    • pp.890-915
    • /
    • 2022
  • Although existing studies on e-health have usually focused on e-health services adoption intention, there is a dearth of studies on the barriers that affect e-health services retention intention especially in India. Additionally, although studies have mostly focused on utilizing expectation-confirmation model to understand innovation related barriers, innovation resistance theory (IRT) has been overlooked. As Indian e-health service providers face stiff challenges due to customer's unwillingness to continue using the service, there is a need to bridge the research gap that exists in this context. This mixed-method study, based on responses received from 289 participants and 1154 online negative reviews from e-Health providers in India, examines the barriers from the IRT stanc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 a notable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tradition, value and financial barrier and intention to continue using e-health services. Additionally, continuance intention affects recommendation. The study concludes with various implications and scope for future research.

Digital Healthcare 벤처창업 촉진을 위한, 사용자 가치가 Smartwatch Digital Healthcare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User Value on Smartwatch Digital HealthcareAcceptance Intention to Promote Digital Healthcare Venture Start Up)

  • 진익성;이소영
    • 벤처창업연구
    • /
    • 제18권2호
    • /
    • pp.35-52
    • /
    • 2023
  • 최근 코로나19, 환경오염 등으로 비대면 환경이 전개되면서 온라인 디지털 헬스케어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관련하여 건강관리, 원격진료, 디지털 치료제 등의 벤처창업 및 활동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디지털 헬스케어 스마트워치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장된 통합기술수용모형(UTAUT2)과 행동추론모형(BRT)의 통합적 접근으로 진행하였다. 첨단 ICT와 의료가 융합된 디지털 헬스케어에 적합한 요인 발굴은 혁신기술 수용연구에 가장 진보적으로 평가받는 확장된 통합기술수용모형을 활용하여 효용기대, 사회영향, 사용편의, 가격장벽, 대안부족, 이용장벽 등의 주요 요인을 도출하였고, 소비자의 가치-이유-태도-행동의도를 일괄 검증 할 수 있으면서 수용이유뿐만 아니라 비수용이유-소비자 스마트워치 디지털 헬스케어 인식의 긍정적 측면뿐만 아니라 부정적 측면까지-분석 할 수 있는 행동추론모형을 활용하여 인과관계 영향과 크기를 검증하였다. 연구를 위해 전국에 있는 10대에서 60대에 이르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약 410여건의 설문 응답을 취합하여 이를 바탕으로 데이터에 대한 신뢰성 및 타당성 검정을 거쳐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 분석에는 SPSS 23, AMOS 23 등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개인혁신성은 수용이유(효용가치, 사회영향, 사용편의), 태도, 비수용이유(가격장벽, 대안부족, 이용장벽)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혁신된 ICT의 주요 가치의 사용자 수용의도에의 영항을 확인한 선행연구 연구결과와 동일하다. 그리고 수용이유는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나 비수용이유의 영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소비자들이 ICT 신제품·신규서비스에는 관심이 크지만 이의 구입은 보다 신중하게 선택적으로 한다고 보여 진다. 본 연구는 학술적으로는 기존의 소비자 범용 혁신기술 수용성 분석을 새롭고 향후 중요분야인 스마트워치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의 소비자 가치 수용성 분석으로 발전시켰으며 확장된 통합기술수용모형과 행동추론모형의 장점을 살려 통합적으로 실행한 점 등이 있겠으며, 산업적으로는 기존 소비자의 수용성 이유 분석 중심에서 소비자 수용·비수용 이유 통합 검증으로 스마트워치를 구매하는 이유뿐만 아니라 구매하지 않는 이유까지 분석하여 제품·서비스 기획, 개발, 마케팅에 기여 할 수 있게 했다는 점 등이 있겠다. 본 연구가 향후 우리 생활에 중요한 역할을 할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의 연구 증대에 기여 할 수 있기 바라며 또한 본 연구와 같은 통합적 접근 모형과 소비자 수용·비수용 이유 통합 분석 등을 통하여 혁신과 향후 관련 연구들이 좀 더 소비자 가치에 적합한 심도 있는 요인 발굴과 검증으로 발전하기를 기대한다.

  • PDF

오프라인 모바일 결제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구전의도에 관한 연구: 한·중 소 비자의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Consumer's Word-of-Mouth Intention of Off-line Mobile Payment Service: Focu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Korean and Chinese Consumer)

  • 정미라;임성진;한경석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1109-1118
    • /
    • 2017
  • 전 세계에서 핀테크 열풍이 불고 있는 가운데 그 중심에는 항상 모바일 결제가 있는 만큼 중국, 인도, 영국, 브라질을 대표로하는 나라들이 현재 온 오프라인 모바일 결제 서비스의 활성화와 보급화에 힘을 싣고 글로벌 모바일 결제 시장에서 경쟁우위를 선점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IT 강국을 자부하던 한국은 글로벌 모바일 결제 시장에서 그 경쟁력이 10위권 밖으로 밀려나 호주, 멕시코, 독일보다도 못한 수준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오프라인 모바일 결제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일반 소비자들이 해당 서비스에 대한 구전의도를 측정하고자 실증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모바일 결제 서비스 분야에서 세계 최대 강국인 중국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두 나라 소비자 간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기술대체 영향요인과 Lotka-Volterra 경쟁 모형을 이용한 차세대 기술 예측 (Forecasting Next Generation Technology Using Lotka-Volterra Competition Model and Factors for Technology Substitution)

  • 김혜인;정유진;윤병운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262-1287
    • /
    • 2017
  • 최근 차세대 기술에 대한 사전적인 예측이 기업의 경쟁력을 좌우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 연구에서는 기술 채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규명만 이뤄지고 있으며, 결정 요인 별 중요도나 기술 간 경쟁 양상을 파악하는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신기술의 등장으로 인해 경쟁이 심화되는 기술 대체 시기에서 기술 경쟁 양상을 확인하기 위해 Lotka-Volterra 모형을 이용하며, 이를 통해 차세대 기술을 도출하고자 과거 경쟁이 끝난 데이터를 기반으로 모형을 추정하고, 기술 대체 및 경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선험적으로 도출하여 과거 경쟁기술과 현재 기술 경쟁 시 요인 값의 차이를 파악한다. 이후 요인과 계수 간 영향 관계를 바탕으로 도출된 각 요인 값의 차이를 반영하여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추정된 모형을 보정하는데 이때 요인 별 중요도를 회귀분석을 통해 파악하여 가중치로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보정된 모형을 경쟁 후보 기술과 기존 지배적 디자인 기술에 적용하여 1:1 비교를 함으로써 경쟁 관계를 파악한다. 본 연구는 시간에 따른 요인 값의 변화량과 중요도를 기반으로 특정 기술이 차세대 시장에서 지배적 디자인이 될 가능성을 정량적으로 제시하였으며, 이는 기술 대체 시기에 기업의 전략 수립 및 의사결정 시 실증적 증거로써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한.미 기업의 인터넷 활용 비교 연구: 가치사슬을 중심으로 (A Comparison of Internet Practices between U.S. and South Korean Firms from Value Chain Perspective)

  • 이석준;남경두;고창은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6권2호
    • /
    • pp.79-94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기업에서의 인터넷 활용과 적용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국가와 산업별로 비교 연구하였다. 미국의 54개 기업과 한국의 135개 기업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통하여 국가간 인터넷 활용 정도를 비교하였으며 산업을 제조와 비제조 군으로 구분하여 산업별로 인터넷 활용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밝혀지지는 못하였지만, 연구 결과에 의하면 미국 기업은 인사관리, 자동화, 판매, 흥보 등의 업무분야에서 한국 기업보다 인터넷 활용도가 높은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전반적으로 비제조 기업들이 제조 기업들 보다 인터넷 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기업의 경우 산업군별 인터넷 활용은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운영 및 영업 마케팅 업무분야에 있어서 인터넷 활용도가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공간시장화에 따른 항만물류산업의 비즈니스 분류에 관한 연구-선박급유업을 중심으로- (The Study on Taxonomy of Port Logistics Business Caused by Cyber Space Marketization-The case of ship bunkering -)

  • 이재원;이홍걸;이철영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51-58
    • /
    • 2004
  • e-비프니스로 대표되는 비즈니스의 공간시장(Market place)화는 대부분의 산업에 파급되어 새로운 비즈니스 패러다임으로 정착되어 가고 있으나, 항만물류와 관련한 산업에는 그 파급속도가 매우 느린 실정이다. 이에 따라 항만물류산업의 e-비즈니스화를 위해, 여러 가지 정책과 연구가 적극적으로 추진되어 왔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는 해당 비즈니스의 특성과 무관하게, 매우 일반적인 활성화 정책을 제시하거나, 혹은 특정사례에만 치중한 개별적 차원의 방안을 제안하는 정도에 머물러 있어, 연구의 확장성 및 범용성 측면에서 많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게다가, 이러한 새로운 비즈니스와 관련하여 어떤 이론을 수립하거나 혹은 그러한 이론에 바탕을 둔 연구는 거의 없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항만물류산업의 e-비즈니스화와 관련한 연구는 당장의 활성화방안의 수립에 앞서 오히려, 기반 연구에 해당되는 기초 작업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즉, 항만물류산업의 e-비즈니스와 관련한 연구는 우선, 항만물류산업의 특성에 대한 철저한 이해와 더불어, 공간시장화의 파급에 따른 산업계의 구조변화에 대한 검토가 선행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공간시장화에 따라 해당산업계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비즈니스 유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그러한 토대위에 e-비즈니스를 구체적으로 고려하는 수순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여기에 주목하여 공간 시장화에 따른 항만물류산업 관련 산업구조의 변화에 주목하여, 이론적 근거를 가지고 비즈니스 유형들을 체계적으로 분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류를 위한 이론으로써 본 연구에서는 비지니스의 계층성과 업계의 가치사슬에 주목한 BL-VC모델을 대표적 항만물류산업중 하나인 선박급유업에 적용하여, 선박급유업과 관련한 일반화된 분류체계를 수립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