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alley water

검색결과 249건 처리시간 0.021초

Ecological Assessment of Plant Succession and Water Quality in Abandoned Rice Fields

  • Byun, Chae-Ho;Kwon, Gi-Jin;Lee, Do-Won;Wojdak, Jeremy M.;Kim, Jae-Geu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1권3호
    • /
    • pp.213-223
    • /
    • 2008
  • The increasing area of abandoned rice fields could provide new opportunities for wetland restoration in Asia. However, it is unknown how quickly or completely abandoned rice fields will recover from agricultural disturbances. We assessed water quality and plant community succession in abandoned rice fields with different hydrology in a mountain valley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hydrological regime on recovery. Water level, soil redox potential, water quality, plant composition, and primary production were measured. The sites, coded as D6, N13, and N16, had been recovering for 6, 13, and 16 years by 2006. N13 and N16 have been recovering naturally whereas D6 has been drained with a nearby dike and was tilled in 2001. The typical hydroperiods of D6, N13, and N16 were no surface water, permanently flooded, and seasonally flooded, respectively. The major change in vegetation structure of both D6 and N13 was the replacement of herbaceous species by woody species. Drawdown accelerated this change because Salix koreensis grew better in damp conditions than in flooded conditions. Phragmites japonica reduced plot-level plant species richness. The removal efficiency of $NH_4-N$, $NO_3-N$, and $PO_4-P$ from water varied seasonally, ranging between -78.8 to 44.3%, 0 to 97.5%, and -26.0 to 44.4%, respectively. In summary, abandoned rice fields quickly became suitable habitat for native wetland plant species and improved regional water quality. Variation among our sites indicates that it is likely possible to manage abandoned rice fields, mostly through controlling hydrology, to achieve site-specific restoration goals.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for Forecasting Algae Counts in a Surface Water System

  • Coppola, Emery A. Jr.;Jacinto, Adorable B.;Atherholt, Tom;Poulton, Mary;Pasquarello, Linda;Szidarvoszky, Ferenc;Lohbauer, Scott
    • 생태와환경
    • /
    • 제46권1호
    • /
    • pp.1-9
    • /
    • 2013
  • Algal blooms in potable water supplies are becoming an increasingly prevalent and serious water quality problem around the world. In addition to precipitating taste and odor problems, blooms damage the environment, and some classes like cyanobacteria (blue-green algae) release toxins that can threaten human health, even causing death. There is a recognized need in the water industry for models that can accurately forecast in real-time algal bloom events for planning and mitigation purposes. In this study, using data for an interconnected system of rivers and reservoirs operated by a New Jersey water utility, various ANN models, including both discrete prediction and classification models, were developed and tested for forecasting counts of three different algal classes for one-week and two-weeks ahead periods. Predictor model inputs included physical, meteorological, chemical, and biological variables, and two different temporal schemes for processing inputs relative to the prediction event were used. Despite relatively limited historical data, the discrete prediction ANN models generally performed well during validation, achieving relatively high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often predicting the formation and dissipation of high algae count periods. The ANN classification models also performed well, with average classification percentages averaging 94 percent accuracy. Despite relatively limited data event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with adequate data collection, both in terms of the number of historical events and availability of important predictor variables, ANNs can provide accurate real-time forecasts of algal population counts, as well as foster increased understanding of important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s, which can be used to both improve monitoring programs and forecasting efforts.

서부경남지역 소규모 급수시설의 정수 수질특성 조사에 관한 연구 (Treated Water Quality Characteristic of Small Scale Water Works in West Gyeong-Nam)

  • 박현건;김경미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454-458
    • /
    • 2012
  • 2005년부터 2010년까지 서부 경남지역 마을상수도 6,569건에 대한 지역별 수질특성, 항목별 수질특성, 수원별 수질특성 등의 수질 현황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역별 수질현황을 조사한 결과 불소의 평균농도는 함양지역이 0.19 mg/L, 질산성질소의 평균농도는 남해지역이 3.7 mg/L, 경도, 증발잔류물질, 황산이온의 평균농도는 의령지역이 177 mg/L, 271 mg/L, 80 mg/L로 각각 높게 나타났다. 계곡수를 취수원으로 사용하는 마을상수도는 일반세균, 탁도가 지하수를 취수원으로 사용하는 마을상수도보다 높게 검출되었으며, 지하수를 취수원으로 사용하는 마을상수도는 질산성질소, 증발잔류물, 경도, 황산이온, 불소, 철 등이 높게 검출되었다.

전두엽 혈류 측정을 통한 산림녹지 내 수경관 유형별 치유 효과 분석 (The Analysis of Therapeutic Effects of Forest landscapes with different Water-scape types Using Hemodynamic measurement in Prefrontal cortex)

  • 강민지;윤초혜;이정원;이주영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8
    • /
    • 2024
  • When situated in green landscapes, water bodies play a crucial role in positively influencing mood and mental health, yet research on the cognitive mechanisms underlying these therapeutic effects is lacking.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differences in brain function among adult males exposed to forest landscapes with or without water bodies. The wooded landscapes included views of a waterfall, a valley, and a forest without water. The control group was exposed to a local urban landscape. Twelve adult males participated in a field experiment in which prefrontal cortex (PFC) activity was measured using near-infrared spectroscopy (NIRS). In the experiment, participants engaged in low-intensity walking in three forested areas with similar vegetation and climatic conditions. Participa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ft PFC activity depending on whether they were in the three forested landscapes or in the control landscape (P < 0.01). An analysis of variance (ANOVA) confirmed that significantly lower left PFC activity was recorded in the wooded landscape containing a water view . Notably, the lowest PFC values recorded in the landscape with a waterfall view suggest that landscapes with dynamic water flow may be associated with greater therapeutic benefits in terms of PFC activity than static landscapes. Our results underscore that water is a critical aspect of a landscape due to its therapeutic benefits and should be incorporated in the planning and design of green spaces for health promotion.

Excessive soil water stress responses of sesame (Sesamum indicum L.) and perilla (Perilla frutescens L.) cultivated from paddy fields with different topographic features

  • Ryu, Jongsoo;Baek, Inyeoul;Kwak, Kangsu;Han, Wonyoung;Bae, Jinwoo;Park, Jinki;Chun, Hyen Chung
    • 농업과학연구
    • /
    • 제45권4호
    • /
    • pp.749-760
    • /
    • 2018
  • In Korea, the largest agricultural lands are paddy fields which have poor infiltration and drainage properties. Recently, the Korean government has pursued cultivating upland crops in paddy fields to reduce overproduced rice in Korea. For this policy to succeed, it is critical to understand the topographic information of paddy fields and its effects on upland crops cultivated in the soils of paddy field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haracterize the growth properties of sesame and perilla from paddy fields with three soil topographic features and soil water effects which were induced by the topographic features of the sesame and perilla. The crops were planted in paddy fields located in Miryang, Gyeongnam with different topographies: mountain foot slope, local valley and alluvial plain. Soil water contents and groundwater levels were measured every hour during the growing season. The paddy field of the mountain foot slope was significantly effective in alleviating wet injury for the sesame and perilla in the paddy fields. The paddy field of the mountain foot slope had a decreased average soil water content and groundwater level during cultivation. Stress day index (SDI) from the alluvial plain paddy field had the greatest values from both crops and the smallest from the ones from the paddy field of the mountain foot slope. This result means that sesame and perilla had the smallest stress from the soil water content of the paddy field on the mountain foot slope and the greatest stress from the soil water content of the alluvial plain.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topography of paddy fields to reduce wet injury and to increase crop yields.

산악지림도(山岳地林道)의 노견(路肩) 사면붕괴(斜面崩壞)와 측구침식(側溝浸蝕)에 관(關)한 연구(硏究) (Roadside Landslide and Ditch Erosion in Mountain Forest Road)

  • 마상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6권2호
    • /
    • pp.161-168
    • /
    • 1987
  • 임업기계훈련원(林業機械訓練院)에서 1984년(年) 시범적(示範的)로 임도(林道)를 시설(施設)(10 km)할 목적(目的)으로 10 km를 시공(施工)했는데 1986년(年) 태풍(颱風) 내습시 부분적(部分的)으로 노견붕괴(路肩崩壞)와 측구침식(側溝浸蝕)이 발생(發生)하였다. 이에 대한 원인(原因)을 조사분석(調査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측구침식(側溝浸蝕)에 의한 피해(被害)길이는 전림도(全林道) 연장(10km)의 3%에 해당하였으며, 대부분(大部分) 요형사면(凹型斜面)에 사면장(斜面長) 10m 이상(以上)으로 성토(盛土)된 곡선부(曲線部)에서 발생하였고, 부분적(部分的)으로 상수(常水)가 흐르는 계곡부(溪谷部)에 성토(盛土)된 구역(區域)과 상수(常水)가 있는 배수관(排水管)의 유출구(流出口) 양사면(兩斜面)에 성토(盛土)된 부위에서 붕괴(崩壞)가 많이 발생하였다. 측구침식(側溝浸蝕)의 경우 심한 피해(被害)는 계곡수(溪谷水)가 월수(越水)하여 V형(型) 측구(側溝)를 따라 흐르므로서 피해(被害)를 발생시켰으며, 기타 원인(原因)으로는 종단(縱斷)물매가 10% 이상(以上) 급(急)하게 시공(施工)된 지역(地域)에서 나타나 문제점(問題點)으로 인식되고, 직경(直經) 400mm 이하(以下)인 배수관(排水管)이 매설된 집수정(集水井)이 낙엽(落葉) 등(等)의 퇴적(堆積)으로 매몰된 경우와 경사가 급한 침사지(沈砂池)(집수승(集水桝)) 벽이 무너져 내린 결과 이 지점을 월수(越水)하여 측구침식(側溝浸蝕)을 일으키고 있다. 이상(以上)의 결과(結果)에서 시범임도(示範林道)의 태풍피해(颱風被害)는 임도피해예방(林道被害豫防)을 위한 경험부족(經驗不足)에서 나타낸 현상으로 보인다. 상기(上記)와 같은 점을 개선하면 동(同) 시범임도(示範林道) 조성방법(造成方法)은 경제적(經濟的) 임도(林道)차 모델로서 발달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다양한 첨가제에 따른 고투과성 역삼투막의 특성평가 (Evalu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High-Flux Reverse Osmosis Membranes with Various Additives)

  • 권현웅;임광섭;위자야 게데 헤리 아룸;한성민;김성헌;박준호;이동준;엄상민;남상용
    • 멤브레인
    • /
    • 제33권6호
    • /
    • pp.427-438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고투과성 및 높은 염 제거율을 가지는 역삼투막의 성능향상을 위하여 다양한 첨가제 및 계면중합 시 경화 온도 및 시간에 따른 특성평가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첨가제가 없는 막과 첨가제를 첨가한 막의 모폴로지는 모두 "ridge-and-valley" 구조를 나타내어, 폴리아미드 층이 다공성 지지층 표면에 성공적으로 중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2-Ethyl-1,3-hexanediol (EHD) 첨가함으로써 향상된 친수성과 수투과율 가졌으며, 이는 접촉각 측정을 통해서 확인되었다. 최종적으로 97.78%와 98.7%의 NaCl 및 MgSO4 제거율과 3.31 L/(m2⋅h⋅bar)의 높은 수투과율을 가진 고투과성 계면중합막을 제조하였다.

만경강유역의 개간과정과 취락형성발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ultivation Processes and Settlement Developments on the Mangyoung River Valley)

  • 남궁봉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37-87
    • /
    • 1997
  • 만경강유역을 하나의 연장선상에 놓고 연구한 결과, 그 공간상에서 역사와 더불어 형성발달해온 시공연속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만경강상류에서 하류 하구연안에 이르는 면장공간상에서의 개간과정은 여말에서 부터 시작되어 오늘에 이른 것으로 볼 수 있다. [기원지-지향지] 지향가설에서 본 개간과정에서 개간의 기원지는 만경강상류 산간계곡의 지류곡지 개간을 효시로 하여 기원지가 이루어지고, 조선조 중기까지는 수방대책의 발달과 더불어 하천 중류까지 진출하고, 하천 본류에 대한 하류지역의 계간은 하천의 규모와 유수량의 증가로 인한 하안의 홍수와 범람을 극복할 수 있는 인공제방을 축조할 수 있는 기술수준에 이른 1920년대에 들어서야 본격화되고, 그후 연이어 하구연안의 간석지 개간도 시행되어 개간의 개척첨단이 이들 지향지인 해안간석지일대에 형성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시간의 흐름과 더불어 각 시기마다 공간의 변화도 수반되어 시공연속체가 발달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취락의 경우 개간과정에 따라 산간계곡 산록일대에서는 주변입지적 집촌, 하천중류와 하류에서는 중앙입지적 집촌, 하천하구 간석지에서는 중앙입지적 열촌형태가 우세하게 나타났다.

  • PDF

치악산 국립공원 이용행태 및 경관인식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isitors Activities and Cognition of Scene in Chiak Mountain National Park)

  • 이명우;김용식;이규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66-85
    • /
    • 1988
  • 치악산 국립공원의 이용자특성은 남자가 64.7%, 20대 (20~29세) 72.5%. 고졸이상의 학력소지자가 95%이었다. 탐방의 특성을 보면 치악산이 갖고 있는 좋은점을 계곡의 물, 자연경관, 나무 및 숲 등으로 나타내고 있는 자연공원적인 성격과 체류기간에 있이 일일 방문객이 75.5%로 근린공원적인 성격을 갖고 있으며, 또한 탐방목적에 있어서는 피크닉행태와 유원지적 위락행태가 동시에 나타나고 있다. 활동장소의 특성은 계곡의 물가를 찾거나 등산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객이 가장 많은 구룡사 계곡의 경우 오전 10시에 입장객이, 오후 5시에 하산객이 최고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치악산 국립공원은 자연공원적 성격의 등산행태와 근린공원성격의 행락행태, 도시근교의 유원지적 행태를 고려하여, 주변 자연경관과의 기능적인 상충성을 충분히 고려한 관리방안이 필요하다.

  • PDF

버드나무과(科) 버드나무속(屬) 쪽버들의 격리분포(隔離分布) 및 분류학적(分類學的) 고찰(考察) (Disjunct Distribution and Taxonomical Studies of Salix maximowiczii Kom. on the Genus Salix (Salicaceae))

  • 박완근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1권1호
    • /
    • pp.61-71
    • /
    • 1995
  • 한국산(韓國産) 쪽버들의 정확한 실체를 파악하기 위하여 형태학적(形態學的), 화분학적(花粉學的)으로 재검토하였으며, 어떠한 일정한 지역에만 분포(分布)하고 있는 쪽버들의 격리분포(隔離分布) 특성에 대한 조사를 행하였다. 1. 쪽버들의 외부형태학적(外部形態學的)인 특성(特性)을 그림과 함께 명확히 하였다. 2. 쪽버들의 화분학적(花粉學的) 특성(特性)은 하나의 명확한 종(種)임을 입증하였다. 3. 쪽버들은 강원도(江原道) 설악산의 백담계곡 일부 지역과 한계령의 양쪽 계곡 지역에 격리분포(隔離分布)하고 있으며, 북한의 성북(成北) 경성군(鏡城郡)과 성남(成南) 신흥군(新興郡) 및 풍산군豊山郡)의 일부 고지대(高地帶)의 계곡 지역에만 분포하고 있다. 4. 쪽버들의 격리분포(隔離分布)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인자(環境因子)로는 수환경(水環境)의 지배가 큰 것으로 추정되었다. 5. 쪽버들의 생태학적(生態學的), 분류학적(分類學的) 정보들은 사방수종(砂防樹種), 목재생산(木材生産), 귀지공간조성(歸地空間造成) 등과 같은 조림(造林)에 관한 실제적인 적용에 이용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