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tudy on Taxonomy of Port Logistics Business Caused by Cyber Space Marketization-The case of ship bunkering -

공간시장화에 따른 항만물류산업의 비즈니스 분류에 관한 연구-선박급유업을 중심으로-

  • 이재원 (한진물류연구원) ;
  • 이홍걸 (한국해앙대학교 물류시스템공학과) ;
  • 이철영 (한국해앙대학교 물류시스템공학과)
  • Published : 2004.02.01

Abstract

Due to the changes in market place, new business types(e.g. e-business} have been rapidly emerged and increased. However, those new business types have not much been emerged in port and logistics related industries, and adoption rate of e-business in this area is very low, compared to other industries. Thus, to promote e-business in this area, many policies have been studied. However, most of previous studies have not been based on industrial structure, and results of these studies have mostly been case by case. Further, there have been no research based on the related theories. As a result, despite many of research and project for shipping and port related e-business, prominent achievements in this area have never to be presented. For these reasons, it am be stated that, first of all, basic studies related to new business types in shipping and port are needed, and then, various policies based on results of those basic studies should be discusse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business types existed (or expected) in a port related industry, ship bunkering. This taxonomy was based on theories related to business layer(BL) and value chain(VC), and these BL and VC combination enabled to acquire all possible business types.

e-비프니스로 대표되는 비즈니스의 공간시장(Market place)화는 대부분의 산업에 파급되어 새로운 비즈니스 패러다임으로 정착되어 가고 있으나, 항만물류와 관련한 산업에는 그 파급속도가 매우 느린 실정이다. 이에 따라 항만물류산업의 e-비즈니스화를 위해, 여러 가지 정책과 연구가 적극적으로 추진되어 왔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는 해당 비즈니스의 특성과 무관하게, 매우 일반적인 활성화 정책을 제시하거나, 혹은 특정사례에만 치중한 개별적 차원의 방안을 제안하는 정도에 머물러 있어, 연구의 확장성 및 범용성 측면에서 많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게다가, 이러한 새로운 비즈니스와 관련하여 어떤 이론을 수립하거나 혹은 그러한 이론에 바탕을 둔 연구는 거의 없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항만물류산업의 e-비즈니스화와 관련한 연구는 당장의 활성화방안의 수립에 앞서 오히려, 기반 연구에 해당되는 기초 작업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즉, 항만물류산업의 e-비즈니스와 관련한 연구는 우선, 항만물류산업의 특성에 대한 철저한 이해와 더불어, 공간시장화의 파급에 따른 산업계의 구조변화에 대한 검토가 선행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공간시장화에 따라 해당산업계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비즈니스 유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그러한 토대위에 e-비즈니스를 구체적으로 고려하는 수순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여기에 주목하여 공간 시장화에 따른 항만물류산업 관련 산업구조의 변화에 주목하여, 이론적 근거를 가지고 비즈니스 유형들을 체계적으로 분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류를 위한 이론으로써 본 연구에서는 비지니스의 계층성과 업계의 가치사슬에 주목한 BL-VC모델을 대표적 항만물류산업중 하나인 선박급유업에 적용하여, 선박급유업과 관련한 일반화된 분류체계를 수립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동환(2002), '해운전자상거래가 포워더의 역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김수엽(2000), '해운항만분야의 전자상거래 도입현황' 월간해양, 해양수산개발원 제192호, pp.52-67
  3. 류동근(2001), 'E-비즈니스의 확산과 해운기업의 대응' 해양한국, pp.146-156
  4. 박남규, 이태우, 최형림, 손형수(1999), '항만물류 산업에서의 원스톱서비스 시스템 구현 방안', 한국해운학회, Vol. 1999, No. 28, pp.127-151
  5. 부산광역시(2000), '2000년 부산지역 해운·항만업체 초조사 보고서', 부산광역시
  6. 이홍걸, 이재원, 류형근(2003), '공간시장화에 따른 새로운 비즈니스 분류 프레임워크의 제안과 적용', 한국항해항만학회, Vol. 27, No.4, pp.389-395 https://doi.org/10.5394/KINPR.2003.27.4.389
  7. 최형림, 박남규, 김현수, 이현철, 이창설, 정현욱 (2002), 'SCM 방식을 적용한 항만물류 통관 WED EDI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제4회 CIIPMS 연구결과발표회 논문집, pp.3-11
  8. 한종길(2001), '해운 B2B 전자상거래의 현황과 운영전략', 해운연구 이론과 실천 2001년 봄호, pp.35-54
  9. 根決龍之 · 小川佐千代 (2000), '空間市場化千によるビヅネス形態変化(7)分析 フレ-ムワ-ク', 日本營情報學會誌, Vo1.9, No.2, pp.7-34
  10. Adams, N.R. and Yesha, Y.(1995), 'Electronic Commerce: An Overview', in Electronic Commerce, Adams N.R. and Yesha Y. Eds, pp.5-12
  11. Bovet, D. and Martha, J.(2000), 'Value Nets: Breaking the Supply Chan in to Unlock Hidden Profits', John Wiley & Sons, Inc
  12. Holsapple, C.W. and Singh M.(2000), 'Electronic Commerce: From a Definitional Taxonomy Toward a Knowledge Management View', Journal of Organizational Computing and Etectromc Commerce, 10(3), pp.149-170 https://doi.org/10.1207/S15327744JOCE1003_01
  13. Rayport, J.F. and Sviokla, JJ.(1994), 'Managing in the Marketspace', Harvard Business Review, Nov.-D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