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accinium koreanum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4초

Phenolic Compounds from the Leaves of Vaccinium koreanum

  • Joo, Wha-Kyun;Doh, Sang-Hack;Lim, Soon-Sung;Shin, Kuk-Hyun;Woo, Won-Sick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5권1호
    • /
    • pp.60-63
    • /
    • 1999
  • From the leaves of Vaccinium koreanum, isoquercitrin, quercetin, avicularin, 2'-O-caffeoyl-arbutin and arbutin were isolated and their structures were elucidated by spectral data.

  • PDF

산앵도(Vaccinium koreanum) 잎 유래 화합물들의 Aldose Reductase 및 혈전응집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Vaccinium koreanum on Rat Lens Aldose Reductase and Platelet Aggregation)

  • 주화균;정상훈;조선행;신국현;임순성
    • 생약학회지
    • /
    • 제34권4호통권135호
    • /
    • pp.314-317
    • /
    • 2003
  • Inhibitory effects of the whole extract and isolated compounds from the leaves of Vaccinium koreanum (Ericaceae) on rat lens aldose reductase (RLAR) and on platelet aggregation were investigated for the prevention or the treatment of chronic diabetic complications. Arbutin, isolated from n-butanol fraction of methanol extract, exhibited a potent inhibitory effects on rat platelet aggregation induced by ADP $(IC_{50}=0.12\;{\mu}M)$ and collagen $(IC_{50}=0.039\;{\mu}M)$ and showed same inhibitory activities with positive control, tetramethylene glutaric acid, on RLAR.

생강나무와 산앵두나무의 뿌리에서 분리한 Penicillium spp.의 지베렐린 생산성 (Isolation of Gibberellin-producing Penicillium spp. from the Root of Lindera obtusiloba and Vaccinium koreanum)

  • 최화열;이진형;신기선;이인중;이인구;김종국
    • 한국균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6-22
    • /
    • 2004
  • Gibberellins(GAs)는 식물의 성장과 발전에 있어서 중요하게 작용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업과 원예분야에 매우 중요한 새로운 GAs 생성미생물을 탐색하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생강나무(Lindera obtusiloba)와 산앵두나무(Vaccinium koreanum)의 뿌리에 존재하는 사상균을 분리하여 GAs 생산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비색법으로 GA 생산량을 분석하였을 때 이들 중에서 GAs 생산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된 두 균주에 대하여 여러 GAs 중에서 식물생장촉진 활성이 높다고 알려진 $GA_{1},\;GA_{3},\;GA_{4}$$GA_{7},\;GA_{53}$에 대하여 생산정도를 분석하고, 동정을 수행하였으며, Waito-c(난장이 볍씨)에서 Bioassay를 수행하였다. 생강나무에서는 6종의 균주, 산앵두나무에서는 4종류의 GAs 생산균을 분리하였고, 분리된 균중 GAs를 가장 많이 생산하는 균주들에 대하여 동정한 결과, 생강나무에서 분리한 C03 균주는 P. urticae KNUC03으로 동정되었으며, 산앵두나무에서 분리한 E03 균주는 P. griseofulvum KNUE03으로 동정되었다. 생합성된 GAs를 분석한 결과 P. urticae KNUC03 균주는 배양액 25 ml 중에 $GA_1\;7.08\;ng,\;GA_3\;30.80\;ng,\;GA_{4}\;1.27\;ng,\;GA_{7}\;0.88\;ng$$GA_{53}\;0.13\;ng$을 생산하였고 P. griseofulvum KNUE03은 $GA_1\;9.79\;ng,\;GA_3\;133.58\;ng,\;GA_4\;2.64\;ng,\;GA_7\;7.80\;ng$$GA_{53}\;0.73\;ng$을 생산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두 균주 중에서 P. griseofulvum KNUE03이 GAs를 더 많이 생산함을 알 수 있었다.

靑玉山과 頭陀山의 山林植生 (Forest Vegetation in Mt. Chongok and Mt. Tuta)

  • Pail, Weon-ki;Lee, Woo-Tchul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7권4호
    • /
    • pp.443-452
    • /
    • 1994
  • A phytosociological study of the forest vegetation was carried out in Mt. Chongok and Mt. Tuta from June, 1992 to August, 1993. The forest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1 order, 2 alliances, 1 suballiance and 4 communities; Vaccinium hirtum v. koreanum-Quercus monogolica community, Carex humilis v. nana-Pinus densiflora community, Sasa borealis-Carapinus laxiflora community, Plectranthus inflexus-Quercus variabilis community. Actual vegetation map was drawn in 1:25,000 scale.

  • PDF

雪岳山 신갈나무林의 植物社會學的 硏究 (A Phytosociological study of the Monogolian Oak (Quercus mongolica) Forest on Mt. Sorak, Korea)

  • Lee Woo-Tchul;Weon-Ki Park;Mun-Ki Kim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7권3호
    • /
    • pp.319-331
    • /
    • 1994
  • A phutosociological study on the Mongolian oak forest was carried out on Mt. Sorak by the Z-M method. The Mongolian oak forest was classified into one oder, two alliances, one assoication and three commuities; Rhododendro-Quercetalia mongolicae Kim 1990 Lindero-Quercion monogolicae Kim 1990 Vaccinium hirtum v. koreanum-Quercus monogolica community Lespedeza maximowiczii-Quercus monogolica community Pino koreiensis-Quercion mongolicae Kim 1992 Typical community Lichno-Quercetrum monofolicae Kim 1992 Total vascular plant species in invesitigatied sites consited of 193 taxa, and their life-form composition was $H-D_1-R_5-e$ type.

  • PDF

금강송림(金剛松林)의 식생유형분류(植生類型分類)에 관(關)한 연구(硏究) (Classification of Vegetation Types in Pinus densiflora for. erecta Forest)

  • 윤충원;홍성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3호
    • /
    • pp.310-322
    • /
    • 2000
  • 수령 200년 이상 노령의 금강송 유적임분이 발달하고 있는 울진군 서면 소광리와 강원도 응봉산(1,267m), 경북 청옥산(1,276m), 울진, 검마산(1,017m)의 금강송림을 중심으로, 총 230개의 식생자료를 수집하여 식생구조의 정성적 분석 즉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해석하였던 바, 금강송 임분은 산앵도나무군락, 꼬리진달래군락, 떡갈나무군락, 당단풍군락, 전형군락의 5개 군락으로 분류되었으며, 떡갈나무군락은 김의털군, 아까시나무군, 전형군의 3개 군으로, 당단풍군락은 산수국군, 애기나리군, 함박꽃나무군, 서어나무군, 전형군의 5개 군으로, 전형군락은 꽃며느리밥풀군과 전형군의 2개 군으로 각각 세분되었으며, 또한 일부 군은 7개의 소군으로 세분되어, 금강송림은 총 16개의 식생단위로 구분되었다. 이들 식생단위중 5개 조사지역에서 공통으로 출현하고 있는 산앵도나무군락과 소광리와 청옥산에서 출현하고 있는 꼬리진달래군락은 금강송 분포범위와 조림구역 결정 등의 지표로 사용할 수 있는 군락으로 판단되었다. 식물사회학적 분석에 의해 분류된 식생단위를 일치법으로 검정한 결과, 해발과의 관계에서는 떡갈나무군락이 해발이 가장 낮은 100m 이하에 분포하고 있으며, 산앵도나무군락, 꼬리진달래군락, 당단풍군락, 전형군락은 해발 350m 이상에 주로 분포하고 있었다. 또한 지형과의 관계에서는 산앵도나무군락과 꼬리진달래군락이 사면중부이상에서 산정상부까지 분포하고 있으며, 떡갈나무군락은 사면하부에서 사면상부까지, 당단풍군락은 대부분 사면하부와 계곡부, 전형군락은 사면하부 이상에 분포하고 있었다. 조사지역과의 관계에서는 떡갈나무군락이 울진조사구에서 출현하고 있었고, 나머지 군락들은 소광리, 응봉산, 청옥산, 검마산 조사구에서 고르게 분포하고 있었다. 방위와의 관계에서 모든 군락이 전방위에 출현하고 있으나 북사면보다는 남쪽사면에 더 많이 출현하는 경향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금강송 유적임분이 북쪽사면보다는 남쪽사면에 더 많이 잔존하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 PDF

중국과 북한 접경지역 두만강 일대의 Flora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Ecological study of the flora at Tumen river area, border of North Korea and China)

  • Ahn, Young-Hee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25-132
    • /
    • 2003
  • This study was executed by China along with the Tumen river, which formed border of North Korea and China. As a result 91 family, 282 genera, 363 species, 57 variety 4 species, total 424 taxa of vascular plants were identified. The examination area was include the region that had various vegetation such as upper swampy land, seashore dune, a river, a high mountain grassy plain, deciduous tree zone, evergreen coniferous forest zone. The followings are representative plants, which found in an examination area but not in South Korea. Picea koraiensis, Larix gmelini var. principis-ruprechtii, Betula playphylla, Ulmus pumila, Populus koreana, Ledum palustre var. diversipilosum, Rhododendron parvifolium, Salix brachypoda, Phacelurus latifolius, Carex gotoi, Carex capricornis, Calla palustris, Aquilegia flabellata var. pumila, Lilium davuricum, Astragalus membranaceus, Trifolium lupinaster, Ledebourieila seselodeds, Polemonium racemosum, Scutellaria baicalensis, Linnaea borealis, Thladiantha dubia, Inula helenium, Trollius hondoensis, Hypocaeris ciliata, Aconitum kirinense, Aconitum arcuatum, Potentilla viscosa var. macrophylla. And there are 21 rare and endangered species, which Korean Forest Sevice designated, such as Aconitum koreanum, Acorus calamus var. angustatus, Polygonatum stenophyllum, Drosera rotundifolia, Iris setosa, Jeffersonia dubia, Lilium davuricum, Lilium cernum, Paeonia obovata, Penthorum chinense, Phacelurus latifolius, Rosa marretii, Sparganium stoloniferum, Thymus quinquecostatus, Trillium tschonoskii, Utricularia japonica, Tripterospermum japonicum, Vaccinium uliginosum, Vaccinium vitis-idaea, etc. Especially, plants like, Acanthopanax senticosus, Jeffersonia dubia and Lillum cernum which have high values of ornamental, and medical use are in an extinction crisis. High swampy land was formed to upper stream of Tumen river. It showed representative vegitation, like Carex sp., Scirpus radirans, Eriophorum latifolium. Wetlands plant and a dune plant were mixed in down stream area of Tumen river. On a dune, seashore plants, such as Carex kobomugi, Salsola collina, Raphanus sativus var. raphanistroides, Rosa rugosa, Scutellaria strigillosa, Linaria japonica, Phacelurus latifolius were appeared frequently.

가야산국립공원의 식물상과 보전방안 (Flora and Conservation Plan of Gayasan National Park)

  • 유주한;전세근;설정욱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09-130
    • /
    • 2013
  • This study is to offer the raw data for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national park by surveying and analysing the vascular plants in the Gayasan national park. The flora were summarized as 102 families, 328 genera, 469 species, 4 subspecies, 59 varieties and 9 forms. The endangered plants designated by Ministry of Environment were 2 taxa; Pedicularis hallaisanensis Hurus. and Gymnadenia conopsea for. albiflora Y.N.Lee. The rare plants designated by Korea Forest Service were 13 taxa; Crypsinus hastatus (Thunb.) Copel., Ligusticum tachiroei (Franch. & Sav.) M. Hiroe & Constance, Primula modesta var. fauriae (Franch.) Takeda, Lilium distichum Nakai ex Kamibay and so forth.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15 taxa; Betula ermanii Cham., Carpinus laxiflora (Siebold & Zucc.) Blume, Stewartia pseudocamellia Maxim., Galium koreanum (Nakai) Nakai, Heloniopsis koreana Fuse, N.S. Lee & M.N. Tamura and so forth.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66 taxa; Betula chinensis Maxim., Spiraea fritschiana Schneid., Vaccinium hirtum var. koreanum (Nakai) Kitam., Cimicifuga heracleifolia Kom., Adoxa moschatellina L. and so forth. The plants with approval for delivering oversea were 22 taxa; Salix hallaisanensis H.L$\acute{e}$v., Sanguisorba argutidens Nakai, Viola albida Palib., Weigela subsessilis (Nakai) L.H.Bailey and so forth. The naturalized plants were 30 taxa; Chenopodium album L., Lepidium apetalum Willd., Trifolium pratense L., Bidens frondosa L., Helianthus tuberosus L. and so forth.

봉화 선달산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산림식생 유형 (Classification of Forest Vegetation for a Forest Genetic Resource Reserve in Mt. Seondalsan, Bongwha)

  • 이정은;이철호;윤충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0권1호
    • /
    • pp.1-12
    • /
    • 2021
  • 본 연구는 봉화 선달산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을 대상으로 산림식생구조를 파악하고자 2018년 6월부터 10월까지 총 137개의 조사구에서 식생조사를 수행하였다. Z-M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식생유형을 분류하고 각 식생단위별 중요치와 종다양도를 산출하였다. 군락군 수준에서 산림 식생유형은 신갈나무군락군으로 구분되었으며, 군락수준에서는 신갈나무군락, 층층나무군락, 속단군락, 소나무군락, 신갈나무전형군락으로 구분되었다. 군수준에서는 층층나무군락의 하위단위로 함박꽃나무군과 담쟁이덩굴군, 소나무군락의 하위단위로 산앵도나무군, 굴참나무군, 소나무전형군으로 구분되었다. 소군수준에서 함박꽃나무군은 구성종의 차이에 의해 복장나무소군과 함박꽃나무전형소군으로, 담쟁이덩굴군이 일본잎갈나무소군, 잣나무소군, 담쟁이덩굴전형소군으로, 산앵도나무군이 꼬리진달래소군과 산앵도나무전형소군으로 다시 구분되었다. 중요치 분석 결과, 교목층에서 층층나무, 일본잎갈나무, 잣나무, 신갈나무, 고로쇠나무, 소나무, 굴참나무의 중요치가 높게 나타났다. 종다양도 분석 결과, 선달산 유전자원보호구역의 종다양도는 1.969으로 다른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에 비해 종다양도가 높게 나타났다.

조계산(曹溪山) 삼림식생(森林植生)의 생태학적(生態學的) 연구(硏究) (Ecological Studies on the Forest Vegetation in the Mt. Joghe)

  • 장석모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0권1호
    • /
    • pp.54-71
    • /
    • 1991
  • 1980년(年) 7월(月)부터 1989년(年) 8월(月)까지 조계산(曹溪山) 삼림식생(森林植生)을 조사(調査)하고 식생구조(植生構造)를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조사(調査)된 관속식물(管束植物)은 750종류(種類)로 49목(目), 122과(科), 434속(屬), 627종(種), 1아종(亞種), 111변종(變種), 11품종(品種)으로 조사(調査)되었으며, Abies, Erythrortium, Spiranthus, Paeonia, Dictammus, Bupleurum 6속(屬)과 단풍마(Dioscorea quinguelobia), 타래난초(Spiranthes sinensis), 금난초(Cephalanthera falcata), 참당귀(Angelica gigus), 큰꽃으아리(Clematis patens), 산작약(Paeonia japonica), 부용(Hibiscus mutabilis), 단풍취(Ainsliama aceritolin), 백선(Dictamnus dasycarpus), 민백미꽃(Cynanchum ascyritolium), 봄구슬봉이(Gentiana thunbergii), 병개암나무(Corylus hallaisanensis), 잣나무(Pinus koraiensis), 바위말발도리(Deutzia prunifolia), 산앵도나무(Vaccinium koreanum), 엘레지(Erythronium japonicum), 땅비싸리(Indigofera kirilowii) (17종), 애기닥나무(Broussonetia kazinoki var. humillis), 줄사철나무(Euonymus fortunei var. radicans), 곱향나무(Juniperus communis var. nipponica), 송금나무(Callicarpa japonica var. taqiletti)(4변종)와 그리고 털생강나무(Lindera abtusiloba for. villosum)(1품종) 등을 추가 하였다. 2. 조계산식물상(曹溪山植物相)의 Raunkiaer의 Life form spectrum은 $CH-D_1-R_5-e$ type으로 분류(分類)되었으며 분포지(分布地)은 Nakai, 이(李), 임(任)의 남부형(南部型)에 일치(一致)하며 난대분자(暖帶分子)도 Lygodium, Cyrtomium, Torreya, Melia, Cayratia Thea, Bamboo등 7속(屬)이 분포(分布)한 것으로 나타냈다. 3. 삼림(森林) 식생(植生)의 Simpson 평균(平均) 종다양도(種多樣度) DS=0.9로 나타났고 Shannon-Wienner의 다양도(多樣度) 지수(指數) H1. 400로 다양(多樣)한 식생(植生) 군락(群落) 구성(構成)을 하고 있음을 알수 있다. 4. Pte Q는 1.81로서 전국평균 1.68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귀화 식물에 대한 UI=28.75 외래수종(外來樹種)에 대한 UI=17.49로 백운산(白雲山), 내장산(內藏山)과 유사하였다. 5. 조계산(曹溪山) 삼림식생(森林植生)은 졸참나무, 서어나무, 굴참나무, 소나무, 신갈나무, 굴피나무, 상수리나무의 7개 자연군락(自然群落)과 때죽나무, 노각나무, 비목나무, 느티나무, 붉나무, 층층나무, 물푸레나무, 들메나무 등 8개(個)의 대상군락, 잣나무 편백, 일본잎갈나무, 밤나무, 리기다소나무, 일본목련, 삼나무 등 7개(個)의 인공식재군락(人工植栽群落)이 포함되어 자연식생, 대상식생, 인공식재림 등의 3개(個)의 식생형(植生型)이 분류(分類)되었다. 6. 식물사회학적(植物社會學的) 방법(方法)에 의(依)하여 1/25000 지형도(地形圖)에 현존식생도(現存植生圖)와 계층구조도(階層構造圖)를 작성(作成)하였다. 7. 중요(重要)한 종(種) 또는 특이(特異) 군락(群落)으로는 이(李) 김(金)과 박(朴)이 보고(報告)한 털조장나무(Lindera sericea) 새이삭여뀌(Persicaria tilitorme), 대팻집나무(flex macrophda), 민대팻집나무(I. macropoda for. pseudo-macropoda), 노각나무(Stewartia koreana), 진퍼리잔대(Aden ophora), 히어리(Corylopsis coreana)등은 일치(一致)하였고, 산앵도나무(Vaccinium coreanum), 약난초(Cremastra appendiculinium), 곱향나무(Juniper communis var. nipponica), 금난초(Cephalanthera falcata), 애기닥나무(Broussonetia kazinoki var. humilis), 큰꽃으아리(Clematis patens), 산작약(Paeonia obovata), 바위말발도리(Deatzia prunifolia), 백선(Dictmnus dasyarpus), 참당귀(Angelica gigics), 시호(Bupleurum falcatum)등의 종(種)이 추가(追加)되었다.

  • PDF